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2 Download: 0

밀레니얼 세대의 실천공동체 참여에서 나타나는 비형식학습 경험 탐색

Title
밀레니얼 세대의 실천공동체 참여에서 나타나는 비형식학습 경험 탐색
Other Titles
The informal learning experience of Millenials in Community of Practice
Authors
박하나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임규연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실천공동체를 통한 밀레니얼 세대의 학습경험을 탐색하고, 밀레니얼 세대가 공유하는 특성이 실천공동체의 참여와 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문화기술지의 방법으로 밀레니얼 세대들이 공동체를 통해 어떻게 관계를 공유하고 협력하며 성장해나가는지 살펴보았다. 밀레니얼 세대는 일반적으로 1980년대 초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세대를 지칭한다(Strauss & Howe, 1991). 그 어느 때보다 빠른 기술 발전의 영향을 받으며 성장한 밀레니얼 세대는 상호작용 방식, 태도와 생활 방식 등 삶의 전반에 걸쳐 이전 세대와 다른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imock, 2019). 디지털 네이티브라고도 불리는 밀레니얼 세대는 높은 개방성과 상호작용성을 가진 온라인 환경을 기반으로,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자신만의 가치를 탐구하고 공유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교육적 측면에서 밀레니얼 세대는 높은 학구열을 가진 부모 세대의 지원 하에 높은 학력과 뛰어난 능력을 갖춘 세대로 평가받으면서도, 장기화 된 경제불황이 영향으로 형식교육에 대한 신뢰가 낮다는 특성을 보인다. 동시에 사회적으로는 기술 발달의 영향으로 지식의 증가 속도와 변화 주기가 빨라지면서 끊임없는 자기 개발을 요구받고 있다. 이와 같은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과 사회변화의 영향으로 밀레니얼 세대들은 학습을 생애 전 주기에 걸쳐 경험하는 것으로 인식하며, 삶의 맥락 안에서 비의도적이고 우연적으로 발생하는 비형식학습의 중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와 다양한 경험과 가치 추구, 지속적인 성장에 대한 욕구를 바탕으로 밀레니얼 세대들은 새로운 공동체 문화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구성원들이 공동의 관심사를 중심으로 자발적으로 공동체에 참여하여 구체적인 실천을 통해 성장해나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Lave와 Wenger(1991)는 실천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라는 개념을 제안한 바 있다. 실천공동체는 복수 멤버십(multimembership)을 가진 구성원들과 실천의 결과인 객체(reification)를 통해 실천공동체가 속한 세계, 다른 실천공동체와 상호작용한다(Wenger, 1998). 그리고 실천공동체의 개념은 이러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진화해 나간다(Li, Grimshaw, Nielsen, Judd, Coyte, & Graham, 2009). 따라서 밀레니얼이라는 새로운 세대의 등장과 디지털 기술 발달에 따른 의사소통 방식의 변화와 같은 사회적 변화가 실천공동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탐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먼저 밀레니얼 세대들이 공동체에 참여하는 동기를 확인하고, 공동체를 통해 이들이 어떻게 학습하고 성장해나가는지 탐색하였다. 또한 구성원들의 교류와 성장을 지원하는 실천공동체로서 오픈 컬리지의 역할을 살펴보고, 동시에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밀레니얼 세대들이 공유하는 특성과 태도가 실천공동체의 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보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밀레니얼 세대로서 오픈 컬리지의 구성원은 어떠한 특성을 공유하는가? 연구문제 2. 실천공동체를 통한 성장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연구문제 3. 밀레니얼 세대의 실천공동체는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가? 연구문제에 따라 개인의 경험이 갖는 의미와 이러한 경험의 배경이 되는 문화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화기술지를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19년부터 참여해 온 오픈 컬리지를 대상으로 2020년 7월부터 1년 이상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약 1년의 기간 동안 연구를 진행하며 2개의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참여관찰을 진행하였으며, 8명의 정보제공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이와 함께 프로젝트를 위해 구성원들과 공유한 온라인 자료와 활동 자료, 구성원들과의 대화 자료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자이자 구성원으로서 오픈 컬리지에 참여하며 밀레니얼 세대들이 실천공동체를 통해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고 교류하는 과정에서 실천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그리고 개인적 차원에서 어떻게 성장해 나가는지 함께 경험하였다. 그 결과, 실천공동체는 다양한 구성원들이 소통하고 협력하는 교류의 장이자, 새로운 도전과 시행착오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의 역할을 하며 구성원들의 성장을 지원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밀레니얼 세대들이 공동체에 참여하는 목적은 반복되는 일상에서 벗어난 새로운 경험, 관심사를 공유한 사람들과의 협력, 다양한 사람들과의 교류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오픈 컬리지 구성원을 통해 확인한 밀레니얼 세대의 학습에 대한 인식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밀레니얼 세대는 학습을 지속적인 자기 성장을 위한 의무이자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형식학습과 비형식학습에 대한 개념적 이해가 없더라도 이를 구분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개 비형식학습은 학습이라고 인식하지 않았으나, 오픈 컬리지 안에서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배우고 성장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동의하였다. 둘째, 밀레니얼 세대는 오픈 컬리지를 통해 배우는 과정 자체가 주는 즐거움을 경험하였다. 이는 비형식학습이 자발적 동기와 개인적 욕구에 의해 발생한다는 점과 참여과정에서 평가와 경쟁이 불필요하다는 점으로 인해 가능하였다. 셋째, 밀레니얼 세대는 다양한 사람들과의 교류와 협력이 자신이 가진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태도를 보였다. 그리고 이를 위해 책, 강연, 커뮤니티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기회를 탐색하고, 아이디어를 구체화해 나갔다. 다양한 사람들과의 협력이 성장을 위한 자산이 될 수 있다는 믿음에 따라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밀레니얼 세대들은 나와 다른 배경을 가진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기 위해 공동체를 찾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동체의 형성이 구성원들의 관심사를 기반으로 한다면, 공동체의 유지와 구성원들의 지속적인 참여는 구성원들 간의 신뢰와 긍정적인 경험을 동력으로 한다. 