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1 Download: 0

한국 거주 난민의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비대면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한국 거주 난민의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비대면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non-face-to-face art therapy to improve self-efficacy of the refugees in Korea
Authors
서상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거주하는 난민이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비대면 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경험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3년 전 본국의 어려움을 피해 한국에 입국한 만 20세 성인 여성 난민이다. 본 사례는 2020년 9월 9일부터 10월 16일까지 주 2회, 회기 당 약 90분간 총 12회기를 비대면으로 실시하였다. 한국 거주 난민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목표는 자기탐색과 자기표현을 통한 긍정적인 자기 인식 및 성취감 함양, 억눌려 있던 외상적 경험과 감정 표출을 통한 정서적 안정 및 내면의 통합, 창조적인 작업과 긍정적인 상호작용 경험을 통한 자신감 향상 및 긍정적인 자기상 형성이며, 이를 바탕으로 회기를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미술치료 전 회기에 걸쳐 작성한 연구자의 관찰 일지, 참여자의 작업과정이 담긴 녹화물, 작품 사진, 회기별 축어록, 참여자 및 주변인과의 사전, 사후 면담 등 여러 형태를 통해 이루어 졌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 과정을 통해 의미가 있다고 판단되는 참여자의 경험들을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7개의 상위 범주와 19개의 하위 범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미술치료 사례의 경험의 범주는 <미술 작업을 통해 어두웠던 지난 날들을 떠올림>, <나의 마음을 마주함>, <어디에도 말할 수 없던 나의 이야기를 꺼내놓음>,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주고 격려해주는 공간>, <본국과 한국 사이에서 정체성을 찾아감>, <자신감을 경험함>, <미래를 꿈꾸게 됨>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거주 난민의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의 과정에서 경험한 것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비대면 미술 치료를 통해 솔직한 자기개방을 이루고 억압되었던 외상적 경험과 내면의 욕구를 표출함으로써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하여 정서적 안정을 경험하였으며, 과거 경험과 현실의 통합을 이루어 내면을 통합함으로써 긍정적인 자기이해를 이루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자신의 내면을 시각화하고 구체화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탐색하고 객관화 하여 올바른 자기인식을 이루었으며 이를 통해 긍정적인 자기상을 형성하였다. 셋째, 참여자는 창조적인 미술 작업을 통해 통제력을 경험 하고 치료사의 지속적인 격려와 지지를 통해 자신의 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자신감을 강화할 수 있었다. 넷째, 참여자는 미술 작업을 통해 외부와 소통을 경험하고 치료사와의 신뢰관계를 통해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주변 관계들을 긍정적인 자원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비대면 미술치료를 경험한 한국 거주 난민은 비대면 미술치료를 통해 안전감을 경험하고 억눌려있던 과거의 외상 경험과 내면의 욕구를 표출하여 해소함으로써 내면의 통합을 이루고 긍정적인 자기이해를 이루었으며, 창조적인 미술 작업을 통해 통제력을 경험하여 자신감을 강화할 수 있었다. 또 치료사와의 신뢰 관계 형성 및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주변 관계들을 긍정적인 자원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이로써 한국 거주 난민은 과거 형성된 부정적인 정서를 안전하게 해소함으로써 과거와 현재, 내면의 통합을 이루고 새로운 환경에서 주어지는 문제에 긍정적으로 대처하여 삶의 답을 찾아갈 수 있게 되었으며, 개인의 삶을 능동적으로 설계하며 나아갈 수 있는 힘을 얻게 되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the refugees in Korea through non-face-to-face art therapy and the meaning of such experiences. In order to attain in-depth exploration of the experiences and their meanings of the participants, the author applied qualitative case stud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emale adults in their 20s who escaped from their countries three years ago and entered Korea. The case study covered 12 non-face-to-face interviews, each taking 90 minutes for two weeks from September 6 to October 16, 2020. The purposes of art therapy programs to improve self-efficacy of the displaced living in Korea include positive self-awareness and feelings of achievement through self-exploration and self-expression, emotional stability and internal integrity through expression of the deeply suppressed traumatic experiences and feelings, improvement of confidence and formation of positive self-portrait through creative work and interactive experiences. All the sess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se purposes. Data collection was achieved based on the author’s observation journals over the whole course of art therapy, video materials containing the participants’ work processes, artwork of photography, verbatim records of each session, advance and follow-up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nd their related persons and other various form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es and the author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the displaced in Korea and their meanings. To achieve this, the collected data were repetitively reviewed to understand the data characteristics and the author analyzed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through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onfirmation of categories and others conceived to be meaningfu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seven upper categories and 19 subcategories were derived. The scope of the experiences with art therapy in this study includes , , , , , and . Based on the results, the conclusions as to expediences in the process of art therapy to promote self-efficacy of the displaced in Korea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emotional stability and removed negative feelings by opening themselves and expressing the suppressed traumatic experiences and internal desires through non-face-to-face art therapy. They solidified positive self-understanding by integrating with the internal elements based on the integration of the past experiences and their reality. Second, the participants achieved appropriate self-awareness by exploring and objectifying their emotions through visualization and embodiment of their internal elements, which formed a positive self-portrait. Third,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sense of control through artwork and strengthened confidence by positively assessing their abilities through the therapist’s continued encouragement and support. Fourth,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communication with external elements through artwork. They also went through positive interactions based on the trust in the therapist and recognized their relationships as positive resources. Summing up, the displaced people in Korea who experienced non-face-to-face art therapy to improve self-efficacy achieved internal integrity and positive self-understanding by experiencing the feeling of safety and releasing and resolving the suppressed past traumatic experiences and internal desires. They could experience the sense of control through creative artwork and strengthened confidence. Also, they recognized their relationships as positive resources through formation of trust in the therapist and positive interactions. Therefore, the displaced people living in Korea safely released negative emotions formed in the past and integrated their past, present and future. They coped with the problems arising from new experiences and found solutions to them. They also acquired the strength to spontaneously design their own individual lives and move forwar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