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1 Download: 0

말기암환자 가족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말기암환자 가족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rt therapy for children of a family with terminal cancer patients
Authors
서승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말기암환자 가족 아동이 미술치료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경험에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아동 개인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고자 질적 사례 연구 방법 중 하나의 독특한 사례를 다루는 단일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 소재 A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말기암환자 가족을 둔 다문화가정의 여자 아동으로 나이는 10살이다. 사례는 2021년 2월 19일부터 2021년 5월 10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주 2회 60분간 총 23회기의 개인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말기암환자 가족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의 목표는 자기감정 탐색 및 표현, 억압된 부정적 감정 표출, 아빠와의 안전한 이별을 준비, 사별 슬픔 표출, 긍정적 지지 자원을 찾아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미술치료 회기를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구자의 관찰일지, 미술 작품 이미지, 미술치료 전 회기 과정의 축어록, 복지사선생님, 담임선생님, 보호자인 엄마의 사전 사후 심층 면담과 축어록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에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말기암환자 가족 아동의 미술치료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회기 전 과정의 축어록과 관찰일지를 반복적으로 정독했으며, 연구 참여자의 유의미한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과 미술 이미지를 찾아 정리해서 개방코딩, 범주화, 범주확인의 절차를 거쳐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총 5개의 상위주제와 14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미술치료 사례에서 경험의 상위 주제는 <미술활동으로 드러내기 어려운 내 마음을 표현하면서 편해짐을 경험함> , <아빠의 암 치료과정 동안 느낀 내 마음을 미술로 드러내며 불안한 마음을 풀어냄> , <미술치료 안에서 아빠와의 헤어짐을 준비함> , <미술치료 안에서 창조적인 활동으로 애도 과정을 담아냄> , <나에게 남겨진 소중한 것들로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가짐> 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말기암환자 가족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경험한 것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오랜 기간 아빠의 암 치료과정에서 억압되었던 속상함, 무서움, 슬픔, 불안함 등의 부정적 감정들을 작업물에 담아 표출함으로써 정서적 안정을 경험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안전한 미술치료 안에서 아빠와의 헤어짐을 준비하게 되었고, 사별 직후 연계되는 미술치료를 통해 사별에 대한 감정을 작업에 담아 표현함으로써 정상적인 애도과정을 경험할 수 있었다. 셋째, 참여자는 미술활동을 통해 자신에게 남겨진 긍정적 지지 자원을 찾아 새롭게 재인식하며, 고인이 없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용기와 내면의 힘을 얻게 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말기암환자 가족 아동이 미술치료 안에서 아빠의 암치료 과정동안 억압되었던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며 해소하였고, 죽음에 대한 불안함을 미술로 안전하게 다루어 안정감을 얻는 경험이 되었다. 또한, 안전한 미술치료 안에서 아빠와의 헤어짐을 준비하고 사별에 직면하면서 슬픔을 다루어 이별을 수용하였고, 자신의 긍정적 지지 자원들로 고인이 없는 새로운 삶에 적응하는 내면의 힘과 용기를 얻게 되었다. ;This study aims to look at what children from families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experience of art therapy and what their experiences mean. To meet the goal of the study, single-subject study among qualitative case studies was selected to investigate a specific case, and applied for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a child.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10-year-old girl attending A elementary school in Seoul from a multi-racial family of a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 From February 19, 2021 to May 10, 2021, the case was collected, and the subject was individually subjected to 23 art therapy sessions for 60 minutes twice a week. The goals of art therapy sessions for children from families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were to explore and express own feelings, express suppressed emotions, prepare for farewell to father, express sorrow for separation from death, and adopt to new circumstances to find positive support. Based on these goals, art therapy sessions were carefully designed. Data was collected from a researcher’s observational journal, images of artwork, verbatim records of all art therapy sessions, pre-to-post in-depth interviews and verbatim records from her social worker, homeroom teacher, and mother.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the child of a terminally ill patient. The verbatim record and observational journal were intensively read by the researcher to obtain these goals. In addition, after significant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expressions and art images from the research participant were arranged, data was finally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open coding, categorization as well as category identification. As the result of the study, 5 main themes and 14 sub-themes were formulated after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In the case of art therapy sessions, main themes of experiences are , , , and . Based on these themes, the results from experiences of art therapy sessions for the child of a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 were concluded as follows; First, the subject was able to stabilize her emotions by expressing negative feelings of upset, fear, sorrow, and anxiety through artwork.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 could prepare for farewell to father through art therapy sessions, express feelings of separation from death along with art therapy sessions, and cope with the mourning process well. Third, the participant was able to recognize her ability to find positive support through art activities, and take courage and power to adopt to the new family situation without her father. Taken overall, the child of a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 was able to relieve suppressed emotions by taking art therapy sessions during her father’s cancer treatment, and stabilize her indefinable anxieties of death with the help of art activities well. She could also overcome sorrow and accept farewell while preparing for death of father through art activities and facing separation from death. In addition, with the help of positive support, she was able to take inner courage and power to adopt to the new family situation without fath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