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3 Download: 0

한국 근현대사에 나타난 무속에 대한 두 가지 시각 연구

Title
한국 근현대사에 나타난 무속에 대한 두 가지 시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wo Perspectives about Korean Shamanism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Authors
이현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노상호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인이 무속에 대해 가지는 이중적 시각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한국 근현대사에서 무속에 대한 이중적 시각이 왜 생겨났으며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일어난 사건을 재해석하여 국민의 ‘집단기억’의 형성과 유지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신문의 기능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의 특징은 그동안 연구되지 않은 신문 기사라는 새로운 자료를 토대로 기존의 학술 담론에서 다루었던 내용 및 주장을 검증하고 이전의 학술 담론이 미처 다루지 못했지만, 신문이 형성한 새로운 내용 및 담론을 정리해 신문에 의해 형성된 담론의 계보를 완성했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일본 식민지 시기부터 1999년까지 약 80년간의 한국 근현대사 속에서 신문에 나타난 무속에 대한 시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검토할 연구 문제는 아래와 같다. -신문에 나타난 무속에 대한 두 가지 시각은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 해왔는가? 본 연구를 위해 1920년부터 1999년까지 무속에 관한 신문 기사에서 주된 이슈를 추출하고 범주화해서 무속에 대한 두 시각을 긍정적 시각과 비판적 시각이라는 관점을 가지고 살펴보았다. 먼저 비판적 시각은 주로 지배층이 형성한 ‘문명화’ 혹은 ‘현대화’의 논리로 나타났다. 외국에서 들여온 ‘문명’이라는 새로운 기준으로 무속을 ‘옳지 않은 것’으로 규정한 것은 전근대 시기에서 처음 발견할 수 있었다. 근대에 들어서도 ‘문명화’를 위해 무속을 타자화한 것은 그 연장선에 있었다. 특히 비판적 시각은 일본 식민지 정부가 무속을 ‘문명화’의 장애물로 규정하면서 나타났다. 조선인 지식인들도 이 ‘문명화’ 논리에 동조하여 무속에 대해 강력한 통제를 주장하였고 무속을 타자화한 미신타파 운동을 펼쳤다. 따라서 당시에는 식민지 정부, 기독교, 그리고 조선인 지식인 모두 무속 타파를 지지하였다고 볼 수 있다. 해방 이후에는 박정희 정권이 무속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계승하였다. 박정희 정권은 새마을 운동의 시행 과정에서 무속을 ‘현대화’의 방해물이라고 인식하였고 이에 따라 다시 한번 무속에 대한 비판적 시각은 변용되었다. 당시 다수의 국민이 이에 동참하면서 무속의 물질문화는 상당 부분 파괴되었다. 정부에 의한 이러한 비판적 시각이 이데올로기적 특징을 가졌다면 근현대 시기 무속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강화한 것은 일상생활에서 발생한 사건들을 보도한 신문 기사였다. 예컨대 무속 의례와 근대 의료와의 마찰과 무당으로 인한 사회문제와 관련된 보도들은 실제 삶에서 무속이 피해를 주고 있다는 인식을 강화했다. 또한 해방 이후에 무속의 신앙 행위와 공공의 이익이 충돌한다는 인식은 ‘자연훼손’ 등의 새로운 개념과 식민지 시기부터 발생했던 무속으로 인한 문제들이 중첩되면서 더욱 공고해졌다. 경제적으로, 사회적으로 불안이 팽배했던 IMF 시기의 신문보도 중에는 그동안 미신이라고 비난 일색이었던 무당의 점에 기대며 무속을 소비하는 예도 꽤 있었으나 결국 무당의 틀린 예언에 대한 보도는 무속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강화했다. 그렇다면 근대 이후 무속에 대한 긍정적 시각은 어떻게 형성되었을까? 긍정적 시각의 형성 주체와 성격은 비판적 시각과는 다른 점이 있다. 20세기 초반에 전세계적으로 민족주의가 유행하면서 유럽에서는 샤머니즘이나 이교(異敎) 전통을 민족문화의 근원으로 보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식민지 조선의 지식인 중 일부는 무속을 민족 고유의 종교로 보고 단군과 연결 지어서 민족정신을 고취하고자 하였다. 그들은 신문을 통해 개천절, 무당, 시월의 굿 등을 긍정적으로 해석하며 민족의 구심점으로 삼으려고 했으나 비판적 시각을 가진 기사에 비하면 이는 양적으로 미미한 수준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해방 이전의 긍정적 시각은 해방 후로 이어지는 긍정적 시각의 기반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1945년 이후 학자들은 기존의 긍정적 시각을 계승해 무속을 한민족 전통문화의 원류로 보기 시작했다. 1945년 이후의 긍정적 시각이 가진 특징은 그 주체가 일본 식민지 시기보다 훨씬 더 다양해졌다는 점이다. 무속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은 전통문화를 재발견하고자 했던 박정희 정권과 사회의 노력과 관련되어 있었다. 이 점은 박정희 정권의 문화정책이 가진 다면성, 혹은 일관성의 부재라고 할 수 있는데 박정희 정권의 전통문화 부흥은 독재적 경제개발 추진에 따른 현대화의 부작용을 상쇄하고 밀려드는 일본과 서양 문화에 대항하기 위한 민족주의적 측면이 강했다. 그리고 이는 박정희 정권의 정당화에 이바지하리라고 기대되었다. 박정희 정권의 문화정책에 호응한 학자들의 연구와 무당의 활동도 이전에는 없었던 새로운 현상이었다. 정치적인 이유로 전통문화를 정권의 문화정책의 한 축으로 삼고 싶었던 박정희 정권과 전통을 어떻게든 살리고 싶었던 학자들이 만나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와 무형문화재 제도를 통해 무속 의례는 민족의 전통문화라는 인식을 사회에 심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무속의 예술적 측면만을 선택적으로 취해서 긍정적 시각 확산에 이바지할 수 있었다. 박정희 정권과 별개로 학자와 무당은 무속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해 무수한 노력을 하였고 이러한 노력으로 인해 무속을 전통문화로 인식하는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었다. 특히 메가 스포츠 이벤트였던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올림픽의 개최를 계기로 대내외에 한국문화를 알려야 하는 국가적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무속은 국제적으로도 한국의 전통문화로서 인정받을 수 있었다. 