이는 공동체에 대한 몰입을 높이며, 개인에게 구성원으로서의 책임감을 부여한다는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오픈 컬리지 안에서 구성원들의 관계가 갖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의 참여는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며, 구성원들과의 관계 역시 프로젝트 내부로 한정된다는 점에서 구성원들 간의 관계는 느슨한 관계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원 간에 공유하고 있는 관심사와 취향으로 인하여 다른 관계보다 공감대를 형성하기 쉬우며, 친밀감과는 별개로 깊이 있는 교류가 가능한 관계이기도 하다. 둘째, 구성원들은 상호 간에 이해관계가 없다. 공동의 관심사 외의 접점이나 이해관계가 없기 때문에 우호적인 태도가 가능하며, 또한 보다 자유롭고 솔직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보인다. 오픈 컬리지 안에서 구성원들은 관심사를 중심으로 관계를 형성하며, 공감대를 바탕으로 서로에 대한 신뢰를 쌓아간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를 기초로 하여,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참여하고 실천하는 과정 속에서 원하는 것을 배우고 성장해 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픈 컬리지를 통해 구성원들이 경험하는 학습과 성장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픈 컬리지에서의 학습은 참여와 실천의 축적과 그 과정에서 경험하는 시행착오를 통해 이루어진다. 둘째, 오픈 컬리지에서의 학습과 성장은 다른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의 과정 속에서 새로운 관점을 마주하고 성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셋째, 오픈 컬리지 안에서의 구성원들은 공유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새로운 역할을 수행하며 자발적으로 학습하였다. 개인의 성장 과정에서 공동체는 관심사를 공유하기 위한 교류의 장의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실제적이고 맥락적인 경험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오픈 컬리지를 통해 살펴본 밀레니얼 세대의 실천공동체가 보여주는 속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원들은 기존의 실천공동체에서와 같이 공동의 목표를 추구하기보다 공동체가 지향하는 가치에 대한 공감을 바탕으로 하는 거시적인 목표와 방향성을 공유한다. 그리고 이러한 거시적 목표 하여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목표를 추구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개인의 가치를 중시하며, 이를 위해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라 볼 수 있다. 둘째, 오픈 컬리지에서는 전통적 실천공동체와 비교하여 멤버십의 기능이 약화되었다는 특징을 보인다. 이로 인해 참여와 이탈이 용이한 구조가 되었으며,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가치와 공감이 더욱 중요해졌다. 또한 디지털 기술을 통해 실천공동체 외부의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오픈 컬리지에서의 실천 역시 공동체의 경계를 넘어 자유롭게 확장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는 디지털 네이티브로서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라 볼 수 있다. 셋째, 오픈 컬리지의 구성원들 역시 합법적 주변참여를 통해 실천공동체의 문화와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방식을 습득하며 성장한다. 그러나 실천의 결과로서 학습이 이루어졌던 기존의 실천공동체와 달리 새로운 경험을 통한 학습과 성장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를 통해 밀레니얼이라는 새로운 세대의 등장이 그들이 공유하는 문화적 특성을 바탕으로 이들이 참여하는 실천공동체의 성격에도 변화를 가져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오픈 컬리지가 지향하는 문제기반 협업 프로젝트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프로젝트와 현재 가장 보편적인 형태로 운영되는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참여관찰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연구결과에 따르면 구성원들 간의 관계는 프로젝트 내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프로젝트를 통해 연결되거나 오픈 컬리지 외부로 확장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대상에서 제외하였던 일회성 프로젝트나 개별 활동 후 인증하는 형태의 프로젝트를 모두 포함하여 탐색해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밀레니얼 세대들이 하나의 세대로서 공유하는 특성이 공동체의 참여와 구성원으로서의 경험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따라서 생애주기에 따른 개인의 경험이나 특성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러나 진학, 출산과 같은 생애주기적 경험이 공동체 참여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다양한 개인적 특성이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formal learning experience of Millenials through the Community of Practice and how the characteristics of millennials appear in the Community of Practice. This study applied ethnography to examine how millennials develop relationships, collaborate and grow through Community of Practice. Millennials generally refer to the generation born between the 1980s and early 2000s (Strauss & Howe, 1991). Millennials, who have grown up under the influence of technological advances, are known to differ from previous generations in all aspects of their lives, including their interactions, attitudes, and lifestyles (Dimock, 2019). Millennials, also called digital natives, tend to explore and share their own experiences using digital technologies based on an online environment with high openness and interactivity. In addition, in terms of education, millennials are evaluated as a generation with high academic ability and outstanding competence under the support of their parents, who have a high enthusiasm for schooling. However, they show a characteristic that they have low trust in formal education due to the prolonged economic recession. Socially they are asked for continuous self-development as the rate of increase in knowledge and the cycle of change becomes faster under the