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2 Download: 0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은유 이해 및 은유 사용 연구

Title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은유 이해 및 은유 사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etaphor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Vietnamese Korean Students
Authors
정혜선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가 은유 표현을 이해하고 사용하는 은유 능력을 은유 유형 및 맥락 제시 여부, 그리고 학습자 변인의 관점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 학습자가 개념적 은유에 기반한 한국어 은유 표현을 이해하고 사용함에 있어 은유가 가진 언어적, 문화적 속성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문맥이 갖는 효과가 어떠한지, 마지막으로 은유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요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확인하여 한국어 교실에의 적용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은유 표현은 문자적 의미와 다른 비유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으며 문화권 내 사람들의 사고를 반영하고 있어 제 2언어 학습자가 이를 알아차리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가 은유 표현을 인식하고 해석하는 방식, 그리고 은유 표현을 사용하는 방식은 모국어 화자의 그것과는 다를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은유는 우리 생활과 동떨어진 수사학적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언어적 차원을 넘어 사회문화적 인식을 포함하는 인지적 차원에 있다는 개념적 은유 이론을 토대로 일상적이고 관습적으로 사용되는 은유 표현을 중심으로 학습자의 은유 능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I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필요성을 밝히고, 제 2언어 교육의 관점에서 은유 습득을 다루고 있는 국내외 연구들을 은유 이해에 대한 연구와 은유 사용에 대한 연구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선행 연구에 대한 분석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가설을 세웠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제시하였다. 우선 전통적 관점의 은유로부터 인지언어학점의 관점에서의 은유에 대한 논의를 개괄하고 인지적 사상과 의미적 확장 차원에서의 한국어 은유 표현에 대해 확인해 보았다. 또한, 개념적 은유 이론의 대두와 함께 제 2언어 학습자들이 주목하기 시작한 은유 능력의 개념에 대해 고찰하고 이러한 은유 능력을 학습자들이 습득함에 있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은유 유형과 언어적, 인지적, 문화적 요인에 대해 확인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우선 연구의 절차를 밝히고, 예비 실험을 소개하면서 본 실험 전에 수정·보완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실험에 참여한 실험 참여자,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 수집 도구, 그리고 연구 문제에 따른 자료 분석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Ⅳ장에서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은유 이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은유 유형에 따른 은유 이해를 확인하기 위해 문화 특수성에 따라 목표어와 모국어에서 형태와 의미가 동일한 은유 표현(A1), 목표어와 모국어에서 형태는 같으나 의미가 다른 은유 표현(A2), 모국어에 없지만 의미가 투명한 은유 표현(A3), 모국어에 없고 의미가 불투명한 은유 표현(A4)으로 은유 표현을 유형화하였다. 또한 목표어인 한국어 내에서의 관습성을 기준으로 어휘화된 은유(B1), 비유적 의미를 가진 다의어(B2), 관용어(B3)의 세 가지로 은유 표현을 구분하였다. 상기 제시한 은유 유형에 따라 한국어 학습자들의 은유 표현의 비축자성에 대한 인식, 은유 표현에 대한 해석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은 모국어와 형태와 의미가 같은 은유 표현에 대해서는 문자적 의미에 더 가까운 것으로 인식하고 이해 점수도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모국어와 형태가 같지만 의미가 다른 경우와 모국어에 없고 의미가 불투명한 경우에는 이를 문자적 의미와 멀게 느끼고 이해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관습성을 기준으로 한 은유 유형에 따라서는 한국어의 어휘화된 은유에 속하는 B1의 경우 축자적으로 사용되었을 때와 비유적으로 사용되었을 때의 의미가 상대적으로 비슷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비유적 다의어 범주에 속하는 B2 경우에는 문자적 의미와 비유적 의미 간에 좀 더 거리가 있는 것으로 인식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습성을 기준으로 한 은유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은유 이해 점수는 어휘화된 은유인 B1 유형에서 가장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그 다음으로는 한국어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관용어 은유였고 가장 이해하기 어려워한 은유 유형은 비유적 의미로 쓰인 다의어 범주에 속한 은유 표현이었다. 다음으로 문맥 제시 여부에 따라 은유 이해에 차이가 발생하는지 확인해 보았다. 그결과 문맥이 제공되지 않은 집단의 경우 A1과 A2, A1과 A4, 그리고 A3과 A4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이를 통해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모국어와 동일한 은유 유형과 형태는 같지만 의미가 다른 유형, 모국어와 동일한 은유 유형과 모국어에 없으면서 의미가 불투명한 유형, 그리고 모국어에 없으면서 의미 추측이 투명한 유형과 불투명한 유형 간 은유 표현의 이해에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문맥이 제공된 집단의 경우에는 문화 특수성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A1과 A4 간의 차이만 유효하였으며, 관습성을 기준으로 한 은유 유형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없어 문맥 제시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은유 이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많은 변인 가운데 특히 언어적 요인, 인지적 요인, 문화적 요인의 영향도를 살펴보고자 언어적 요인으로써 어휘 깊이, 인지적 요인으로 인지적 유연성, 문화적 요인으로 문화 간 감수성을 학습자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우선 어휘 깊이 점수와 은유 능력 간의 상관 관계를 은유 이해의 관점에서 살펴본 결과, 어휘 깊이와 은유 이해 점수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문화 특수성을 기준으로 한 모든 유형의 은유 이해 점수가 어휘 깊이와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히 어휘 깊이의 영향력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높은 유형은 A3과 A4였다. 다음으로 인지적 유연성은 은유 이해 점수와의 상관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은유 유형별로 상관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에는 은유 이해와 관련해서는 A2만이 인지적 유연성과 상관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관습성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인지적 유연성은 은유 이해와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문화 간 감수성이 은유 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해 본 결과 문화 간 감수성은 은유 이해 점수를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었다. 