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2 Download: 0

2015 개정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병자호란' 서술 분석

Title
2015 개정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병자호란' 서술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Analysis of 'Byeonja Horan' (丙子胡亂, Manchu's invasion in 1636) narrative in textbook : Based on the background and the development of the war
Authors
정진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민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동아시아사』 속 ‘병자호란’의 서술을 분석하여 전쟁사를 통한 평화 교육의 의지와 새로운 역사 서술 기준으로서 <동아시아사> 교육과정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전쟁’은 강력한 파급력으로 인해 역사교육의 빼놓을 수 없는 내용 요소가 되지만 동시에 그 파괴성으로 인하여 범교과적 가치인 평화교육에 대한 역사교육계의 고민이 항상 존재한다. 전쟁사를 통한 평화교육의 핵심은 전쟁의 배경과 영향을 바탕으로 전쟁에 대한 사실을 당대 행위자의 시각에서 맥락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동아시아사>는 동아시아 세계의 ‘상호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하는 ‘평화’를 기치로 동아시아 지역 세계사에 관한 다각적이고 맥락적인 이해를 추구하는 과목이다. ‘병자호란’은 처절한 패배의 기록으로 그 결말로 인해 자기 반성적 해석과 패배에 대한 책임을 묻는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주체성 신장이라는 역사 과목의 전통적 기능과 대치되었기에 중요한 역사교육의 소재가 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교과 특성상 <한국사>에서 서술의 제약이 클 수밖에 없었던 ‘병자호란’이 2015 개정 <동아시아사>에서 어떻게 서술되고 있는지 살펴보는 작업은 새로운 역사교육에 대한 의지가 전면에 드러난 <동아시아사>의 현 위치를 파악하는 데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특히 <동아시아사> 교육과정이 강조하는 전쟁의 영향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전쟁의 실체를 파악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판단했기에 ‘병자호란’의 배경과 전개 과정 서술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일차적으로 ‘병자호란’의 배경과 전개 과정에 대한 학계의 연구를 살펴보았다. ‘병자호란’의 배경의 경우 주화론과 척화론을 중심으로 조선 정부가 전쟁의 빌미를 제공했다는 시각의 연구가 오래 지속되었다. 그러나 명백히 청의 침략으로 발생한 ‘병자호란’을 조선이 자초한 전쟁으로 해석하는 것이 오늘날의 가치로 접근한 결과라는 비판이 제기되었고, 현재는 청의 침략과 침략 목적을 밝히는 방향의 연구가 ‘병자호란’ 배경 연구의 주류가 되었다. ‘병자호란’의 전개 과정에 관해서 조선과 청의 전술과 사회 구조적 기반, 지리·환경적 요인을 비교해보았다. 이를 통해 조선 측 전술의 당대적 합리성을 이해하였고, ‘병자호란’을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여러 연구 성과들이 더해지면서 조선 조정에 책임을 묻기 어려운 깊은 층위의 사회 구조적 문제와 지리·환경적 요인이 ‘병자호란’ 전개 양상에 개입하고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2015 개정 <동아시아사>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평화적 감수성을 위해 동아시아 전쟁 이후 각국에 미친 영향을 강조하였으나 ‘병자호란’에 대한 별도의 성취기준이 마련되지 않았고, 배경과 전개 과정에 대한 강조가 없어 전쟁의 실체를 확인하기 어려운 교과서 서술이 예상되었다. 실제 2015 개정 『동아시아사』를 분석한 결과 ‘병자호란’의 배경에 있어 조선이 전쟁의 빌미를 제공했다는 초창기 연구 성과에 의존한 서술이 확인되었고, 조선 중심의 내러티브로 인해 청의 통사적 서술이 깨진 현상을 발견하였다. ‘병자호란’의 전개 과정에 관한 서술은 과도하게 생략되어 있었는데, 동일한 성취기준을 공유하는 ‘임진왜란’의 전개 과정 서술이 상세한 것과 비교해 보았을 때 전쟁의 결말에서 비롯된 차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전쟁’이 아닌 ‘패배’에 대한 비판적 사고로 학습자를 유도할 수 있기에 서술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고 나름의 교과서 서술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는 교과서 본문 분석에 치중되어 있다는 점, 대안적 서술에 새로운 연구 성과를 반영하는 데 아직 학계에 공론화 되지 않은 개인 연구자의 주장을 포함하여 개진한 점 등에 있다. 그럼에도 전쟁의 무분별한 파괴성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전개 과정에서부터 다양한 존재감이 부각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고, 교육과정이 지속하여 강조해 온 전쟁의 영향을 다층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점, 평화 교육으로 이어질 수 있는 「동아시아사」의 ‘병자호란’ 서술의 가능성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본 논문이 의미가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descriptions of the “Byeonja Horan” in the 2015 Revised textbook and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 curriculum as a basis for Peace Education through War History and a New historical description. The point of Peace Education throughout the War History is to understand the facts of war in context based on its background and influence. is a subject that pursues a diversified understanding of world history in East Asia for Peace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and Respect in the East Asian world. The “Byeongja Horan” was a history of desperate defeat, so it was mainly studied to reveal the matter of responsibility about defeat, and it was not an important historical education element because it was confronted with the traditional function of history subjects such as identity and self-reliance as Koreans.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 which reveals the willingness about New History Education, by examining how the “Byeongja Horan” is being described in the 2015 revision of . In particular, it was decided that in order to learn the influence of war emphasized by the curriculum,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Byeongja Horan” should be analyzed first. First, In the case of the background of the “Byeongja Horan”, research on the view that the Joseon government provided an excuse for war. However, criticism was raised that it was wrong to regard the “Byeongja Horan” caused by Qing's invasion and study on the purpose of Qing's invasion has become the mainstream of study on the background of the “Byeongja Horan”. Regard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Byeongja Horan”, this paper compared the military strategies of Joseon and Qing’s, the social structural foundation, and geographical factor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deep social structural problems and environmental factors, which were difficult to hold responsible for the Joseon government. Next, analyze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peaceful sensibility, the impact on countries after the East Asian War was emphasized, but no separate standard of educated achievement was set for the “Byungja Horan”, and textbook descriptions were expected to be difficult to identify the true nature of the war due to lack of emphasis on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process. In fact, an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confirmed the early study results that Joseon provided an excuse for war in the background of the “Byungja Horan”, and found the Joseon-centered narrative. The description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Byungja Horan” was excessively omit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escrip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Imjin War(壬辰倭亂, Japanese Invason of Korea in 1592)”, which shared the same achievement criteria, was a difference from the results of the war. This can lead learners to critical thinking about “defeat” rather than “war”. so the narrative needs to be supplemented. Therefore, This paper suggested an alternative to the textbook descrip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lie in the fact that it is focused on text analysis in textbooks, including opinions from individual researchers who have yet to be publicized in academia to reflect new research achievements in alternative descriptions, etc. Nevertheless, in order to emphasize the indiscriminate destruction of war, various presence must be revealed from the development process.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 foundation to shed light on the effects of war that the curriculum has consistently emphasized, and proposes the possibility of describing “the Manchu Invasion of 1636” of , which can lead to Peace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