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2 Download: 0

재한 중국어 원어민교사의 한국사회 적응전략과 문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재한 중국어 원어민교사의 한국사회 적응전략과 문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rategie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Native Chinese Teachers in Korea for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Authors
Zhang, Xiaoqing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영민
Abstract
재한 중국어 원어민교사들은 이주민, 직장인, 교육자 등 글로벌 사회, 다문화-상호문화 사회의 일원으로서 다양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이들이 한국 사회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을 국가적, 사회적, 지역적 차원에서 접근하여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많다. 한편 개인적 차원(혹은 수준)에서 접근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다. 본 연구의 목적은 5년 이상, 심지어 20년 동안 꾸준히 근무해온 재한 중국어 원어민교사 집단을 대상으로 그들이 장기간 교사로서, 이주민으로서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전략을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드러난 그들의 문화적 특성을 분석하여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다양한 기관에서 교수, 교사, 강사, 개인과외, 원장 등으로 근무하는 재한 중국어 원어민교사 2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하여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 보호를 위해 이화여자대학교 IRB 심사를 거쳐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면담 자료를 모두 전사한 후에 상호문화주의 및 상호문화역량의 관점에서 트랜스이주자 및 이주민 정체성에 초점을 맞추어 문화적응이론 및 이주민 사회적응 이론을 적용하고 그들의 문화적 권리 측면을 고려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 주제를 설정했다. 첫째, 재한 중국어 원어민교사들이 교사로서, 이주민으로서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사용한 전략이 무엇인지, 둘째, 재한 중국어 원어민교사들이 일반 이주노동자(주로 육체적 노동을 하는)와는 다른 지식인 계층으로서의 문화적 특성은 어떤지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첫째 주제에 대해 그들의 한국사회 적응전략을 상호문화 역량 구성 요소인 지식, 기술, 태도의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그 결과 (1) 지식의 측면에서는 ‘知彼知己(지피지기)’전략을 활용하였다. (2) 기술의 측면에서는 ‘因人而异(인인이이)’를 실시하였다. (3) 태도의 측면에 있어서 현실에 알맞은 역할을 취하여 ‘有的放矢(유적방시)’전략을 활용하여 자문화를 객관적으로 보면서 열린 마음으로 타문화(한국문화)를 받아들여 상호 인지를 확인하여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그들이 교사라는 직업 특성상 특히 주변과의 원만한 의사소통에 가장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는 점을 의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적응과정에서 마주하는 어려움에 대한 전략을 세분화하여 심층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그들은 언어적 어려움을 겪었으나 전문적인 언어학습기관에 다니는 것보다는 대부분 한국어를 독학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2) 문화적 어려움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한국 문화를 존중하면서도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면서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는 전략을 구사했다. (3) 한국의 교육제도 및 근무환경에서 오는 어려움에 대해서는 이를 자신의 힘으로 해결하지 못함을 분명히 의식하고 현재 상황을 받아들이면서 자신이 속해있는 한국 및 본국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더 좋은 기회를 기다리고 있었다. (4) 외로움(무기력함)과 스트레스로 인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주변으로부터 도움을 받는 것보다는 스스로 해결하는 점이 두드러졌다. (5)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정체성의 변화로 인한 혼란을 느끼면서도 적절히 스트레스를 해소함으로써 자신의 새로운 정체성을 점차 확립하게 됨으로써 한국 생활에 대해 평안함을 느끼게 되었다. 다시 말해, 다문화사회에서 이주민으로서 요구할 수 있는 문화적 권리에 있어서 겉으로는 문화 자유권, 문화 평등권, 문화 교육권, 문화 환경권 및 문화 참여권을 모두 누리고 있는 것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수동적인 자세를 가지고 어려움을 호소하는 대신 스스로 해소하는 길을 택했다. 이는 한국 다문화사회에 던져주는 의미 있는 시사점이라고 판단된다. 두 번째 연구주제는 한·중 문화 공존 단계에 도달한 중국어 원어민교사의 문화적 특성에 대해서이다. 이에 대해서 연구자는 내부자의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중국어 원어민교사의 출신지에서 유래한 문화적 특성에는 전공의 다양성, 천직으로서의 교사의 사명의식, 유사한 직업에서의 성취감 및 출국 동기의 다양성이 포함되어있었다. 구체적으로는 (1) 중국어 원어민교사라는 공통된 속성을 가지고 있지만, 그들의 전공은 무척 다양하다는 점이 한국 생활에 대한 적응 방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2) 재한 중국어 원어민교사가 된 이유는 주로 세 가지이며 ➀ 가족 중에 교사가 있는 경우, ➁ 본국 및 한국 사회에서 교사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➂ 중국어 교수를 통해 느낀 단순한 직업 수단 이상의 즐거움, 성취감, (3) 특히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원인은 학생의 성공, 승진, 중국어에 대한 흥미 유발 및 학생들의 교습에 대한 좋은 평가 등이 있었다. (4) 한국으로 입국한 동기는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가장 큰 이유는 본국에서 처해 진 상황에 대한 불만족 때문에 한국으로 이주하여 더 나은 삶을 추구하고자 함이었다. 한편, 정착지(한국)에서 만들어진 문화적 특성은 한국 사회에 대한 열린 자세와 태도, 트랜스 이주자로서의 유연한 정체성과 원어민교사의 자부심과 비전문가들의 진입에 대한 우려 등으로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1) 한국 생활을 통하여 중국어 원어민교사들은 육체적, 정서적, 심리적으로 많은 성장을 하였고 상호문화 역량 또한 성장하여 주변 환경, 특히 근무환경 및 생활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높아졌다. 즉, 새로운 사회에 탄력적으로 적절히 적응하고자 하는 역량을 갖게 되었고 이로 인해 한국 사회에 대한 열린 자세와 태도를 취하게 되었다. (2) 한국 및 본국과의 긴밀한 네트워크를 공유하고 있는 트랜스 이주자로서 출신지와 정착지 사회의 영향을 받아 유동적 정체성 또한 초국가적 정체성을 가지며 이를 현실 생활에 적용하면서 보다 좋은 기회를 기다리고 있다. (3) 원어민교사란 직업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고 있으나 교사들에 대한 통일된 임용 및 평가 기준이 없으므로 중국어 원어민교사의 전문성을 확보하지 못하며 취업현장에서 불리한 위치에 처해 있다. 이상의 분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재한 중국어 원어민교사들이 교사로서 한국 사회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여러 전략을 활용했으나 아직은 한국 사회가 그들의 역할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에서 이루어지는 중국어교육의 지속적인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재한 중국어 원어민교사에 대한 질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해 보인다. 또한 한국 상황에 맞는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재 개편이 시급하다. (2) 재한 중국어 원어민교사들이 이주민으로서 어려움을 겪게 될 때 다른 이주민과 협력하기 보다는 스스로 해결하고 적응전략을 찾아내려고 했다. 