또한 문화 간 감수성이 베트남어에 없는 은유 표현인 A3과 A4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여 매우 흥미로웠다. 한편, 은유 사용과 관련하여 학습자 개별 요인이 미치는 영향력을 통계로 검증한 검증해 본 결과 세 가지 변인이 은유 이해에 미치는 영향력은 27.0%이었고 가장 영향력이 큰 변인은 ‘문화 간 감수성’이었다. Ⅴ장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은유 사용 양상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Ⅳ장에서 제시한 분류 기준에 의거 은유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은유 사용 양상을 확인해 본결과 한국어 학습자들의 은유 사용 점수는 전반적으로 은유 이해와 대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문화 특수성을 기준으로 한 은유 유형별로 명시적 표현과 은유 표현을 선택하는 정도에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베트남어와 한국어의 은유 표현의 형태와 의미가 같은 A1의 경우에는 학습자들이 은유 표현을 선택한 빈도가 가장 높았는데 이러한 경우 명시적 표현이 있지만 학습자들이 은유 표현을 선택하는데 모국어 전이가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맞는 은유 표현을 많이 선택한 유형은 A3였는데 이 경우에는 은유 표현보다 명시적 표현을 선택한 경우가 많았으며 A1 대비 오답을 선택할 확률도 높아졌다. 베트남어와 한국어에서 의미가 다른 유형은 A2의 경우에도 A3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는데 학습자들은 은유 표현보다 명시적 표현을 보다 선호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어에만 있으면서 의미가 불투명한 경우에는 은유 표현을 선택할 확률이 낮았던 반면 명시적 표현을 선택한 확률이 높았으며, 그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오답률 자체도 크게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습성을 기준으로 한 은유 사용 관련 결과는 은유 이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어휘화된 은유인 B1의 경우가 가장 높았고 관용어가 비슷한 수준을 보이며 뒤를 이었으며, B2유형은 학습자들이 사용을 가장 어려워하는 은유 표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자들은 관습성을 기준으로 한 은유 유형별로 명시적 표현과 은유 표현을 선택하는 정도에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우선 어휘화된 은유 표현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해당 은유 표현을 선택한 확률이 높았으며 명시적 표현보다 은유 표현이 보다 선호되었다. B3의 경우는 비슷한 수준이기는 하나 명시적 표현을 선택한 비율이 은유 표현을 선택한 비율 대비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B2의 경우는 다른 두 가지 유형과는 달리 큰 차이로 명시적 표현을 선택한 비율이 두 배 가까운 수준에 이르렀으며 오답률도 매우 높았다. 문맥 제시 여부에 따라 학습자의 은유 사용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본 결과, 은유 사용 점수는 A1, A3의 경우에는 집단간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A2와 A4의 경우 문맥 제시 여부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문맥 제시 여부를 기준으로 집단 별 점수를 좀더 구체적으로 확인해보면 두 집단 모두 A1과 A4간의 차이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관습성을 기준으로 한 은유 유형에 따라서는 문맥이 제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은유 유형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고 문맥이 제시된 경우에만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어휘 깊이, 인지적 유연성, 문화 간 감수성을 학습자 변인으로 은유 사용 점수와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았다. 우선 어휘 깊이 점수와 은유 능력 간의 상관 관계를 은유 사용의 관점에서 살펴본 결과, 어휘 깊이와 은유 생산 점수 간의 상관관계가 모두 유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은유 사용의 경우 총 변화량의 56%가 어휘 깊이에 의해 설명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지적 유연성은 은유 이해 점수와의 상관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는데 은유 사용의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값을 보였다. 은유 유형별로 상관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에는 은유 사용에 있어서는 A4를 제외한 나머지 은유 유형이 인지적 유연성과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습성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에는 인지적 유연성은 B2와 B3 유형에서만 은유 사용과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화 간 감수성은 A3과 A4 유형의 은유 표현 사용과 관습성에 의거한 모든 유형의 은유 사용에 있어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세 변인이 은유 사용에 미치는 영향력은 56.7%로 은유 사용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은유 사용에 주효한 학습자 변인은 ‘어휘 깊이’와 ‘인지적 유연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taphoric competence of Vietnamese Koreans in language learning; another aim was recognizing their ability to comprehend and produce metaphorical expressions based on the type of metaphor and context. The study sheds light on the methodology applied in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class by checking how cultural and linguistic traits work for Korean learners’ understanding and how they use metaphorical expressions based on conceptual metaphors. The study findings also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the effects of context and learner factors that influence metaphorical language ability. A large amount of evidence from previous studies exposes the limitations for second language learners in understanding metaphorical expressions according to their figurative (not literal) meanings and ways of thinking based on culture. This study began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recognition, interpretation, and utilization of metaphorical expressions by the second language learner must b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native speaker. Based on the conceptual metaphor theory, which states that a metaphor is positioned at a cognitive level that includes social and cultural cognition beyond the linguistic level and does not have a rhetorical function far from one’s life, learners’ metaphorical language abilities based on daily and customary metaphorical expressions were investigated. Chapter I present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dealing