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6 Download: 0

국내 대학의 국제화 전략방안 분석

Title
국내 대학의 국제화 전략방안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Strategies for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Universities : Focusing on the Knight's integrated internationalization model
Authors
김나윤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유경
Abstract
본 연구는 급변하는 고등교육 환경에 따라 우리 대학들이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더 많은 외국인 유학생들을 유치해야 하는 상황에 비추어 볼때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국제화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등 교육 서비스 산업 확대, 4차 산업혁명 시대 도래 등 교육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세계 각 국은 고등교육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에서도 유학수지 적자, 저 출산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 추세에 대비 하여 외국인 유학생을 포함한 해외 우수 인재 유치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와 같은 노력에 힘입어 우리나라 외국인 유학생 수는 2014년 84,891명에서 2019년 160,165명으로 두 배 가까이 급격히 증가하며 유학생 수 확대라는 양적인 성장을 이뤄냈지만, 불법 체류, 학업 중도포기 등 유학생 관련 여러 가지 사회 문제들이 제기되면서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질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정부와 대학들은 외국인 유학생들의 적응, 학업, 생활 만족도 향상을 위 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이에 부합하는 체계적인 관리와 지원체제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학생 유치 진단과 이를 토대로 한 국내대학의 국제화 전략을 분석하기 위해 Knight의 국제화 통합모형을 활용하였다. Knight는 고등교육 국제화 개념 정립에 관한 주목할 만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고등교육 기관의 국제화를 기술하는 여러 가지 표현 중에서‘전략’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접근방식에 주목하였는데 그 이유는‘전략’이라는 개념은 학문적 활동에 관한 과정 및 정책과 조직적 활동에 관한 과정 및 정책 모두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김미란 외, 2007). 본 연구는 Knight의 국제화 통합모형을 적용하여 조직적 관점과 프로그램 관점으로 나누어 우리나라 외국인 유학생 유치 진단과 국내대학의 국제화 전략을 분석한 연구이다.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우리나라 외국인 유학생 유치 관리실태의 문제와 과제는 Knight의 국제화 통합모형의 관점에서 어떻게 전개되는가? 둘째,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정책 개선을 중심으로 국내대학의 국제화 전략은 Knight의 국제화 통합모형 의 관점에서 어떻게 추진해야 하는가? 이다. 우리나라 외국인 유학생 유치 진단과 국내대학의 국제화 전략을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방법으로 문헌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 한국교육개발원 등 국책연구기관 자료, 학술지, 신문기사 등을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Knight의 국제화 통합모형에 따라 조직적 관점에서 대학 내 구성원들은 국제화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비전의 부재, 전문 인력 부족 등으로 정부 주도의 소극적인 국제화를 추진하고 있었다. 또한 학내 구성원들의 외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인식과 국제화 역량은 유학생 유치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유학생 관리체계는 다소 미흡하였으며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배타적인 인식 또한 여전한 것으로 나 타났다. 지원체제(support System)에 있어서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 유치 지원 체제의 현황과 문제점을 한국 유학 전, 한국 유학 중, 한국 유학 후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는데, 한국 유학 전 단계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 유학에 관한 정보 획득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한국유학 후에는 부족한 한국어 실력으로 특히, 학업 수행에 있어 언어 이해 부족으로 유학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있었다(국립국제교육원, 2018). 아울러 한국 유학 종료 시점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은취업 지원에 관하여 가장 고민하게 되는데, 대학의 취업 프로그램 및 취업 지원의 질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뤄져 있지 않고 있으며 이에 실제로 유학생들 역시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체감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백성준, 2015). 둘째, 프로그램 관점에서 학술적 프로그램의 국제화는 고등교육 분야에 있어 코로나19 감염 확산으로 인해 국제교류 프로그램이 잠정 중단되고, 비대면 수업이 전면적으로 도입되는 등의 심각한 위기 상황에 놓여 있다(김지하 외, 2020). 기존 의 국가 간 이동 중심의 학술 교류 프로그램과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방식은 상당기간 위축될 수 있으며, 지금의 비대면 생활 방식은 코로나 종식 이후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우수한 IT 인프라를 기반으로 대면 방식의 학술활동 및 교류협력 역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외부관계와 서비스에 있어서는 국제적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가운데, 최근에는 해외 동문 네트워크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코로나19 감염 확산은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있어서도 심각한 저해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 시기에 한국에 유학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 관리 문제 뿐 만 아니라 졸업 후 이들에 대한 사후관리를 어떻게 체계적으로 강화할 수 있을 것인지가 중요한데, 이에 대한 전략은 다소 미흡한 편이라 할 수 있다(박정은 외, 2021).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는 외국인 유학생 유치정책은 단순히 유학생 수를 늘리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코로나19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한국 유학을 성공적으로 마친 성장 잠재력이 탁월한 우수한 외국인 유 학생을 유학 종료 이후에 어떻게 효율적으로 인적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가 중요하다 할 것이다. 셋째, 지금까지의 유학생 유치진단을 바탕으로 Knight의 국제화 통합모형의 조직적 차원의 국제화 전략으로는 우선, 학내 구성원들의 국제화 역량 강화를 통해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유학생 관리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박정은 외, 2021). 