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4 Download: 0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한국의 사회 문화 변화 연구

Title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한국의 사회 문화 변화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Social and Cultural Changes in South Korea as Reflect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Authors
김민정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최준식
Abstract
본 논문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한국의 사회 문화를 분석하고 시대에 따른 사회 문화의 변화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1950년대 말부터 현재까지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는 한국인들이 사용하는 언어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 문화의 모습이 들어 있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 사회에서 접하게 되는 모든 상황 중에서 대표적인 것을 교재에 싣고 그 내용을 통하여 한국 생활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한국어 교재의 담화와 텍스트 내용을 분석하면 당대 한국의 사회 문화를 볼 수 있다. 현재까지는 사회학, 심리학, 한국학 등의 분야에서 관찰이나 설문 조사를 통하여 한국 사회와 한국인이 가진 가치관 등을 분석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는 교재의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의 사회상과 문화를 시대별로 분석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1950년대 말부터 2010년대까지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한국의 사회 문화 모습을 분석하고 시대에 따른 변화도 고찰하였다. 한국의 사회 문화를 범주화하기 위하여 Hofstede의 문화 차원 이론에서 제시한 기준을 활용하였다. Hofstede의 문화 차원 이론의 경우 70여 개국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문화 차원을 분류하였고 1991년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왔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큰 권력거리와 작은 권력거리, 남성성과 여성성, 불확실성 회피와 수용의 네 가지를 기준으로 한국 사회가 어떤 경향을 갖는지 살폈다. 한편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사회상을 보기 위해서는 교재를 선정하고 시기에 따라 구분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에 국내에서 출판된 일반 목적 한국어 학습자용 교재 중 한 교육 기관에서 4회 이상 개발이 이루어진 교재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연구들을 토대로 교재를 시기별로 분류하여 변화하는 사회 문화를 보는 기준으로 삼았다.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한국 사회는 집단주의적 성향을 보였다. 교재에는 한국인들이 가족을 중시하고 ‘우리’라는 내집단의 결속을 강조하는 내용이 나타났다. 또한 ‘정(情)’과 체면으로 대표되는 정서가 담겨 있었다. 이러한 집단주의 성향은 시기가 지날수록 점차 약화되는 특성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한국 사회는 큰 권력거리의 사회로 볼 수 있었다. 한국어 교재에는 가부장적이며 권위주의적인 태도가 나타났고 남성 중심적인 사회의 모습도 드러났다. 한편 권력을 가지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사이의 거리는 줄어드는 경향이 있었다. 남성성과 여성성 측면에서 한국 사회는 여성성이 강하며 특히 한국 사회에서는 자신을 낮추는 겸양적 태도 중시된다는 사실이 나타났다. 그리고 남성과 여성의 역할 구분이 가정 및 사회에서 점차 사라지는 추세가 교재에 반영되어 있었다. 이는 한국 사회에서 여성성이 더욱 강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불확실성 회피 차원에서 분석한 한국 사회는 불확실성 회피가 강하였다. 자신들과 다른 특성을 가진 사람들에 대하여 배타적인 성향을 갖고 있으며 불안 수준이 높은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불확실성을 회피하는 모습 역시 변화가 있었으며 시대의 흐름에 따라 한국어 교재에는 불확실성을 수용하는 태도가 나타났다. 한국어 교재 내용에 나타난 사회 변화의 양상을 정리하면 집단주의는 약화되고 권력거리는 좁아졌다. 여성성의 특성들은 더 강화되고 불확실성을 회피하는 것에서 수용하는 쪽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그리고 집단주의와 불확실성 회피 차원의 변화가 점진적인 것에 비해 권력거리 및 여성성 차원의 변화는 급진적인 양상을 보였다. 또한 개인이나 가족 영역에서의 변화가 사회적 영역에서의 변화보다 크게 나타났다. 사회적 영역에서의 변화가 더디다 보니 사회생활에서 지켜야 하는 규범이나 예의, 태도가 여전히 중요함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사회 조직 내에서 관계를 중시하는 한국인의 성향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을 위해 개발된 교재에는 당대 한국 사회의 사회상과 문화가 드러나 있었으며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한국 사회 문화의 양상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의 담화와 텍스트 속에 함의된 사회 문화를 논하였고 약 50-60여 년에 걸친 한국 사회의 변화 과정을 살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한국의 사회 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논의와 한국어 교재 및 한국 문화 교육에 관한 후속 연구들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Korea‘s society and culture as it appear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foreigners and to explore social and cultural change in Korea over the passage of time. Korean language textbooks have been published since the late 1950s, when Korean began to be taught as a foreign language in earnest, and provide glimpses into Korean society and culture, as well as the Korean language.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se textbooks include situations which many foreigners are likely to experience, and through which they aim to provide foreigners with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of Korea. Therefore, by analyzing dialogues and text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from different time periods, it is possible to gain an understanding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at the time when each was published. Until now, dominant research in fields such as sociology, psychology, and Korean studies utilized observation and surveys to analyze the values held by Korean society and Korean peopl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which analyze Korean society and culture according to time periods based on textbook content.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social culture of Korea as shown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from the late 1950s to the 2010s and examined the changes over time. This study applied Hofstede’s cultural dimensions theory to categorize Korean social culture. Hofstede’s cultural dimensions theory categorizes dimensions of culture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approximately 70 countries and has been employed in a range of disciplines since 1991. This study relied on four dimensions—individualism-collectivism, power distance, masculinity-femininity, and uncertainty avoidanc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Meanwhile, in order to gain an understanding of societal changes, textbooks must be selected and classified based on time of publication. Therefore, this study determined its research target to be general-purpose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nd updated more than four times by a single educational institution. These textbooks were sorted into time-period categories based on existing research, becoming the criterion through which changes in society and culture would be explored.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indicated a tendency of collectivism within Korean society. Koreans tended to put their family first and to emphasize solidarity with an in-group. The sentiments of affection, or jeong, and decency were also seen in the textbooks. This inclination toward collectivism grew weaker over time. Moreover, it can be said that Korean society has a large power distance.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demonstrated a paternalistic and authoritarian attitude and showed aspects of a male-centered society. However, the gap between the powerful and powerless showed a trend of decreasing over time. In terms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Korean society was rather feministic, particularly putting a high value on modest or humble attitudes. In addition, the inclination that the traditional division of gender roles has declined over time was also reflected in the textbooks. This indicates that Korean society’s femininity continues to strengthen. Korean society showed a strong level of uncertainty avoidance, with a tendency to exclude people who may hold different characteristics to oneself and a high level of anxiety. However, its uncertainty avoidance tendency showed signs of change, with Korean language textbooks showing more tolerance of uncertainty over time. To summarize social changes in Korea as shown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Korea’s tendency of collectivism became weaker, its power distance shrank, its femininity strengthened, and its tendency towards uncertainty avoidance became more tolerant. Changes in the levels of collectivism and uncertainty avoidance were gradual, while power distance and femininity underwent rapid changes. In addition, change at the individual and family level was found to be more substantial than that at the societal level. Korea’s slow change at the societal level indicated that Koreans still value social norms, manners, and demeanors that are required in social life. This also shows that Koreans ten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within social structures. To this end, Korean language textbooks designed for foreigners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reflected the realities of life and culture in Korea at the time of their publication, allowing insight into Korea’s social and cultural changes over time.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significant in that it discussed the social culture implicated in the dialogues and text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examined changes in Korean society over 50 to 60 year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nsight for various future discussions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and later studie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