물론 이는 무속의 종교성을 인위적으로 배제하고 예술로 탈종교화하는 것이었지만 결과적으로 보면 무속과 무당의 사회적 지위는 해방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상승하였다. 따라서 현재 한국인이 가진 무속에 대한 긍정적, 비판적 시각은 지배층과 지식인들이 제시한 모순된 논리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20세기와 해방 전후의 국가와 지식인 사회는 일반인의 무속에 대한 인식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무속계는 그 스스로에 대한 인식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정도의 권력을 가지지 못했고 긍정적이거나 비판적인 인식은 무속계가 아닌 국가와 지식인 사회에서 형성되었다. 즉 관찰자나 비판자의 시점에서 무속에 대한 담론이 형성되었고 무당의 목소리는 이러한 담론의 형성과정에서 철저히 소외되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서 연구자는 근현대를 거치면서 무당의 예언 기능이나 의례와 관련된 사회적 문제나 이슈가 반복적으로 발생했음을 밝히고자 했다. 신문 기사를 통해 나타난 사건과 사고의 발생은 국민의 ‘집단기억’에 각인되어 비슷한 문제가 생길 때마다 무속의 문제로 일반화, 정형화되었다. 정형화된 무속의 문제는 무속의 종교성과 관련되어 무속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강화하는 요인이 되었다. 이처럼 무속에 대한 시각의 형성과정에서 철저히 소외당한 무속계는 해방 이후 어떻게 대응하였을까? 무속계의 대응은 유연성에서 그 특징을 찾을 수 있다. 무당 단체는 부정적인 인식을 불식시키고 사회적 편견을 깨기 위해서 나라를 위한 굿과 기부활동, 굿 강습 등을 하였고 긍정적 시각이 등장했을 때는 무속을 전통문화의 한 부분으로 제시하여 무속의 예술성이 사회에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무당과 무당 단체들이 원하는 것은 한국 사회에서 무속이 종교로서 인정받는 것이었다. 무속에 대한 ‘종교적 시각’은 무당, 무당 단체들, 그리고 일부 학자가 주장하는 시각으로서 신과 인간을 매개하는 무속의 종교적인 기능을 인정하자는 것이다. 무속의 종교성은 식민지 시대에는 적어도 고려 대상이 된 적이 있었으나 해방 이후에는 오히려 위축되었다. 무당과 무당 단체들은 무속에 대한 이중적 시각에 대응하면서도 무속을 민족종교로 인정해달라는 주장을 계속 펼치고 있다. 그럼에도 무속의 종교성에 대한 공감대는 정부나 사회에서 여전히 형성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근현대 시기의 무속에 대한 이중적 시각의 형성 및 전개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긍정적, 비판적 시각과는 다른 무속계의 자체적인 목표와 목소리도 살펴보았다. 앞으로도 한국의 무속은 외부의 시각에 유연하게 대처하면서 무속을 재정의해 나갈 것이다. 특히 1990년대 후반에는 인터넷이 도입되면서 무당들이 사이버 공간에서 활동하기 시작하였고 자신들만의 미디어를 확보하였다. 기존의 뉴스나 신문보도가 점차 영향력을 잃어가는 상황에서 무당이 생산해내는 그들의 담론이 사회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도 앞으로 더 연구되어야 할 주제라고 본다. 무속과 사이버 공간, 새로운 미디어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후속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tion of two perspectives about Korean shamanism in Korean history by paying attention to contradictory perspectives that Koreans currently have on shamanism.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contents and claims covered in existing academic discourses and complete the genealogy of discourses formed by Korean media. Also,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formation of the two perspectives on Korean shamanism for about 80 year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1999. In this study, I analyze the dual views about Korean shamanism in the newspaper on the premise that newspapers influenced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the people's 'collective memories.' The research question to be review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how have the two perspectives of Korean shamanism in the newspaper been formed and changed historically? To answer this question, I categorize the media contents with a high frequency related to Korean shamanism from 1920 to 1999.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uling class mainly formed the negative perspective and appeared in its campaigns for 'civilization' or 'modernization.' The framework of opposing Korean shamanism for civilization or modernization has been repeated twice in history. This framework emerged when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named Korean shamanism an obstacle to 'civilization.' Korean intellectuals also agreed with this "civilization" logic, insisting on tightening control over Korean shamanism, and launched an anti-superstition campaign that eventually otherized Korean shamanism. The critical perspective that appeared in modern times continued and intensified in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In implementing the Saemaul(New Village) Movement, Korean shamanism was again named an obstacle to modernization. As many