아울 러 학내 구성원 간 이해도와 친밀도 제고를 위한 교류 프로그램을 통해 외국인유학생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김지하 외, 2020).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 외국인 유학생 15만 명 시대에 지배구조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 교직원 등 학내 구성원들이 서로 간의 다름과 다양성을 존중하는 태도를 지니는 일일 것이며 더 나아가 사회의 구성원들 역시 타자의 고유한 문화를 이해하고 포용하려는 다문화 인식을 갖춰야 한다. 다음으로, 지원체제에 있어서는 한국 유 학 생활 전반에 있어 외국인 유학생이 겪는 어려움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전략을 제시하였는데, 먼저, 학업과 대학 생활에 있어 외국인 유학생들이 경험하게 되는 가장 큰 어려움이 언어와 문화의 문제이니 만큼 이에, 대학 차원에서 수준별 한국 어 학습 지원을 강화하고 외국인 전용 교과목을 개설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외국인 유학생들이 대학 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여러 대학이 운영하고 있는 버디, 멘토링 프로그램도 내실화를 기할 필요가 있는데, 이 를 위해 외국인 유학생의 필요사항 조사와 면담을 강화하고, 구체적으로 멘토링 운영을 통해 요구되는 한국 학생들의 특성 및 조건, 지원 필요사항 등에 대해서도 조사하여 프로그램에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김지하 외, 2020). 한편, 우수한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위해서는 장학금 지원이 주요한 유인책이 될 수 있는데 기존의 장학제도 개선을 통해 수혜 범위를 다양화하고 지원 규모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신진 연구자, 젊은 행정가, 교사 연수 등 타 국가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국가 간 상호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의 인재를 초청해야 할 것이며, 장학 프로그램 역시 이에 맞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남방·신북방 국가 등 전략적으로 협력이 필요한 국가의 우수 인재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기 위해 장학사업 규모를 보다 확대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 유학 후 국내·외 취업을 희망하는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취업 지원 방식을 개선하 여야 할 것이다. 인구 구조와 변화하는 국내 산업 수요를 반영하여 일과 학습을 연계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공계 분야 등 해외 우수 인재에 대한 비자심사 기준을 완화하는 정부 차원의 비자제도 개선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김지하 외, 2020). 또 한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단기 인턴십, 외국인 유학생 채용박람회를 통해 국내 진로 탐색 및 취업 기회를 제공해고, 이를 위해 대학 뿐 아니라 정부(교육부, 산업부 등), 지자체, 기업 등이 함께 협력해야 할 것이다. 넷째, 프로그램 관점의 국제화 전략으로는 교육 프로그램 이동에 관점에서 분석 하였는데, 구체적으로 복수/공동학위 과정 운영, 해외 분교 설립, 교육 모델 다변화가 그것이다. 코로나19 감염 확산은 우리 사회 경제 전반에 많은 영향을 미쳤으 며 현재 우리 대학들도 그 변화의 한가운데에서 서 있다. 온라인 수업이 전면 도입되었을 뿐만 아니라 국가 간 학생 교류, 국제학술 활동 등 글로벌 교육교류는 거의 중단되었다. 이러한 교육 환경 변화에 맞춰 2020년 정부는 포스트 코로나 시 대, 고등교육 변화와 혁신 지원 방안을 통해 원격수업 교과목 개설 기준 폐지, 원격 이수학점 제한 기준 폐지 등을 발표하였는데, 이는 곧 종전의 캠퍼스 대면 중심의 외국인 유학생 교육모델에서 온라인, 하이브리드 모델 등으로 다변화 할 필 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김지하 외, 2020). 아울러 이러한 맥락에서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글로벌 교육지원 사업 등과 연계하여 국내 대학들과 개발도상국 대학 간의 복수/공동학위과정 운영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2019년 국내대학의 해외분교 설치에 대한 규제완화에서도 볼 수 있듯이 정부의 행·재정적 지원을 토대로 국내 대학들은 해외 분교 설립 및 운영과 관련하여서도 적극적으로 길을 모색해 보아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외부관계와 서비스 관 점에서는 외국인 유학생 동문들에 대한 사후 관리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와 대학들은 동문회 운영 확대, 동문 학술 세미나 개최, 특히 대학원의 경우 교수들과의 연구 네트워크 유치 등을 통해 동문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고 동문 데이터 관리를 기반으로 하여 졸업생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의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관리 지원을 위해 정부, 대학, 지방자치단체, 기업, 재외공관 등의 연계를 강화하여 정책지원 구조를 다원화해야 한다. 예를 들어 유학생들의 취업 지원과 관련하여 유학생이 취업할 수 있는 직종, 기업, 채용규모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정부, 지자체, 그리고 기업 등이 연계하여 제공하는 방안 등을 더욱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동문 사후 관리에 있어서도 교육부, 외교부, 재외공관 등 유관 기관 간 연계 협업을 통해 동문 인력풀을 공유함으로써 각종 행사 시 공공외교의 주요 인적 네트워크인 외국인 유학생 동문의 참여를 적극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대학은 자체적으로 외국인 유학생의 정주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체계적인 지원방안과 효과적인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학내 부서와 학과 간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마련하고 학내 직원들 역시 국제화 역량을 강화하여 전문성을 가져야 할 것이다. 학습 지원을 위해서는 엄격한 학사 관리와 학습 프로그램(한국어, 기초 전공)의 질적 관리가 필요하며, 외국인 유학생의 효율적인 학습지원을 위해 대학 차원의 학습 지원 센터를 운영 및 확대될 필요가 있다. 또한 안정적인 유학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생활 적응 프로그램의 질 관리와 중도탈락 및 불법체류 방지를 위한 상담 지원의 강화,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통합 위험 관리방안의 개선이 필요하다.(교육부 외, 2018). 셋째, 학내 구성원 뿐 아니라, 우리 사회 전반에 다문화 포용성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특히 학내에서는 외국인 유학생들을 포용하려는 인식이 매우 낮고 유학생을 구성원으로 받아들이는 것에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만큼 대학 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다문화 감수성 교육, 이 문화에 대한 포용적 수용성 관련 교육,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인식 개선 교육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김지하 외, 2020). 넷째, 외국인 유학생의 수요에 부응하는 글로벌 교육 연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한다는 것은 이들에게 글로벌 교육과정을 제공한다는 것을 전제하는 바, 영어, 중국어 등 외국어로 제공하는 전공 과정이나 강좌를 늘리고, 우리나라 대학과 기업, 사회에서 외국인 친화적 문화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필요하다(백성준, 2015).