influenc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of millennials and the influence of social changes, millennials perceive learning as an experience throughout their life cycle. Moreover, the importance of informal learning that occurs unintentionally and accidentally within the context of life is also emphasized. Millennials create a new community culture based on these social demands, the pursuit of diverse experiences and values, and the desire for continuous growth. To explain the process in which members voluntarily participate in a community based on shared interests and grow through concrete practices, Lave and Wenger (1991) proposed the concept of a Community of Practice. A Community of Practice interacts with other communities through multimembership of the members and reification. The concept of Community of Practice is not fixed but evolves through such social interaction (Li, Grimshaw, Nielsen, Judd, Coyte, & Graham, 2009).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how social changes such as the emergence of a new generation called millennials and changes in communication methods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ve affected the Community of Practice. In this study, the motivation of millennials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was identified. And to explore the role of Open College as a Community of Practice that supports informal learning, how members learn and grow through the community was explored. And then, we explored the influence of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shared by millennials on the attributes of Community of Practice. This study applied ethnography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meaning of individual experiences the culture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se experiences.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n the Open College from 2019 and conducted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for more than a year from July 2020. The research lasted more than one year,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In addition, various data such as online data shared with members, activity data, and conversation data with members were collected for the project. The researcher participated as a member of the Open College and experienced the growth of the members togethe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munity of Practice supports the growth of members by serving as a place of exchange where various members communicate and cooperate and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new challenges and trials and errors. Accordingl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t was confirmed that the purpose of millennials'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is to expand experiences, collaborate with people who share interests, and interact with others. The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the perception of learning of millennials confirmed through Open College members are as follows. First, millennials recognize learning as an obligation for continuous self-growth. It was confirmed that even if they did not have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formal learning and informal learning, they could distinguish between them and select a learning type according to their needs. Mostly, they did not perceive informal learning as learning, but they agreed that they learn and grow through these experiences. Second, millennials realized the pleasure of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informal learning experiences, explaining that voluntary motives and personal desires cause informal learning and that evaluation and competition are unnecessary. Third, millennials believed that exchanges and cooperation with various people would help them realize and grow their ideas. Furthermore, they actively utilized books, lectures, and communities to explore opportunities and materialize their ideas. Based on the belief that collaboration with diverse people can be an asset for growth, it was confirmed that millennials, known for their solid individualistic tendencies, seek out communities to meet new people from different backgrounds. The community is formed based on the members' interests, and the community's maintenance and the continued participation of the members are maintained through trust and positive experiences among the members. It is important to increase immersion in the community and give individuals a sense of responsibility as a memb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of