citizens participated in this campaign, shamanism received more damages than before. All of the opposing views seen earlier ha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got reassured by events and accidents in the media. Social havocs related to shamans strengthened the critical perception of Korean shamanism. For example, some shamans collided with modern medical experts, and the press spotlighted them whenever they caused damage to patients. In addition, after 1945, some shamans conflicted with a public interest as their practices were deemed as "destruction of nature." And during the unstable IMF period, the Mudang's false prophecy also strengthened its critical perception of Korean shamanism since it has been reported and consumed extensively by society. On the other hand, a positive view appear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fter liberation. And,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 terms of formation subject and charact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hamanism and pagan tradition were rediscovered as national culture in Europe. Following this trend, colonial Korean intellectuals also viewed Korean shamanism as a part of their ethnic identity and tried to inspire the national spirit. So, the nationalists connected shamanism to Dangun. Newspapers also positively presented the National Foundation Day of Korea, Mudang, and October Gut. This ethnic nationalism continued after liberation, and a new representation of Korean shamanism as the origin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ns emerged. In the post-1945 positive perspective, the popularized positive views have diversified. The examination of the two perspectives on shamanism in history shows that Koreans' contradictory perceptions of shamanism originated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lso, the media coverage of shamanic practices such as prophecy has formed general "collective memories," reminding them of the past and strengthening their critical views. Korean shamanism has responded flexibly to the two views of Korean shamanism. Shamans have continued to counter the negative discourse in their own ways. Most of all, shamans and their organizations hoped that shamanism would earn public recognition as a formal faith system. This voice of shamans emphasizes the religious function of shamanism that mediates god and humans. The Korea Federation of Kyongsin, a shamanic organization, is still campaigning to achieve this goal. In short, I examine the formation and re-formation of critical and positive views on shamanism in twentieth-century Korea. First, the anti-shamanism ideas keep the similarity that shamanism cannot co-exist with the nation's "civilization" or "modernization." The main logic was that shamanism was an obstacle to "civilization" or "modernization." But, I would like to argue that such an idea also had its own genealogy of justifying their political goal. Second, the positive perspective appeared slightly different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Initially, it was born to claim that shamanism was a unique religion or culture of Korean ethnic nationalism. After 1945, it was re-born as a non-religious view that excluded the religious nature of shamanism and confined it only as a form of Korean traditional art. Due to this, the social status of shamans and the public recognition of their practices have improved significantly. Finally, it is noteworthy that many Korean shamans responded to the two views and have wanted to receive public credit as "the oldest religion in Korea." It seems that Korean shamanism will never stop redefining and transforming itself in remarkable dynamism, responding to the two different view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