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more efficient and systematic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in light of the situation in which our universities should attract more foreign students as a way to strengthen thei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ccording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higher education. A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s, including the expansion of the higher education service industry and the arrival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making all-out efforts to attract foreign student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various efforts are also being made to attract talented foreign individuals, including foreign students, in preparation for the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due to the deficit in the balance of study abroad and low birthrates.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has nearly doubled from 84,891 in 2014 to 160,165 in 2019, but since there are various social issues related to foreign students such as illegal immigration or abandonment of studies, the importance of quality management for foreign students is being highlighted. In response,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are making various efforts to improve the adaptation, academic and living satisfaction of foreign students, but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 corresponding to this is insufficient. These efforts are, Knight's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of Korean universities based on the diagnosis of attracting international students. Knight conducted notable research o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and noted the term 'strategy' among several expressions describing the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because the concept of 'strategy' can be applied to the procedures and policy of both academic and organizational activities (Kim Mi-ran et al, 2007).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diagnosis of attracting foreign students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of Korean universities by applying Knight's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model in both organizational and programmatic perspective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above research,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First, how do the problems and challenges of Korea's management of attracting foreign students develop in terms of Knight's integrated internationalization model? Second, how should the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of domestic universities be pursued in terms of Knight's integrated internationalization model, focusing on improving policies to attract foreign students? Literature research methods were used to diagnose the attraction of foreign students and analyze strategies for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universities. And the data are from state-run research institutes such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and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The first finding from the study was that in organizational perspective according to Knight's integrated internationalization model, members of the university recognized the need for internationalization as important, but were pushing for government-led passive internationalization due to lack of vision and lack of professionals. In addition, although the school members' awareness of foreign students and the members' internationalization capabilities are very important factors in attracting international students, th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management system for international students was somewhat insufficient. And it turned out that the school members' recognition to foreign students stayed exclusive. In terms of a support system, the study divided the status and problems of the system for foreign students into 3 stages: before, during, and after studying in Korea. Before their coming to Korea, the students were having difficulties finding out information about studying in Korea. After arriving in Korea, the students' main difficulties were their Korean language fluency insufficient to comprehend(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2018). In addition, at the end of studying in Korea, foreign students are most concerned about employment support, and there is no systematic management of employment programs and employment support, and in fact, international students are not experiencing the effects of the career support programs run by their affiliated universities (Baek Sung-joon, 2015). Second, from a programmatic perspective, the internationalization of academic programs is in a serious crisis, with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s temporarily suspended and non-face-to-face classes introduced in the higher education