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8 Download: 0

특수학교 특수교사와 관리자의 통합교육 및 일반학교와의 통합교류에 대한 인식 및 경험 고찰

Title
특수학교 특수교사와 관리자의 통합교육 및 일반학교와의 통합교류에 대한 인식 및 경험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dministrators in Special Schools on Inclusive Education and Interschool Exchanges with General Schools
Authors
김건화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숙향
Abstract
현재 우리나라의 특수교육은 법적, 정책적으로 통합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리교육 배치 형태인 특수학교의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제5차 특수교육 5개년 계획에 따르면 2022년까지 특수학교를 신설할 계획 중에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는 통합교육에 대한 지향과 특수학교가 증가하는 현실이 아무런 갈등을 초래하지 않고 별개의 문제로 다루어져 왔다. 하지만 특수교육의 궁극적 목적이 사회통합임을 고려할 때,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이자 철학인 통합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이 특수학교 환경의 제한성이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현재 특수교육 체제 안의 통합교육 흐름에서 분리교육 기관인 특수학교가 가져야 할 새로운 위상과 역할기대는 쟁점이 되어왔다. 이러한 점에서 특수학교는 분리된 교육환경이라는 근원적인 한계를 인정하고, 통합 지향적인 노력들을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통합교육 흐름에 걸맞은 정체성과 역할을 모색할 때이다. 이 때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핵심 주체인 특수학교 관리자와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경험과 인식은 특수학교에서의 통합 지향적 시도를 하는 데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 특수교사와 관리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통합교육 및 일반학교와의 통합교류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 심도 있게 탐색하고 아울러 통합교육을 강조하는 이 시기에 특수학교가 가져야 할 새로운 역할 및 정체성, 이에 따른 지원요구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내 특수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 17명과 관리자 5명이다. 본 연구의 주된 자료수집 방법은 면담이다. 특수교사의 경우는 유아·초등, 중등의 학교 급별로 특수학급 근무 경험이 있는 교사와 일반학교와의 통합교류 경험이 있는 교사 그룹으로 나누어 가장 동질성이 높은 그룹 4개를 구성하여 포커스 그룹 면담을 진행하였다. 17명의 교사 중 스케줄 조정의 어려움으로 인해 포커스 그룹으로 구성되지 못한 2명의 교사와는 개별 면담을 하였으며, 각 관리자의 경험에 초점을 둔 심층 면담을 위해 관리자 5명과 개별 면담을 하였다. 그 외에도 책이나 연구논문, 기사, 인터뷰 등의 기타 관련 자료 또한 수집되었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Braun과 Clake(2006)의 주제분석 방법 6단계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총 3개의 대주제와 8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주제는 ‘통합교육 및 일반학교와의 통합교류 성과 및 교훈’으로, 특수학교 교사들과 관리자들이 이전의 통합교육 경험에서 얻은 긍정적인 성과가 분리교육 환경인 특수학교에서는 단절된다는 사실을 인식하였고, 특수학교에서 시도한 일반학교와의 통합교류를 통해 여러 가지 성과와 열악한 여건 및 어려움을 경험하였음이 드러났다. 이러한 통합 관련 경험들을 통해 통합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과 요인들을 깨닫게 되었다. 이러한 통합교육 및 일반학교와의 통합교류 경험은 두 번째 주제인 ‘특수학교에서 바라본 통합교육’에 영향을 주었는데, 통합교육 환경에서 어려움을 겪고 돌아오는 장애학생들에게 특수학교는 피난처로서 인식되고 있었다. 이러한 학생들을 만나며 연구참여자들은 통합교육이 잘 되고 있지 않은 현실을 간접적으로 인식하였으며, 특수학교에서 회복하는 학생들을 보면서 학생들의 교육환경을 결정할 때 학생의 행복이 우선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한편, 동시에 이들은 또래 모델의 부재, 생활연령에 맞는 경험의 부족, 일반학생과의 상호작용 기회의 부재라는 측면에서 특수학교에서 충족되어야 할 통합교육 요구를 인식하였다. 세 번째 주제는 ‘통합교육과 함께하는 특수학교 교육’으로, 이전 통합 경험에서 얻은 교훈들을 바탕으로 특수학교가 통합교육 흐름 안에서 함께 있어야 함이 인식되었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를 고려한 통합교육 정의, 특수학교에서의 통합의 목적과 방법을 포함하는 특수학교에서의 통합 준비와 특수학교의 새로운 정체성 및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특수교육 전문성의 집합체, 통합교육을 지원하는 기관이라는 새로운 정체성과 역할에 따라 요구되는 다양한 행·재정적, 제도적, 인적 지원이 제안되었다. 도출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통합교육의 흐름 속에서 특수학교 교육의 지향점과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주요 관련자들 간 공유된 이해와 협력 증진, 법적 정의에 나타난 통합교육 개념 재정립의 필요성, 일반학교와의 통합교류 여건 개선 요구, 특수학교가 가져야 할 새로운 정체성과 역할 및 지원요구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관리자와 특수교사들의 통합 관련 인식 및 경험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특수학교에서 바라보는 통합교육의 현실 및 특수학교의 한계를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 특수학교가 통합교육 흐름과 함께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새로운 정체성과 역할을 통해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spite of an ongoing emphasis on inclusive education in South Korea, the number of special schools which carry out separate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increased. Furthermore, there is a plan for establishing new special schools under the 5th Five-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2018-2022). However, there is an inconsistency between the ori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and expansion of special schools. Considering the fact that social inclusion is the ultimate goal of special education, a separate environment away from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became a critical limitation of special schools. In this regard, special schools need to endeavor to provide inclusive education opportunit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For this, teachers and administrators will play important roles in managing the curriculu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eachers and administrators working in special schools that have teaching experiences in inclusive education and interschool exchanges with general schools using qualitative methods. In addition, new identities and roles special schools should have and supports they need in order to function were explore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7 teachers and 5 administrato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teachers were divided into four focus groups based on similar characteristics regarding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and school level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teachers. And additional 2 teachers and 5 administrators were interviewed personally. Other data collected besides the interview were books, research papers, articles, etc.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using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Braun & Clake, 2006), 3 themes and 8 sub themes emerged. The first theme was ‘Outcomes and lessons from experiences of inclusive education and interschool exchange’. Positive outcomes of inclusive education cannot be observed in special school. Experiences from interschool exchanges revealed hardships as well as positive impacts. These experiences revealed the influential factors that comprise inclusive education and interschool exchanges. The second theme was ‘The inclusive education seen in special schools’.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at experienced trauma at general schools needed special schools for refuge. These instances proved attempts for inclusive edcucation in general schools were not successful. At the same time, participants acknowledged the need for inclusive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due to lack of peer models, experiences corresponding with chronological age, and opportunities for interaction with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e third theme was ‘Education in special school oriented towards inclusive education’, which includes worries about the exclusion of special school in the legal definition of inclusive education, purposes and methods for inclusion in special schools, and their needs for diverse administrative, financial, institutional, and personal needs in order to take on new identities and roles.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regarding new orientation and practices for special schools were discussed in the following four points: a) the promotion of shared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among stakeholders, b) the need for re-establishment of inclusive education in legal statements, c) improving conditions for interschool exchanges with general schools, and d) new identities and roles of special schools along with necessary support nee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