with metaphoric acquisition from the viewpoint of second language education are examined by separating them into studies about the understanding and use of metaphors. In addition, based on an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 subject and assumptions are established. Chapter Ⅱ present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nitially, it summarizes the discussion on metaphors from the traditional cognitive-linguistic view and checks metaphorical expressions in Korean at the cognitive and semantic expansion levels. Additionally, metaphorical language abilities of second language learners are examined in relation to the conceptual metaphor theory and classifications of metaphors. Linguistic, cognitive, and cultural factors that can influence learners who are attempting to acquire these abilities are also explored. Chapter Ⅲ describes the study method. First, it discloses the research process and introduces a preparatory experiment that was employed before conducting the main experiment. It also describes the study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tools, and data analysis methods utilized to address the research problems. Chapter Ⅳ investigates the ability of Korean language students to understand and learn Vietnamese. To confirm the understanding of metaphors based on type, the metaphorical expressions were categorized in the target language as follows: a metaphor that retains the same organization and meaning as that in the native language (A1), a metaphor that retains the same organization but has a different meaning than that in the target language and mother language (A2), a metaphor that does not exist in the mother language but which has a clear meaning (A3), and a metaphor that does not exist in the mother language and for which the meaning is not clear (A4). Supplementarily, metaphor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lexicalized metaphors (B1), polysemy with figurative meaning (B2), and idioms (B3). With the aforementioned types of metaphors, Korean learners recognize the need for self-examination in understanding and acquiring metaphors based on the customs of the target language, which is Korean. In this study, learners recognized metaphors with the same organization and meaning as those in their native language as closer to the literal meaning and showed greater understanding based on the type of metaphor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When metaphors had the same organization but different meanings than those of the mother language and when the metaphors did not exist in the native language and the meaning was unclear, learners perceived distance from the literal meaning and had difficulty understanding. For the type of metaphor based on customary habits, learners recognized the meanings of metaphors in literatim, and figurative uses were relatively similar in the case of B1 metaphors. However, in the case of B2 metaphors, the distance between the literal meaning and figurative meaning that learners recognized was greater. The learners’ metaphoric understanding score according to the type of metaphor based on customary habits had the highest average value for B1 metaphors, followed by B3 metaphors commonl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The most abstract type for learners was a metaphorical expression belonging to the multilingual category used in the figurative sense. In addition, the presentation of context was examined according to differences in metaphoric understanding. As a resul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A1 and A2, A1 and A4, and A3 and A4 in the group without context. The data on Korean learning showed that Vietnamese Korean students exhibited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metaphors having the same type and form but different meanings as those in their native language, the same type of metaphor as that in their native language, metaphors that did not exist in their native language for which meanings were unclear, and metaphors with clear or ambiguous meanings that did not exist in their native language. Based on culturally distinct characteristics, however, only the difference between A1 and A4—as shown in the group that was provided with the context—and the effect of presenting the context could be confirmed because the differences in metaphor types based on customary habits were not shown. Conclusively, cognitive and cultural factors predominated among all kinds of variables that could influence the understanding of metaphors. In this study, the depth of vocabulary for linguistic factors, cognitive flexibility for the cognitive factors,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for the cultural factors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full effect of linguistic factors. Whe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pth of vocabulary and metaphorical language ability was viewed at the point of metaphoric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was significant. In addition, all metaphoric understanding scores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depth of vocabulary based on cultural characteristics, especially understanding for A3 and A4 metaphors, which had the highest explanatory ability for influencing vocabulary depth.