따라서 다문화사회의 일원으로서 자신이 누릴 수 있는 문화적 권리를 적극적으로 향유하기 위해서라도 혼자만의 세계에 갇혀 있지 말고 같은 처지에 있는 이주민(중국어 원어민교사, 노동자, 유학생 등)과의 개방적이고 적극적인 교류를 통해 네트워크의 선순환을 구축하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더불어, 한국 사회도 겉으로는 잘 적응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들의 내적 갈등에 더욱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3) 중국어 원어민교사의 문화적 특성은 출신지에서 유래한 문화적 특성과 정착지에서 형성된 문화적 특성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 특히 재한 중국어 원어민교사들이 천직으로서의 교사의 소명 의식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는 비정규직, 높은 대체성, 낮은 임금 등과 같은 열악한 근로 조건으로 인해 부득이 다른 직업군으로의 이직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재한 중국어 원어민교사의 자질 및 복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에서 공인 중국어교사 자격증이 제도적으로 도입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를 위해 먼저 중국어 원어민교사의 정의를 확립하고 자격 기준에 대한 연구 및 교육 경력 등을 감안한 표준화된 중국어 원어민교사 인증, 임용, 처우에 대한 표준화된 기준 도입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최대한 다양한 개인적인 배경, 다양한 근무 경험을 가진 중국어 원어민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가 그동안 미미했던 재한 중국어 원어민교사들의 삶과 관련한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다. 본 연구는 향후 중국어 원어민교사라는 이주민 그룹이 현재 한국인 중국어 교사의 단순한 ‘보조’역할을 넘어 독립적인 교사로서, 독립된 인격체로 더 많은 관심과 존중을 받기 위한 초석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작성되었음을 밝히고 싶다. ;Native Chinese teachers in Korea have various identities including immigrants, office workers, and educators. As a member of a global and multicultural society, although studies on native Chinese teachers with various identities are worth researching, most of these studies approach the problems that native Chinese teachers face in Korean society at the national, social, and local level to suggest solutions. Only a small number of studies are approaching at the individual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dapting strategies to Korean society as long-term teachers and migrants for a group of native Chinese teachers in Korea who have been working steadily for more than five to even 20 years, and to analyze and explore their cultural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 process. In this study, 20 native Chinese teachers in Korea who worked as professors, teachers, lecturers, private tutors, and directors at various institution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protect the participants,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through IRB screening at Ewha Womans University. After all interview data were transcribed,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by applying the following prior research reviews and theories: interculturalism & intercultural competence, trans-migrant & immigrant identity, cultural adaptation theory & migrant social adaptation theory, cultural adaptation theory. The research topics were set as follows. First is to analyze the strategies used by native Chinese teachers in Korea as teachers and migrants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Korean society. Second is to analyze and presen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native Chinese teachers in Korea as intellectuals who are different from ordinary migrant workers, mainly physical labor. For the first topic, their social adaptation strategie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three areas: knowledge, technology, and attitude, which are components of mutual cultural competenc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erms of knowledge, they have used the ‘knowing one's side and the other's side’ strategy. (2) In terms of technology, they have implemented ‘strategy to respon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opponent’. (3) In terms of attitude, they have tried to maintain a friendly relationship by taking an objective view of consultation, using the strategy of ‘setting a goal and work according to it’ and accepting other cultures with an open mind. This result shows that they put the most effort into interrelationships with their surroundings and smooth communication due to the nature of their profession as teachers.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in-depth analysis by subdividing the strategies for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the adaptation process, the following points were confirmed. (1) They have difficulties in language, but most of them have taken the way of self-taught Korean rather than attending professional language learning institutions. (2) When it comes to difficulties caused by cultural differences, they generally respect Korean culture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to take a neutral stance while avoiding direct contact. (3) They are clearly aware that they cannot solve the difficulties caused by the Korean education system and working environment by themselves, so they are accept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waiting for a better opportunity through the network with Korea and their home country. (4) It is noticeable that they have solved themselves rather than getting help from the surroundings to solve the difficulties caused by loneliness and stress. (5) The life in Korea has caused them feel confused by changes in their identities, but they feel more comfortable in Korea by gradually establishing their new identity by properly relieving stress. In other words, as the migrants in multi-cultural society, they enjoy the cultural rights, such as cultural freedom, cultural equality, cultural education, cultural environment, and cultural participation on the face. But in fact, they deal with difficulties in a passive attitude, instead of make an appeal to the social, they chose to solve them by themselves. This is considered to be a meaningful suggestion for the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The second topic i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ative Chinese teachers who have reached the stage of