sector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infection(Kim Ji-ha et al, 2020). Existing academic exchange programs centered on a participant's movement between countries and ways of attracting foreign students could shrink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and the current non-face-to-face lifestyle will affect even after the end of Covid-19. Therefore, based on our superior IT infrastructure, face-to-face academic activities and exchange cooperation are required to be sought in new directions. Amid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networks in external relations and services are gaining more attention, the interest in overseas alumni network development has recently increased. The spread of Covid-19 is also a serious obstacle to attracting foreign students, and it is important not only to manage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at this time, but also to systematically strengthen follow-up care for them after graduation but the strategy in response to those are some what insufficient at current stage (Park Jung-eun et al, 2021). The policy to attract foreign students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vid-19 era is not just to increase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but how to efficiently utilize the human resources of the foreign students with excellent growth potential who have successfully completed studying in Korea despite the difficult situation of Covid-19. Third, based on the diagnosis of attracting international students, Knight's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model implies that there should be a established systematic and professional foreign student management system by strengthening the internationalization capabilities of school members(Park Jung-eun et al, 2021). In addition,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awareness of foreign students through exchange programs to enhance understanding and intimacy among school members(Kim Ji-ha et al, 2020). In the era of entering a multicultural society and 150,000 foreign student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erms of governance is that school members, such as students and faculty, respect each other's differences and diversity, and members of society should also have a multicultural awareness to understand and embrace other's unique cultures. Next, the strategy was presented around the difficulties faced by foreign students in studying in Korea. First, the biggest difficulties faced by foreign students in academic and university life are language and culture issues. Accordingly, more efforts should be put in university level, such as strengthening varied levels of Korean language course or providing certain courses for foreign students application, exclusively. In addition, Buddy and mentoring programs run by various universities need to be internalized, which should be investigated and interviewed by foreign students, and specificall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conditions, and support needs of Korean students required through mentoring operations(Kim Ji-ha et al, 2020). Meanwhile, scholarship support can be a major inducement to attract outstanding foreign students, and it will be necessary to diversify the scope of benefits and expand the size of support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existing scholarship system. In other words, as can be seen in other countries such as up-and-coming researchers, young administrators, and teacher training, talent from various fields that can contribute to mutual development between countries should be invited, and scholarship programs need to be designed accordingl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ize of scholarship projects to actively attract talented people from countries that need strategic cooperation, such as the New Southern and New Northern countries. Final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mployment support method for foreign students who want to get a job in or outside Korea after studying in Korea. It is necessary to link work and learning to reflect the demographic structure and the changing demand of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overnment-level visa system should be improved to ease visa screening standards for overseas talented individuals affiliated to fields related to science or engineering(Kim Ji-ha et al, 2020). In addition, short-term internships for foreign students and job fairs will provide career exploration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in Korea, and universities, as well as governments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etc.), local governments, and companies will have to cooperate together. Fourth,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from