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metaphoric understanding scor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customary habit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metaphoric understanding. Finally, cultural sensitivity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metaphoric understanding score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cultural sensitivity on metaphorical language ability. In addition, it was interesting to see the result of strong intercultural sensitivity in metaphorical expressions A3 and A4, which do not exist in Vietnam. Regarding the type of metaphor based on customary habits, cultural sensitivity had an influence on the understanding of daily metaphors. Chapter V investigates metaphors using the ability of Koreans to learn Vietnamese. When learners’ ability to use metaphors was examin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tandard suggested in Chapter IV, Korean language learners’ scores for using metaphors were at a lower level compared to their scores for understanding metaphor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to which learners chose explicit and metaphorical expressions from metaphorical types based on cultural specificity. In the case of A1 metaphors, for which Vietnamese and Korean languages share the same form and meaning, learners mostly chose metaphorical expressions. In this case, even if there was a stated expression, it seems that the transition from the native language had a positive effect when the learners were choosing a metaphor. Next was the A3 category, also having a high percentage of correct metaphors, though the stated expression was selected more than the metaphor in this situation, and the possibility of choosing wrong answers was greater compared to A1 metaphors. The type that had a different meaning in Vietnamese and Korean showed a similar tendency in A2 and A3 metaphors; learners preferred stated expressions rather than metaphors. Lastly, when the meaning was ambiguous and there was no such metaphor in languages other than Korean, there was a low percentage for choosing metaphors, but a higher level of stated expressions was evident. Furthermore, the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s was greater because students could not figure out correct meanings. In the results related to metaphor use based on customary habits, which were the same as the results for metaphorical understanding, B1 metaphors ranked highest, followed by B3 metaphors. Findings confirmed that B2 metaphors were the toughest for learner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learners’ degree of selection in terms of stated and metaphorical expressions for each type of metaphor based on customary habits. First, B1 had a comparatively higher tendency to choose itself, and the metaphor was preferred over the stated expression. Findings regarding B3 were similar, but the percentage of participants who chose the stated expression was higher than that for choosing the metaphor. However, in the case of B2 metaphors, the rate of incorrect answers was very high, and unlike the other two types, the rate of choosing stated expressions nearly doubled. Cognitive flexibility and cultural sensitivit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taphor usage score and those variables were examined with learner variables, such as depth of vocabulary. First, it was clear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vocabulary depth and metaphor-producing scores was significant. Next,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the metaphoric understanding sco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it showed significant value for metaphor use whe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s for depth of vocabulary and metaphorical language ability was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metaphor usage. The study results demonstrated that types excluding A4 involved cognitive flexibility and correlation in the use of metaphors based on customary habits; cognitive flexibility had a correlation with metaphor usage only in the B2 and B3 classifications when the correlation of each type was examined. Intercultural sensitivity showed a meaningful correlation in all kinds of metaphor usage based on A3 and A4 metaphors and customary habits. In summary,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at the main variables affecting the use of metaphors among the three variables were depth of vocabulary and cognitive flexi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