Open College member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is voluntary. The relationship among members is loose in that the relationship with members is limited to the inside of the project. However, due to the interests and tastes shared among members, it is easier to form a consensus than other relationships. It is also a relationship that allows for in-depth exchanges apart from intimacy. Second, the members have no interest in each other. Since there is no competition or interest among members, they are friendly to each other and interact honestly. Members form relationships around their common interests within the Open College and build trust based on consensus. Based on the relationship, it was confirmed that the members learned and grew while participating and practicing to achieve a common goal.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and growth experienced by members through Open College are as follows. First, learning in Open College is achieved through participation and accumulation of practice and trial and error experienced in the process. Second, learning and growth in Open College are achieved by facing and reflecting on new perspectives in the process of interaction with other members. Third, members within the Open College learned while playing new roles to achieve shared goals. Also, in the process of personal growth,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munity plays a role as a place of exchange to share interests and provides opportunities for growth through practical and contextual experiences by providing various experiences. Lastly, the properties which Community of Practice of millennials examined through Open College are as follows. First, the members share macroscopic goals and directions based on sympathy for the values the community seeks rather than pursuing a common goal as in the traditional Community of Practice. With these macroscopic goals, they tend to pursue specific and individual goals.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millennials who value individual values and actively invest in them. Second, in Open College, the function of membership is weakened compared to the traditional Community of Practice. As a result, it has become easier for members to participate and leave, and the values shared by members and sympathy for them have become more critical. Also, they actively utilize resources outside the Community of Practice through digital technology. Practice from Open College also shows the characteristic of freely expanding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community.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as digital natives. Third, the members of the Open College also learn and grow the culture of the Community of Practice and the method shared by the members through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However, it is different in that it aims at learning and growth itself through new experiences, unlike the traditional Community of Practice where learning was made as a result of practice. It was confirmed that the emergence of a new generation of millennials also brings changes in the nature of the Community of Practice in which they participate based o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they shar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participatory observation was conducted on projects that have features of the problem-based collaboration project that Open College aims for and on projects that are currently operated in the most common form. However,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among members is not limited to the project but can be connected through different projects or extended outside the Open Colleg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xplore including one-time projects that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and projects that are certified after individual activities. Second,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characteristics shared by millennials as a generation are reflected in community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as members. Therefore, the study did not pay attention to personal experiences o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life cycle.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life cycle experiences such as higher education and childbirth could affect community participa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nfluence of various personal characteristics on particip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