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1 Download: 0

대학졸업자 해외 취업 성과의 영향 요인 분석

Title
대학졸업자 해외 취업 성과의 영향 요인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factors about overseas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Authors
유채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안나
Abstract
세계화되어가며 국가 간 상품, 정보의 이동은 물론, 사람의 이동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해외 취업도 그중 하나인데 한국 청년층의 해외 취업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2019년 구인·구직 플랫폼인 사람인에서 구직자를 대상으로 해외 취업 의향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 중 79.5%가 해외 취업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서울경제, 2019.03.31.). 해외 취업을 원하는 이유로는 언어 및 글로벌 경험이 가장 많이 꼽혔고 그다음으로 어려운 국내 취업, 높은 급여 수준에 대한 희망 순이었다. 이는 해외 취업 의향을 설문한 선행연구와 해외 취업 경험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도 공통되게 나타난 이유였다. 정부 역시 해외 취업을 장려하고 있으며 국제화에 발맞춰 대학에서도 해외 취업을 위한 여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는 COVID-19로 국가 간 교류가 자유롭지 못해 해외 취업이 주춤하고 있지만, 일상 회복과 국가의 취업 장려, 경기 활성화 등으로 해외 취업의 활발한 흐름이 계속되리라 생각한다. 해외 취업에 관한 선행연구는 해외 인턴십, 해외 취업 활성화 방안이라는 정책적인 측면에 초점 맞추거나 해외 취업 의향을 단순 조사하는 정도에 머물렀다. 해외 취업 경험자를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는 해외 취업에서의 객관적인 성과를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앞서 이루어진 양적 연구는 특수 직군에 한정되어 만족도 등 단순한 기술통계에 그쳤다. 초기 노동시장 진입에 대한 선행연구는 개인, 가정, 대학의 여러 변인이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이 국내가 아닌 해외 취업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은 다변화, 국제화되는 노동시장에서 개인의 노력만으로 노동시장 성과를 개선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을 밝히고 어떠한 부분을 보완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졸업자의 해외 취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탐색하였다. 첫째, 첫 해외 일자리의 계약직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대학 변인은 무엇인가? 둘째, 첫 해외 일자리에서의 월평균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대학 변인은 무엇인가?, 셋째, 첫 해외 일자리에서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대학 변인은 무엇인가?. 이를 확인하기 위해 더미변수인 계약직 여부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월평균 소득과 첫 일자리 만족도는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조사한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2013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자료부터‘2019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자료까지 7개년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본 연구 주제와 관련해 국외에 첫 일자리를 가졌었다고 응답한 대졸자로 한정하였고 Little’s MCAR 분석을 통해 결측치가 완전 무작위 결측임을 확인하고 완전 제거법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여성 268명, 남성 240명으로 총 50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각 변인은 연구 주제와 관련된 문항을 선별하여 구성하였다. 종속변인은 대졸자가 첫 일자리를 해외에 구하였을 때의 성과를 알아보기 위해 계약직 여부, 월평균 소득, 첫 일자리 만족도로 구성하였다. 독립변인은 대졸자의 개인·가정, 대학 특성 관련 변인으로 구성하여 변인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턴 경험이 있을수록 계약의 정함이 없는 고용 형태일 승산비(odds ratio)가 인턴 경험이 없는 이보다 5.06배 높았으며 취업 관련 프로그램에 1개 이상 참여했을 때, 참여 경험이 없는 이보다 비(非)계약직일 승산비(odds ratio)가 2.1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월평균 소득은 남성일수록, 부모 소득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높았고 인턴 경험과 취업 프로그램 경험이 있는 경우, 월평균 소득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첫 해외 일자리 만족도는 학교 소재지가 수도권이었을 때, 학교 만족도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서 서술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제언을 논의하였다.;As William Swing, Secretary-General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IOM), said "Migration is a mega-trend in the 21st century," international movement is leading to a huge trend. In Korea, the trend of international movement is getting stronger, and it can be seen that the willingness to work abroad is increasing for university graduates. Language and global experience were the most common reasons for overseas employment, followed by difficult domestic employment, high salary hopes, corporate culture to pursue work and life balance, and expanded overseas employment. This was a common reason in previous studies that surveyed overseas employment intentions and previous studies targeting overseas employment experiences. Currently, overseas employment is slowing down due to the lack of freedom of exchange between countries due to COVID-19, but the active trend of overseas employment will continue due to daily recovery, national employment promotion, and economic revitalization.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to find out what variables affect university graduates' overseas employment and performance. First, what are the variables of individuals, families, and universities that influence the contractor status of the first overseas job? Second, what are the individual, family, and university variables that affect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first overseas job? and third, what are the individual, family, and university variable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first overseas job?. To confirm this, contract workers, which are dummy variables, were analyzed by perform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monthly average income and first job satisfaction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for the analysis data, seven years of data, from the 2013 Colleg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2GOMS) survey of college graduates in August 2011 and February 2012 to the 2019 Colleg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8GOMS) survey in September 2019. To exclude a sample with even one missing value, Little's MCA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missing value was completely random, and a complete removal method was performed. As a result, a total of 508 people were analyzed, with 268 women and 240 men, excluding 36 samples with any missing value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experienced the intern,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employment type without a contract was 5.06 times that without an intern experience, and when participating in more than one job-related program,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non-contract worker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monthly average income, the more men and parents' income, the more positive (+) the monthly average income, and the more internship and employment program experiences, the more negative (-) the monthly average income. Finally, in the first overseas job satisfaction, it was analyzed that when the school location wa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higher the schoo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described above,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