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4 Download: 0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피아노 코드반주 교안 개발

Title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피아노 코드반주 교안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Piano Chord Accompaniment Class Model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 Five-finger scale & major 3 chords
Authors
김성경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공연예술대학원 피아노교수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지
Abstract
본 연구는 다중지능이론을 기초로 하여 피아노 교육 현장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피아노 스케일과 코드반주 교안을 개발하여 지능의 개인차를 고려하는 피아노 교육을 실현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현재 공교육의 음악분야에서는 이론과 더불어 전문적인 악기 교육을 통한 실기교육 병행이 요구되고 있어 대부분의 학생들이 사설 음악 교육기관의 보조적인 도움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운동지능과 논리ᐧ수학지능을 활용한 교육에 머물러있는 현 음악교육에서 더 나아가 학생의 발달 수준과 개별적 강점을 파악하여 하워드 가드너의 8가지 지능들을 활용한 효과적인 피아노 다섯 손가락 스케일 및 코드 반주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암스트롱(T. Armstrong, 1994)과 L. 캄벨, B. 캄벨, D. 딕킨슨(L. Campbell, B. Campbell & D. Dickinson, 2004)의 다중지능 수업메뉴, R. Mallonee(1998)의 합창 수업메뉴, T. Blue(2015)의 청소년 합창 수업메뉴, 함희주(2007)의 초등학교 음악수업 메뉴, 박은현(2008)의 가창 수업메뉴를 참고하여 피아노 수업메뉴로 재정리 하였다. 본 연구자가 개발한 교안은 사설 피아노 교육 현장에서 장조와 단조 스케일 및 주요 3화음의 내용으로 10차시 수업을 위해 사용 가능하며, 이에 필요한 노래 및 연주악보 40개가 포함 되었다. 본 수업에서 학생들의 평가에 사용될 평가지는 ABRSM 시험가이드의 시험곡, 스케일과 아르페지오 평가기준을 참고로 제작하였다. 또한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이 스스로 평가할 수 있도록 5점 척도 항목 구성을 추가하였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자는 피아노 교육현장에서 획일화된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한 지능과 개인차를 고려한 피아노 교안을 개발하는 데 주목하였다. 이는 논리·수학지능과 음악지능을 토대로 독보 위주의 레슨에 머물러있는 현 피아노 교육 현장에 긍정적인 변화를 독려하기 위한 시도에서 구현되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모형을 기반으로 설계하되, 학습자의 개인차를 고려한 그룹 수업 형태의 피아노 수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피아노 수업은 그룹수업과 개인레슨 병행이 가능하므로 그룹 수업시간에 부족한 지능별 메뉴를 개별 레슨에서 보충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피아노 교육현장에서 지능별 수업메뉴가 적재적소에 활용되어 개별 맞춤형 교육이 실현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fficient and effective educational model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field of piano pedagogy. Applying Howard Gardner’s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a crucial theory in modern education, it designed a five-finger scale & chord lesson appropriate to piano education. Assuming the class is held once a week, a 10-part lesson plan was devised with major scales, minor scales, and primary chords. In reference to the studies of T. Armstrong(1997) and L. Campbell, B. Campbell, D. Dickinson(2006), and referring to materials from Richard L. Mallonee’s(1998) choral music lessons, Thomas Blue’s (2015) youth choir lessons, Hee-ju Ham’s(2007) music classes of elementary schools, Eun-hyun Park’s(2008) vocal lessons as a means to research music education with applied multiple intelligences, it accordingly rearranged and applied various lessons to fit a five-finger scale & chord lesson pla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developed a piano program considering various levels of intelligence and individual differences applicable to the field of piano education instead of one that is standardized. It is a necessary attempt for the field, centered mainly on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and musical intelligence. Second, although the program was designed as an integrated education model, it attempted to create a group piano class that considers individual differences, rather than a standardized lesson plan, by applying and reinforcing the strengths of the model and arranging lessons according to levels of intellig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피아노교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