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8 Download: 0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에 관한 미술치료 국내 연구 동향 분석

Title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에 관한 미술치료 국내 연구 동향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in Art therapy on Learning Disorder and school underachievers
Authors
손유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리학
Abstract
본 연구는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에 관한 미술치료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미술치료가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에 미치는 치료적 의미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미술치료 중재를 위한 실질적이고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여 향후 연구에 도움이 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발표된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에 관한 미술치료 연구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현황을 분석하고 고찰하기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과 국회전자도서관 온라인 정보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국내에서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대상으로 미술치료를 진행한 선행 연구가 처음 발행 된 1998년부터 2020년까지 게재된 논문과 학회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동향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선정된 41편의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에 관한 미술치료 국내 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 1998년부터 2020년까지 매년 평균 1.7편이 발행되었다. 이는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과 상반된 결과이다. 2005년부터 2008년까지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에 관한미술치료 국내연구는 34%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학위논문의 발행학과는 미술치료 관련 학과에서 38%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교육 관련 학과에서 27%로 높게 나타났다.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에 관한 미술치료 국내 학술지 16편 중, KCI등재지 8편, KCI등재후보 5편, 미등재 3편으로 발행된 학술지의 50%가 등재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 특징별 동향을 살펴본 결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비율이 65%로 가장 높았으며 그 중 고학년(4-6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35%로 가장 활발히 진행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연구대상의 성별은 혼성으로 이루어진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장애를 진단받지 않은 연구대상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장애를 진단받은 연구대상의 중복장애 여부는 5%였으며, 학습장애의 단일진단 비율이 89%로 가장 높았다. 셋째, 연구방법 분석별 동향을 살펴본 결과 양적연구가 74%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고 그 중, 양적 사례연구가 44%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사전-사후 검사 설계의 유형 분석에서는 단일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설계 유형이 42%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의 분석은 객관적 검사도구를 49%로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내용별 동향을 살펴본 결과 집단미술치료의 치료 형태가 74%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자아성장을 연구주제로 36%로 가장 많이 다루었다. 특정 이론 적용 여부는, 특정 이론을 기재하지 않은 연구가 90%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학교에서 진행된 연구가 33%로 가장 많았다. 치료 형태 및 참여인원의 분석은 집단미술치료 중 2-6명의 구성이 41%로 가장 많았다. 총 회기 수의 동향은 11-15회기가 가38%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주당 회기 수의 동향은 주 2회가 33%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소요시간은 90분-99분이 26%로 가장 많았다. 단일매체 기법적용 및 복합매체 기법적용의 분석은 100% 혼합 매체 및 기법적용으로 나타났고, 매체의 세부 분석 결과 그리기 활동이 64%로 가장 많이 진행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20년까지 게재된 학습장애와 학습부진에 대한 미술치료 선행연구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미술치료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향후 학습에 대한 전문적인 미술치료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s in art therapy domestic research on learning disorders and poor learning to understand the therapeutic meaning of art therapy on learning disorders and poor learning, and to help future research by providing practical and objective data for effective art therapy arbitration. To this end, it was intended to collect and analyze art therapy studies on learning disabilities and poor learning published in Korea and derive results. In order to analyze and consider the current status of this study, the database of the Korea Educational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RISS) and the National Assembly Electronic Library Online Information Service was searched. From 1998 to 2020, art therapy for learning disabilities and poor learning was collected and analyz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focusing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rend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overall research trends of 41 selected studies on art therapy domestic studies on learning disabilities and poor learning, an average of 1.7 were published annually from 1998 to 2020. This is contrary to the active research in other fields on learning disabilities and poor learning. From 2005 to 2008, domestic research on art therapy on learning disabilities and 69poor learning showed the highest rate of 34%. The analysis of the publication department of the dissertation showed the highest rate of 38% in art therapy departments. Next, education-related departments showed a high rate of 27%. Out of 16 domestic academic journals on learning disabilities and poor learning, eight articles were published in KCI, five candidates for KCI registration, and three were not listed. 50% of the journals published were listed in the KCI.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rends by characteristics under study, The percentage of studies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the highest at 65%, and among them, 35% of those in the upper grades (4th-6th graders) were the most active. The gender of the subjects was the most studied in mixed groups. The highest percentage of people who have not been diagnosed with disabilities was found. And among those who were diagnosed with disabilities, the proportion of people with duplicate disabilities was 5%. The single diagnosis rate of learning disabilities was the highest at 89%. Third, as a result of trends by research method analysis, Quantitative studie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with 74%. Among them, quantitative case studie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44%. The type analysis of pre-post inspection designs showed that the pre-post inspection design type in a single group was the highest frequency at 42%. The analysis of the inspection tools used in the study showed that objective inspection tools were used the most at 49%. Fourth, as a result of trends by content of the study, The treatment form of collective art therapy was 74%, the highest rate. And self-growth was the most talked about as a research topic, with 36%. The analysis of whether a particular theory was applied showed that 90% of the studies did not state a particular theory. The study conducted in schools was the largest with 33%. The analysis of treatment forms and participants was the largest with 41% of group art therapy composition of 2-6 people. The trend in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was the highest with 11-15 sessions at 38%. The trend in the number of sessions per week was the highest with 33% twice a week. 90-99 minutes was the most 70time spent, with 26%. The application of single-media techniques and the application of composite media techniques showed 100% application of mixed media and techniques. The media's detailed analysis showed that drawing activity was the highest with 64%. This study identified the overall trend of art therapy prior research on learning disabilities and poor learning published from 1998 to 2020, and analyzed trends in art therapy.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resource for professional art therapy research on future lear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