coexist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culture. For this, the researcher took the perspective of an insider's point of view,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place of origin of native Chinese teachers include diversity in the background of their majors, a sense of teacher as a vocation, a similar sense of accomplishment in jobs, and diversity in motivation to leave the motherland. Specifically, (1) they have the same job as native Chinese teachers, but the fact that their major background seems very diverse, which affects the way they adapt to Korean life. (2) There are three main reasons for becoming a native Chinese teacher in Korea: ① a family background with a teacher in the family, ② a positive image of a teacher in hometown and Korean society, and ③ a sense of joy and achievement beyond simple vocational means felt through Chinese teaching. (3) The reasons for feeling a sense of accomplishment from the teaching were student success, progress, interest in Chinese, and good evaluation of students' teaching. (4) There were various motives for leaving for Korea, but the most fundamental reason was to migrate to Korea and pursue a better life due to dissatisfaction with the situation in their home country. On the other h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composed in the settlement(Korea) were found to be open attitudes and attitudes toward Korean society, flexible identities as transmigrants, pride of native teachers and concerns about non-professionals. Specifically, (1) through life in Korea, native Chinese teachers have grown a lot physically, emotionally, and psychologically, and mutual cultural competencies also have been improved, increasing their adaptability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especially the working environment and living environment. In other words, they have had the ability to flexibly and appropriately adapt to a new society, and as a result, they take an open attitude and attitude toward Korean society. (2) As a transimmigrant who shares close networks with Korea and his home country, fluid identity also has a transnational identity under the influence of his country of origin and settlement society, and is waiting for a better opportunity while applying it to real life. (3) Native-speaking teachers are proud of their jobs, but they cannot secure the expertise of native Chinese teachers because they do not have a unified criteria for appointment and evaluation of teachers, and are at a disadvantage in the job field.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earch results, I would like to presen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native Chinese teachers in Korea actively used various strategies to adapt well to Korean society as teachers, but they came to the conclusion that Korean society is not fully aware of their role yet.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continuously study native Chinese teachers in Korea, who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Chinese education in Korea. In addition, it is urgent to reorganize Chinese textbooks as a foreign language suitable for the Korean situation. Second, when native Chinese teachers in Korea had difficulties as migrants, they tried to solve themselves and find adaptation strategies rather than cooperating with other migrants. Therefore, in order to actively enjoy the cultural rights as a member of a multi-cultural society and not be trapped in the world alone, they should establish a virtuous cycle of the network through open and active exchanges with migrants (native Chinese teachers, workers, international students, etc.) in the same situation. In addition, Korean society should also pay more attention to the internal conflicts of those who seem to be adapting well on the surface. Thir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native Chinese teachers include cultural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place of origin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formed in settlements. In particular, the researcher noted that native Chinese teachers in Korea have a sense of teaching as vocation, but have no choice but to choose a different career path due to poor working conditions such as non-regular workers, high replacement, and low wag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and welfare of native Chinese teachers in Korea, a certified Chinese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is needed at the national level. Therefore, it is urgent to establish the definition of native Chinese teachers first and introduce standardized standards for certification, appointment and treatment of native Chinese teachers considering qualification criteria research results and educational field experience. This study have used native Chinese teachers with as many personal backgrounds and various work experiences as possible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derived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meaningful to become the basis of research on the lives of native Chinese teachers in Korea who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for research matters. It has been hoped to serve as a cornerstone of research on efforts to attract more attention on the immigrant group of native Chinese teachers, not as the helpers for the Korean Chinese teachers, but as the teachers playing independent rol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