the program perspective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vement of educational programs, specifically the operation of multiple/joint degree courses, the establishment of overseas campuses, and the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models. The spread of the Covid-19 outbreak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our social economy as a whole and our universities are now standing in the middle of that change. In addition to the full introduction of online classes, global educational exchanges, such as student exchanges and international academic activities, have almost been suspended. In line with this chang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government announced the abolition of the criteria for opening remote classes and limiting remote credits through post-corona era, changes in higher education, and innovation(Kim Ji-ha et al, 2020). These imply that existing education model needs changes from face-to-face, in-the-campus way to online or hybrid way. In addition,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operation of multiple/joint degree courses between domestic universities and universities in developing countries in connection with global education support projects promo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addition, domestic universities should actively seek ways to establish and operate overseas campuses, based on government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s seen in the deregulation of overseas branches in 2019. Finally, from an external relationship and service perspective, follow-up care for alumni of foreign students should be strengthened. To this end,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will need to activate alumni networks and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manage graduates based on alumni data management, especially by expanding alumni associations, holding alumni academic seminars, and attracting research networks with professor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olicy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upport the systematic and stable management of foreign students, the government, universities, local governments, companies, overseas missions, etc. should strengthen their ties to diversify the policy support structure. For example, regarding employment support for internationa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further develop ways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types of jobs, companies, and recruitment sizes that international students could be employed. In addition, through cooperation with related agencies such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diplomatic missions, alumni of foreign students, a major human network of public diplomacy, will be able to actively participate in various events. Second, the university shall establish systematic support measures and an effective management system to improve the settlement conditions of foreign students on its own. To this end, an organic cooperation system between departments and majors should be established, and employees in schools should also have expertise by strengthening their internationalization capabilities. Strict academic management and qualitative management of learning programs (Korean language, basic majors) are required to support learning, and university-level learning support centers need to be operated and expanded to efficiently support foreign stud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quality of living adaptation programs, strengthen counseling support to prevent dropout or illegal stay, and improve integrated risk management measures for foreign students (Ministry of Education et al, 2018). Third, we need to strengthen multicultural inclusion in our society as a whole as well as among in-school members. In particular, as the perception to embrace the foreign students is low and negative about accepting international students as internal group memb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education, inclusive receptivity education for this culture, and awareness improvement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need to be provided (Kim Ji-ha et al, 2020). Fourth, a global educational research program shall be developed to meet the needs of foreign students. Attracting foreign students assumes that they will be provided with a global curriculum, and it is also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courses or courses provided in foreign languages such as English and Chinese, and to create a foreign-friendly cultural environment in Korean universities, enterprises, and society (Baek Sung-joon, 2015).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