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4 Download: 0

Effects of Story Grammar Instruction on Korean EFL Colleg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Key-Words Recall, and Reading Strategy Use

Title
Effects of Story Grammar Instruction on Korean EFL Colleg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Key-Words Recall, and Reading Strategy Use
Other Titles
이야기 문법 지도가 한국 EFL 대학생들의 읽기 이해력, 핵심어 회상 능력, 독해 전략 사용에 미치는 효과
Authors
이은경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시영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story grammar instruction and provide insights into the pedagogy of applying this form of instruction in the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setting.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tory grammar instruction on reading comprehension, recall of key-words, and reading strategy use of Korean college students. A total of 64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 (n=32) and a control (n=32) groups, and each group was further divided into the high-level (n=16) and low-level (n=16) groups.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took classes via story grammar,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using the conventional teaching method, which did not provide an explicit teaching of story grammar. Story grammar refers to the common structure of the majority of narrative texts such as character, setting, problem/conflict, resolution, and ending. The story grammar framework can serve as a formal schema, which enables readers to comprehend narrative text better. The story grammar instruction adopted in this study featured teacher-directed and teacher-assisted sessions. In teacher-directed sessions, the students were mainly instructed on the concept of story grammar. Later, they were guided in applying the strategy through teacher-assisted session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12 weeks with two sessions per week. To measure students’ improvement, they were asked to take two types of tests (i.e., reading comprehension and recall of key-words) an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perceived use of reading strategies; the Korean version of the Survey of Reading Strategy [SOR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are summarized in response to the research questions. First, the story grammar instruction had some positive effects on Korean EFL colleg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reading instruction. Specifically, based on the post-test score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main effect of the story grammar instruction was significantly positive for the literal comprehension and episodic sequence understanding,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between the two groups in inferential comprehension and word meaning identification. The proficiency levels had significant effects on all dimensions of reading comprehension as well. Meanwhile,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instruction types and proficiency levels were found in all the dimensions. It means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significantly outperformed the control group students in terms of literal comprehension and episodic sequence understanding. The higher-level students were also found to perform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ir counterparts of the low-level group in all dimensions of reading comprehension. Second, the analysis results of post-test scores indicated that the story grammar instru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key-words recall performance. Their proficiency leve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key-words recall performance as well. However,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instruction types and proficiency levels was observed in the dimension. The results mean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achiev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key-words recall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higher-level students significantly outperformed their counterparts of the low-level group. Third, the story grammar instruction partially affected reading strategy use of Korean EFL college student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reading instruction. In particular, based on the post-questionnaire response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e effect of the story grammar instru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students’ perceived use of global and problem-solving strategies, but this was not the case for support reading strategy. The proficiency levels also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use of all reading strategies. Yet,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instruction types and proficiency levels were represented in all the dimensions. The results indicate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significantly made use of global and problem-solving strategies than did the control group students. The higher-level students were also found to display significantly higher use of all three strategies than their counterparts of the low-level group. Regarding individual strategies in each dimension,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benefited from the story grammar instruction in the use of the strategies such