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5 Download: 0

문학 생활화 교육 방안 연구

Title
문학 생활화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ducation Plan for Practising Literature : Focusing on the implementation in high school “Literature”
Authors
손윤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이 연구는 문학 생활화의 가치를 확인하고 학교 교육 속 문학 생활화 교육의 유의미성을 판단한 후, 문학 생활화 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문학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다양한 문학 경험과 활동을 통해 학습자가 문학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지속적으로 문학을 향유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는 것이다. 과거의 문학교육이 주로 문학에 대한 지식 학습에 치중하고, 학습자의 문학 향유에 대해서는 크게 관심을 가지지 못하여 온 것이 사실이다. 학습자가 청소년기는 물론 전생애에 걸쳐 문학을 즐길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게 하는 교육은 문학 문화의 토대로서 매우 큰 중요성을 가진다. 21세기 초 문학 생활화에 대한 학문적 논의가 활성화되었고, 그 논의들을 근거로 하여 국가 교육과정에 문학 생활화 관련 내용이 마련된 바 있다. 그러나 여전히 문학교육 안에서 문학 생활화가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이 연구는 문학 생활화의 의미와 중요성을 조명하고, 문학 생활화 교육을 받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문학 생활화 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파악하여, 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문학 생활화 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문학 생활화의 의의를 밝히고, 문학 교육이 인생의 일반에 걸쳐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문학 생활화 교육의 평생교육적 성격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문학을 평생 동반자로 맞이하는 관문인 청소년기 문학 생활화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국어과 교육과정 속에 드러난 문학의 생활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문학’과 ‘문학 활동’에 관한 정의를 재정립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의미하는 ‘문학 생활화’의 개념역을 명확히 하였다. 문학 생활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습자의 흥미 요인과 교육 환경 요인에 주목하여 두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학습자의 흥미는 존 듀이의 이론을 중심으로 교육 환경 요인은 제도적 문학 활동과 비제도적 문학 활동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Ⅲ장에서는 학습자의 문학 생활화 교육 전과 후의 문학 생활의 변화에 주목하여 문학 생활화 교육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학습자의 흥미에 주목하여 ‘국어 성적’과 ‘문학 선호도’를 문학 생활화 교육의 영향 요인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현재의 문학 생활화, 문학 생활화 반응, 문학 생활화의 의미, 문학 생활화의 발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문학 생활화 수업의 바탕이 되는 2015 개정 ‘문학’ 교과서의 ‘문학 생활화’ 관련 단원들을 분석하였다. 10종의 교과서 중 문학 생활화 관련 학습활동이 구성되어 있지 않았던 2종을 제외한 8종을 이론 관련 문학 활동과 실천 관련 문학 활동으로 분류해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면담 결과에서 유의미했던 결과를 토대로 문학 생활화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도교육 차원에서의 문학 생활화 교육과 비제도권 차원에서의 문학 생활화 강화 방안으로 나누어 이야기 하였다. 제도교육 차원에서는 교육과정과 교과서, 수업, 기타자료에 대한 변화가 있어야 함을 주장하였고, 제도교육의 바깥에서는 문예지의 활성화, 공동체 문학 활동의 활성화를 통해 문학 생활화를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이 연구는 문학 생활화 교육이 중요성에 비해 충분히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음에 주목하여 시작되었다. 조사 연구의 대상인 문학 생활화 교육을 받은 경험자의 수가 적고, 평생교육으로서의 문학교육의 장에 대한 조사가 결여되어 있다는 점에서 일정한 한계를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지만 국가 교육과정에 마련된 문학 생활화 교육의 실태와 효과를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향후 제도교육 내에서는 물론이고 평생교육 차원의 문학 생활화 교육 활성화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데에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계기로 향후 문학 생활화에 관한 다양한 연구와 실천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value of practising literature,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 for practising literature in school, and then suggest ways to revitalize education for practising literature. The ultimate goal of literature education is to cultivate the ability of learners to have knowledge of literature and continue to enjoy literature through various literary experiences and activities. It is true that literature education in the past mainly focused on knowledge learning about literature, and that learners have not been very interested in enjoying literature. Education that enhances learners' ability to enjoy literature throughout adolescence as well as their entire lives has great importance as the foundation of literary culture. Academic discussions on practising literature in the early 21st century were activated, and based on those discussions, contents related to practising literature reflected in the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However, it is still a situation in which practising literature has not been taken seriously in literature educ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lluminate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practising literature, identify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education for practising literature for college students who have taken education for practising literature, and suggest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education for practising literature to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In Chapter II, this study clarified the significance of practising literature and explained the lifelong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for practising literature, noticing that literary education spans the overall scope of life. From this perspective,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or practising literature in adolescence, which is the gateway to welcoming literature as a lifelong partner, was emphasized, and the practising literature revealed in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was analyzed. By redefining the definitions of 'literature' and 'literary activity', the conceptual area of 'literary life' meaning in this study was clarified. The two factors were analyzed, expecting that the learner's interes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may be factors that can affect practising literature. The learner's interest was summarized focusing on dewey. J's theory,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actor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institutional and non-institutional literary activities. In Chapter III,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education for practising literature by paying attention to changes in practising literature before and after education for practising literature. 'Korean language grade' and 'literature preference' were set as influencing factors in education for practising literature focusing on the learner's inter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the current practising literature, response for practising literature, the meaning of practising literature, and the development of practising literature. At the same time, units related to 'practising literature' from the 2015 revised 'literature textbook', which is the basis of education for practising literature were analyzed. Among 10 textbooks, 8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s theory-related literary activities and practice-related literary activities, except for 2 that did not include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practising literature. In Chapter IV, this study suggest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ractising literature based on the significant results from the interview results in Chapter III. It was divided into education for practising literature at the level of institutional education and strengthening ways for practising literature at the level of non-institutional dimension. In terms of institutional education, it was argued that there should be changes in curriculum, classes, and textbooks. Also, non-institutional dimensions presented that practising literature could be strengthened through national support, revitalization of literary magazines, and activation of online literary activities. This study initiated by noting that education for practising literature was not sufficiently activated compared to its importance. It is true that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in that the number of students who have taken education for practising literature, which is the subject of research, is small a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field of literature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aid the foundation for revitalizing education for practising literature not only within institutional education but also at the level of lifelong education by accuratel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and effect of education for practising literature in the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t is expected that various studies on practising literature will be continued in the future with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