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7 Download: 0

발달장애 중고등학생의 학교 안전교육에 관한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과 경험

Title
발달장애 중고등학생의 학교 안전교육에 관한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과 경험
Other Titles
Special School Teachers’Perceptions and Experiences on School Safety Education of Secondar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uthors
송경신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지연
Abstract
학교 안전교육은 장애를 가진 모든 개인이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데 매우 중요하다(Çetİn & Bozak, 2020).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에서 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의 안전교육이 강조되고 있지만, 특수교육 대상학생들은 인지적ㆍ신체적인 영역에서 발달상에 제한을 가지고 있어서 안전문제에 매우 취약하다(Embury, Clarke, & Weber, 2019).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학교 안전교육은 의사소통기술, 운동기술 그리고 사회성기술을 학습하는 것 못지않게 중요할 뿐만 아니라 안전과 생존에 필수적이므로(Dixon, Bergstrom, Smith, & Tarbox, 2010; Mechling, 2008), 특수교육 현장에서 안전교육이 갖는 중요성은 더욱 크다. 우리나라 학교 안전교육은 2014년도 세월호 참사 이후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발전하였다. 학교 안전교육에 대한 관심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발달장애 중고등학생 학교 안전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경험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특수교육 현장에서 실행된 장애학생 대상 안전교육과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질적 연구는 학교 관리자를 대상으로 실행한 연구가 유일하다. 즉, 발달장애 중고등학생의 학교 안전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어떠한 어려움이 있는지 파악하고 실제적인 학교 안전교육을 위해 필요한 요구를 알아내고자 하는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학교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특수학교에서 발달장애 중고등학생에게 학교 안전교육을 실시하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교사들이 학교 안전교육과 관련하여 갖고 있는 인식과 경험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경기, 인천, 부산시에 위치한 발달장애 특수학교 교사 10명이다. 연구 참여자는 연구목적을 달성하는 데 가장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연구자들에게 이해와 통찰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는 교사를 연구목적과 의도에 맞추어 준거적 선택(criterion-based selection)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반구조화된 질문지는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개발하였고, 초안에 대한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반구조화된 설문지는 예비 면담을 통해 재수정하여 질문지를 최종 완성하였고, 이를 사용하여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자료전사, 질적 분석, 검증 총 3단계에 걸쳐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자료 분석이 진행되는 동안 연구의 엄격성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전문가 검토를 거쳤다. 자료 분석 결과는 최종적으로 3개의 대주제와 10개의 하위주제로 범주화되었다. 첫 번째 주제는 발달장애 중고등학생 안전교육의 현황으로,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은 발달장애 중고등학생에게 안전교육을 실시할 때 장애와 연령을 고려하여 교육하고 있고, 효과적인 안전교육 수업을 위하여 교사들 스스로 교수전략을 개발하였으며, 찾아오는 안전교육과 같은 외부 프로그램을 수업과 연계하여 실시한 안전교육이 효과적이었다고 하였다. 두 번째 주제는 발달장애 중고등학생 안전교육 관련 고충으로,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은 발달장애 중고등학생에게 맞는 적절한 자료가 부재하다고 하였고, 학교 차원의 안전교육이 중구난방이며 소극적이기에 체계성과 적극성이 부족하다고 하였고, 안전교육 예산 활용 방법이 불분명할 뿐만 아니라 모의훈련을 실행할 때 예산이 부족하다는 측면에서 안전교육 예산 집해에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고, 안전교육 교사연수는 연수 내용이 장애와 연령에 맞지 않으며 형식적이라고 지적하였다. 세 번째 주제는 안전교육 내실화를 위한 지원 요구로,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은 발달장애 학생용, 특수교사용 안전교육 자료가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충분한 자원을 활용하여 접근성 높은 환경이 개선될 필요가 있으며, 교사연수 콘텐츠가 다양해질 뿐만 아니라 팀 기반의 안전교육을 다루는 연수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 일선에서 발달장애 중고등학생의 안전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학교 교사를 면담하여 학교 안전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개선 방안을 심도 있게 다루었다는 점과 이를 바탕으로 향후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현재 시행중인 안전교육의 내실화 및 효과적인 안전교육 내용 전달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School safety education is critical for all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o live on their own in the community(Çetİn & Bozak, 2020). In the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safety education for all the students including disability ones is emphasized, but special education students are still very vulnerable to safety issues because of their developmental restrictions in cognitive and physical spheres(Embury, Clarke,& Weber, 2019). Since school safet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essential for their safety and survival in addition to learning communication skills, motor skills and social skills(Dixon, Bergstrom, Smith, & Tarbox, 2010; Mechling, 2008), safety education is much more important in the special education sites. From 2014 Ferry Sewol disaster on, school safety education has been continuously emphasized and developed in Korea. In spite of its reinforcement, there is a lack of study on special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safety education for secondar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sites of special education, most of the domestic existing study on safet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focused on research studies through questionnaires. Qualitative research that involved school administrators is the only study. In other words,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to find out what kind of perception and experien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in school safety education for secondar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y the support that is required in school safety education for secondar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on special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and to provide practical data on the future school safety education programs. This study involved 10 teachers who worked at special school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ch are located in Seoul, Gyeonggi-do, Incheon, and Busan.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a criterion-based selection method to pick out teachers who could provide the most information in order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and enable researchers to have understanding and insights.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as finally developed and modified through preliminary studies. By using the final questionnair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data transcription, qualitative analysis, and verification. During data analysis, this study went through ongoing expert reviews to ensure reliability and validity.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it was finally categorized into 3 major themes and 10 sub-themes. The first major theme was the present conditions of safety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pecia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educated secondary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consideration of their disabilities and age when providing safety education. Teachers themselves developed teaching strategies for effective safety education classes. Safety education, which was conducted in conjunction with external programs such as visiting safety education, was effective. The second major theme was the distress for safety education for secondar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pecia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reported that there was no suitable data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afety education at the school level is incoherent because of its system and activeness. Not only is it unclear how the safety education budget is used, but it is also insufficient to implement the mock training. Moreover, it is difficult to execute budget for safety education. It was also pointed out that safety education teacher training has such problems that the contents of the training were unsuitable for disability and age and it did formal. The third one was the support needs for substantial school safety education. Specia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answered that safety education material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pecial teachers need to be developed. They also mentioned that the accessible environment needs to be improved by utilizing sufficient resources, and that not only teacher training contents need to be diversified but also training to deal with team-based safety educ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to be meaningful for the following two reasons. First, it is significant to deal with special teachers’experience and awareness of safety education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Next, based on it, this study provides beneficial data to develop future safety education programs and deliver effective safety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