as setting purpose for reading,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text, noting text characteristics, and using context clues. The story grammar instruction was proved to be partially effective in improving reading comprehension, recall of key-words, and the perceived use of reading strategie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e current research presented several pedagogical implications in applying story grammar instruction for teaching short stories in EFL college classrooms. Admittedly, explicit instruction in story grammar can provide L2 readers an efficient framework for building formal schema to comprehend narrative texts with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For the appropriate implementation of story grammar instruction, the practical matters, such as teacher training, proper execution of the theory, and materials selection need to be carefully managed. In addition, EFL instructors should carefully implement differentiated story grammar instruction according to L2 readers’ conditions.;영어교육에서 문학 지도는 학습자들의 읽기 숙달도와 상관없이 그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입증되어 왔다. 문학 작품은 읽기 교실에서 학생들에게 흥미롭고 다양한 언어활동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다. 특히, 단편 소설을 읽는 것은 학습자들의 언어 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그 문화에 익숙해지도록 도와준다. 단편 소설이 학습자가 자연스럽게 언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진정한 환경을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긴 단편 소설 읽기를 요구하는 고등 교육 현장에서 문학 작품 읽기 지도가 힘든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단편 소설을 가르치는 효과적인 지도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는 EFL 환경에서 이야기 문법 지도(story grammar instruction)를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방안을 고안하고, 그 이야기 문법 수업이 한국 대학생들의 읽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학생들의 핵심어 회상 수행(key-words recall performance)과 독해 전략에 대한 인지적 사용(perceived use of reading strategies)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이야기 문법의 정의를 살펴보면, 모든 서사 텍스트(narrative text)에서 포함되어 있는 공통 구조이며 기본 요소로 “배경(setting), 발단(beginning), 갈등(problem), 행동(action), 해결(resolution), 그리고 결말(ending)”이 있다. 본 연구 대상은 영어 수업을 듣는 64명의 대학생들로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으로 구성되고, 다시 사전 읽기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각각 상 ‧ 하위로 나누어져서 실험이 진행되었다. 이야기 문법 지도 집단인 실험 집단에게는 서사 구조와 이야기 문법에 대해 명시적으로 가르치고 난 후에, 학생들이 글을 읽을 때 그것을 적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한편, 통제 집단은 번역에 중점을 둔 기존의 읽기 방식으로 지도를 받았다. 그 실험은 주당 50분씩 2회의 수업으로 12주 동안 진행되었다. 그들의 학습 향상을 측정하기 위해, 두 집단 모두 실험 전과 후에 두 종류의 시험(읽기 이해력 시험과 핵심어 회상력 시험)을 치르도록 하였고, 설문지(읽기 전략의 인지적 사용: SORS의 한국어 버전)를 작성하도록 요구하였다. 이런 연구 과정을 거쳐서 얻은 주요 결과를 연구 문제 별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 문법 지도는 기존의 읽기 지도에 비해 한국 대학생들의 읽기 이해력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사후 평가의 결과 분석을 살펴보면, 수업 유형의 주효과는 추론적 이해(inferential comprehension)와 어휘 의미 파악(word meaning identification)에서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사실적 이해(literal comprehension)와 에피소드 순서 이해(episode sequence understanding)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생들의 읽기 숙달도가 또한 읽기 이해력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수업의 유형과 읽기 숙달도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는 읽기 이해력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 결과들은 이야기 문법 지도로 학습을 한 실험 집단 학생들이 사실적 이해력과 에피소드 순서 이해에서, 기존의 읽기 지도를 통해 학습한 통제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향상을 보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위 그룹의 학생들이 모든 영역에서 하위 그룹의 학생들보다 휠씬 더 좋은 성적을 낸 것을 말한다. 둘째, 이야기 문법 지도는 학생들의 사후 시험에서 핵심 단어 회상 수행(key-words recall performance)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학생들의 읽기 숙달도 수준도 전체적인 핵심 단어 회상 수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수업 유형과 읽기 숙달도 사이의 상호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 결과는 이야기 문법 수업을 받은 실험 집단이 기존의 읽기 수업 방식으로 배운 통제 집단보다 핵심 단어 회상의 수행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은 것을 의미하고, 상위 집단의 학생들이 하위 집단의 학생들보다 유의미하게 핵심어 회상을 더 우수하게 수행한 것을 나타낸다. 셋째, 이야기 문법 지도는 기존의 읽기 지도에 비해 한국 EFL 대학생들의 읽기 전략 사용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사후 설문 반응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전략(global strategies)과 문제 해결 전략(problem-solving strategies)의 학생들의 인지적 사용에서 수업 유형의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지지적 읽기 전략(support reading strategies)의 경우는 그렇지 않았다. 또한 읽기 숙달도는 모든 읽기 전략의 사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모든 영역에서 수업의 유형과 읽기 숙달도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 결과는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전체적 읽기 전략과 문제 해결 전략에서 유의하게 활용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상위 집단의 학생들은 하위 집단보다 모든 전략에서 유의미한 높은 사용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각 영역에서의 개별적인 전략에 대해서는, 실험 집단 학생들은 읽기 목적 설정, 텍스트 분석 및 평가, 텍스트 특성 표기, 문맥 단서 활용 등 각 전략의 활용에 있어 이야기 문법 지도의 혜택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야기 문법 지도는 읽기 이해력 향상, 핵심어 회상 수행, 그리고 읽기 전략의 인지적 사용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EFL 대학 교실에서 단편 소설을 지도하기 위한 이야기 문법 지도를 적용하는 데 있어서 교육적 시사점들을 제공한다. 본 연구 결과가 제시하듯이, 이야기 문법에 대한 명시적 지도는 L2 독자들에게 비교적 짧은 기간 안에 서사 텍스트를 이해할 수 있는 형식 스키마를 구축하는 효율적인 틀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이야기 문법 지도를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교사 연수, 이론의 적절한 실행, 자료 선정 등 실제적인 사항들을 세심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EFL 교수자들은 L2 독자들의 상태에 따라 차별화된 이야기 문법 지도를 신중하게 시행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