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8 Download: 0

청소년 우울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 동향 분석

Title
청소년 우울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 동향 분석
Other Titles
Research Trends Analysis for Adolescent Depression in Art Therapy : Focusing on Master’s Theses in Korea from 2002 to 2021
Authors
윤예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소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우울을 대상으로 하는 국내 석사학위 논문 미술치료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의 우울과 관련된 미술치료 연구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고찰하여 미술치료의 발전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국회전자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의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청소년 우울에 관한 미술치료가 처음 시작된 2002년부터 가장 최근인 2021년 2월까지의 청소년 우울 미술치료 연구 중 국내 석사학위 논문 총 64편을 분석대상 논문으로 수집하였다. 청소년 우울에 대한 미술치료 국내 석사학위 논문 연구 동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우울에 대한 미술치료 석사학위 논문의 연도별 동향 분석에 따르면 청소년 우울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는 2002년에 처음 발표되었으며 2013년에 7편으로 가장 많은 석사학위 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청소년 우울에 대한 미술치료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 대상별 분석에 따르면 연구 대상자의 성별은 여성이 23편(41.8%)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중학생이 30편(54.5%)으로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참여자 수는 회기당 5~7명으로 진행된 연구가 17편(30.9%)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우울에 대한 미술치료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 방법별 분석에 따르면 연구 방법 유형 중 사례연구가 40편(62.5%)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단일집단 사전-사후 연구 설계 유형이 24편으로(43.6%) 청소년 우울에 대한 미술치료의 연구 설계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질적 분석과 양적 분석을 같이 사용한 통합적 분석이 48편(87.3%)으로 가장 많이 실시되었다. 우울을 측정하고자 연구에 사용된 객관적 검사도구는 우울증척도(BDI)가 28회로(22.2%)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투사적 검사도구는 이야기 그림 검사(DAS)가 14회(18.9%)로 가장 많이 실시되었다. 넷째, 청소년 우울에 대한 미술치료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 내용별 분석에 따르면 치료 형태는 집단미술치료가 39편(70.9%)으로 개인 미술치료보다 많이 실시되고 있다. 미술치료 프로그램 유형은 여러 가지 미술표현기법을 사용한 복합 프로그램이 50편(90.9%)으로 단일 프로그램 연구보다 월등히 높은 빈도 수를 나타냈다. 연구 장소는 학교가 24편(43.6%)으로 가장 많이 실시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개인치료실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주당 치료 회기 수는 매주 1회기가 26편(47.3%)으로 가장 많이 실시되었으며, 치료 회기 당 소요 시간은 80~90분이 21편(38.2%)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총 치료 회기 수는 12~14회기가 14편(26.4%)으로 가장 많이 실시되었다. 미술표현기법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그리기 390회(47.0%)이며 다음으로 만들기, 콜라주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2002년부터 국내 석사학위 논문에 발행된 청소년 우울에 대한 미술치료 선행연구의 흐름을 분석하여 우울감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 대상 미술치료의 연구 자료,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내용 파악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기초자료를 기반으로 향후 다양한 종속변인과 연구 방법을 통해 청소년 우울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domestic theses studies on art therapy for adolescent depression through a trend analysis, then investigate the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art therapy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For this, the researcher collected a total of 64 master’s theses paper studies on art therapy for adolescent depression from 2002, the start of art therapy for adolescent depression, to the most recent, February 2021. This was done through a search of the databases of the Korea Academic Research Servic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the National Assembly Electronic Library,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e trends of domestic thesis studies on art therapy for adolescent depression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nual trend analysis on studies on art therapy research for adolescent depression, studies on art therapy for adolescent depression was first published in 2002, and the most theses were published in 2013, a total of 7. Second, according to the trend analysis on studies on art therapy research for adolescent depression, in gender, studies with female subjects were the most with 23(41.8%), and studies with subjects with middle school students were the most with 30(54.5%). Studies with 5-7 study subjects per session numbered the most with 17(30.9%).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methods of the studies on art therapy for adolescent depression, among the research methods, case studies accounted for the most with 40(62.5%), and single-group pre-post research designs numbered the most with 24(43.6%), and integrated analysis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the most with 48(87.3%). As for the objective test tool used in the studies,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with 28 times(22.2%), and for projective test tools, Draw a Story Test (DAS) was used the most with 14 times(18.9%). Fourth, according to the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on art therapy for adolescent depression, group art therapy was performed more than individual art therapy with 39(70.9%). Complex art therapy programs using various art expression techniqu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use than a single program with 50(90.9%). Most studies were conducted in schools with 24(43.5%) followed by studies in private treatment rooms. As for the number of treatment sessions per week, 1 session per week was the most with 26(47.3%), and for the duration of each treatment, 80-90 minutes accounted for the most with 21 (38.2%). For the total number of treatment sessions, 12-14 sessions were the most with 14(26.4%). The most frequently used art expression technique was drawing with 390 times(47.0%), next was making followed by collages. This study helps in understanding the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content by year and data type through an analysis of the flow of domestic published master’s theses studies on art therapy for adolescent depression since 2002. Therefore, it is hoped that, based on the basic data, future research on art therapy for adolescent depression will actively proceed with a variety of dependent variables and research metho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