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1 Download: 0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거절 화행 교육 방안 연구

Title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거절 화행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eaching on Refusal Speech Act in Korean for Korean Language beginners using Focus-on-form Approach
Authors
전은혜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혜
Abstract
본 연구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초급 단계에서 교수 학습이 가능한 거절 화행 교육 내용을 마련하고 구체적인 거절 화행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실제적인 의사소통 중심 교수 학습에 관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 학습자들에게 제공되는 교육 내용이 문법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다소 치우쳐 학습자의 언어 사용과는 분리된 차원에서 다루어졌다. 현 한국어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화행 교육은 언어적 숙달도가 확보된 중급 이상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초급 학습자들을 위한 화행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초급 단계에서 학습자들에게 제공되는 화행에 관한 교육적 정보가 기능 중심으로 제시되기보다는 목표 문법 항목의 연습 및 활용을 위한 목적으로 제시되며 부차적으로 다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초급 학습자는 화용적 상황에 따른 자연스러운 표현 구사에 문제를 겪고 의사소통 과정상의 갈등을 빈번하게 경험하게 된다.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한국어 화행 중 교육 내용 선정을 위한 범주로는 의사소통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구사하여야 하고, 발화 수행 부담이 높아 학습자들이 큰 부담을 겪는 ‘거절’을 선정하였다. 거절 화행 교육 시 학습자에게 화용적 정보를 명시적으로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학습한 내용을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형태 초점 접근법(Focus on Form)을 활용한 교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연구의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화행 교육 및연구가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을 차지하며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도 다른 영역에 비해 거절 화행을 비롯한 여러 화행 교육이 다소 소홀하게 다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장에서는 한국어 거절 화행의 개념과 유형 등 거절 화행 교육을 위한 화행 이론을 살펴보았고, 형태 초점 접근법과 명시적 교수의 개념 및 정의를 살핌으로써 명시적 화행 교수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거절 화행의 상황 맥락 변인과 유형에 대해 정리한 내용은 3장에서 제시한 한국어 교재 분석 틀의 기초가 되었다. 3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절차와 분석 대상 및 분석 틀을 제시하였다.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거절 화행 교육 내용을 마련하기 위해 분석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발행한 교재 6종을 선정하였고 분석 대상 선정 근거와 분석 기준을 밝혔다. 4장에서는 한국어 초급 교재에 나타난 거절 화행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거절 화행 교육의 현황과 보완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가 거절 상황에 관해 파악할 수 있는 화용적 정보의 제시가 모호하거나 매우 부족하다는 점, 거절 전략을 지도하지 않는다는 점, 다양한 연습 및 활동의 제시가 미흡해 실제 사용에 앞서 교실 안에서 학습자가 충분히 연습하기 어렵다는 점 등의 문제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초급 학습자를 위한 거절 화행 교육 내용에 대해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4장에서 제시한 교수 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거절 화행 교육 방안의 절차 및 방법을 제안하였고, 거절 화행 수업의 실제를 통해 구체적인 수업 운영 방안을 보였다. 본 연구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거절 화행 교육 방안에 관해 논의하였다. 초급 학습자에게 거절 화행 수업을 실시한 뒤 이에 관한 교육적 효과를 연구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으나, 중급 이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기존 거절 화행 교육 연구와는 달리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거절 화행 교육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어 화용 교육에서 명시적 교수 가능성을 지지하는 논의는 꾸준히 이어졌으나 구체적인 교수 방안에 관한 연구는 드물었는데, 형태 초점 접근법을 활용하여 명시적 교수에 근거한 거절 화행 교수 방안의 예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거절 화행 교육과 나아가 명시적 교수법에 근거한 한국어 화행 교육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contents of refusal speech act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beginners and to suggest a specific refusal speech act education plan. In order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learners, many efforts are being made on practical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for this purpose,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ed to learners was somewhat biased toward improving their grammatical ability, so it was dealt with separately from the learners' language use. Most studies on Korean speech act education target intermediate learners and above, so studies on speech act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beginners have not been conducted properly. In addition, the speech act education contents provided to beginners are presented for the purpose of practicing grammar items rather than being presented with a focus on functions, and are treated as secondary. Because of this, Korean language beginners often have problems in using natural expressions according to pragmatic situations and frequently experience conflicts in the communicative situations. For Korean beginners, the refusal speech act was selected among Korean speech acts. This is because beginners should use the refusal speech act in the communicative situations and feel a great burden whenever they use it. Therefore, in order for learners to perform rejection dialogues well in actual communicative situation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teaching method using a form-focused approach and to explicitly present pragmatic information to Korean language learner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did not reveal the educational effect of refusal speech act class for Korean beginners. However,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refusal speech act education study targeting beginner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targeted intermediate or higher learners. In the meantime, discussions in support of explicit teaching in Korean pragmatic education have continued. Nevertheless, studies that suggested specific teaching methods were rare, a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a teaching method of refusal speech act based on explicit teaching.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the study of refusal speech act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beginners and furthermore, Korean speech acts education based on explicit teaching metho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