View : 582 Download: 0

유아교사의 정서유용성신념과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의 관계

Title
유아교사의 정서유용성신념과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help and hinder theories about emotion and their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uthors
손지수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혜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1) help and hinder theories about emotion, and 2)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the differences in the variable by their background factors (age,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level, type of institution, children’s age in charge). Lastly, 3)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help and hinder theories about emotion and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wo hundred forty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Help and Hinder Theories about Emotion Measure (HHTEM; Karnaze & Levine, 2020) was utilized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help and hinder theories about emotion. In addition, early childhood teac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were investigated by 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Scale-Teacher Version(CCNES-T; Denham, Bassett, & Miller, 2017). Frequency and percentage, minimum and maximum value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omputed for data analysis. Statistical tests such as one-way ANOVA, Kruskal-Wallis H,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note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ddition, the Duncan post hoc test was utilized in conjunction with one-way ANOVA to validate the test groups with statistical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high levels of help theories and low levels of hinder theories about emotion. Seco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upportive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were high, whereas non-supportive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were low.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early childhood teac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by their education level and children’s age in charge. Regarding education level,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completed childcare teacher training courses showed higher minimization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than teachers with master’s degrees. Also,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arge of 3-year-old and mixed-age classes exhibited higher overall supportive reactions than teachers in charge of 4-year-old classes. Moreover, teachers in charge of 3-year-old classes showed higher emotion-focused reactions in comparison to teachers in charge of 4-year-old classes. Third,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help theories of emotion and the supportive reactions, specifically, expressive encouragement, emotion-focused reactions, and problem-focused reactions. In contrast, a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for distress reactions. Furthermore,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hinder theories of emotion and the non-supportive reactions, specifically, punitive, minimization, and distress reactions. On the other hand,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for problem-focused reactions. This study is the first to shed light on help and hinder theories about emotion regarding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ization practice, thus highlighting its significance. Furthermore, the results call for support plans to enhance their help theories while reducing their hinder theories about emotion and helping them practice more supportive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정서유용성신념의 경향과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의 경향 및 교사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정서유용성신념과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교사의 정서유용성신념은 어떠한가? 1-1. 유아교사의 정서유용성신념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은 어떠한가? 2-1. 유아교사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2-2. 유아교사의 배경 변인(연령, 교직경력, 학력, 기관유형, 담당학급연령)에 따른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은 어떠한가? 3. 유아교사의 정서유용성신념과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3-5세 담임교사 2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교사의 정서유용성신념을 알아보기 위하여 Karnaze와 Levine(2020)의 정서유용성신념 척도(Help and Hinder Theories about Emotion Measure: HHTEM)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교사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 척도(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Scale: CCNES; Fabes, Eisenberg, & Bernzweig, 1990)를 Denham, Bassett과 Miller(2017)가 교사용으로 수정한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 척도-교사 버전(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Scale-Teacher Version: CCNES-T)을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빈도, 백분율, 최솟값, 최댓값,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ANOVA),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어떤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Duncan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정서유용성신념 중 도움신념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방해신념은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 중 지지적 반응은 전반적으로 높게, 비지지적 반응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교사의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학력과 담당학급연령에 따라서만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에 차이가 나타났다. 보육교사 양성과정의 학력을 가진 유아교사가 대학원 재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교사보다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해 축소전환 반응을 많이 하였다. 그리고 3세, 혼합연령을 담당하는 교사가 4세 담당 교사보다 지지적 반응 전체가 높게 나타났으며, 3세 담당 교사가 4세 담당 교사보다 정서중심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정서유용성신념과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정서유용성신념 중 도움신념은 지지적 반응 전체, 표현격려 반응, 정서중심 반응, 문제중심 반응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반면, 비지지적 반응인 스트레스 반응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더불어, 유아교사의 정서유용성신념 중 방해신념은 비지지적 반응 전체, 처벌적 반응, 축소전환 반응, 스트레스 반응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한편, 지지적 반응인 문제중심 반응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의 정서유용성신념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질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유아교사의 정서유용성신념 중 도움신념을 높이고 방해신념을 낮추는 방안 및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해 보다 지지적인 반응을 많이 하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