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9 Download: 0

팬데믹 상황에 따른 원격수업에 대한 지체중복장애 중고등학생 어머니의 인식과 요구 탐색

Title
팬데믹 상황에 따른 원격수업에 대한 지체중복장애 중고등학생 어머니의 인식과 요구 탐색
Other Titles
A study on how to enhance online learning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sever and multiple disabilities: based on experiences of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uthors
김서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이영선
Abstract
학교 환경 중심으로 교수학습활동이 이루어지던 특수교육 현장에서 원격수업이 실시되면서 학교와 가정은 많은 변화를 경험하였다. 전문성, 개별성 중심의 학교 교육이 가정으로 이양되면서 장애 정도가 중도이고 두 가지 이상의 장애 유형을 중복해서 가지고 있으며 생활의 전반적 영역에서 높은 수준의 지원을 요구하는 지체중복장애 학생이 원격수업 상황에서 겪는 어려움은 더욱 심화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의 특수학교 중등부, 고등부에 재학하고 있는 지체중복장애 자녀가 있으며 2020년 3월부터 2021년 2월까지 1년 동안의 기간 중 최소 3개월 이상 지체중복장애 자녀의 주양육자로 가정에서의 원격수업을 지원한 학부모 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Bogdan, Biklen의 면담 분석 전략에 따라 면담의 전사본을 부호화 및 통합하는 과정을 거쳐 면담을 분석하고 체계화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4개의 대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대주제를 살펴보면 첫째, 모두가 원격수업을 처음 경험하면서 수업 실행 측면에서 드러난 특징, 둘째, 가정이라는 물리적 공간으로 자녀의 학습 및 학교 생활이 옮겨진 후 학부모가 경험한 어려움, 셋째, 앞서 언급된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외부 환경적 요인, 넷째, 지체중복장애 학생의 원격수업 참여 증진을 위해 원격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안으로 요약된다. 첫 번째 대주제는 원격수업 진행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내용이며, 교사, 학생, 학부모가 원격수업을 처음 경험하며 생긴 고충을 살펴볼 수 있었다. 두 번째 대주제에서는 지체중복장애 자녀의 원격수업을 지원하며 학부모가 경험한 어려움과 관련한 것으로 역할 과부하와 옹호자 부담 가중과 관련한 의미 코드가 도출되었다. 세 번째 대주제에서는 더욱 커진 가정 내에서의 부담, 장애인활동지원사 서비스 활용의 현실적 어려움, 외부활동 제한 측면에서 유의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 네 번째 대주제에서는 온택트 교육 강화, 가정 내 학습 환경 강화, 필수적 대면 지원 강화를 통해 지체중복장애 학생의 원격수업 참여를 증진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해당 연구는 그동안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지체중복장애 자녀를 둔 학부모 대상의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원격수업과 관련한 경험 및 인식을 살펴보았다는 점, 이에 근거하여 지체중복장애 학생의 원격수업 참여 증진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참여자 선정에 있어서 지역적 제한이 있었고 수적으로 충분한 연구참여자를 확보하지 못하였다. 또한 연구의 주제적 특성상 학부모가 교육당국과 교사에 대한 개인적 의견을 표현하는데 어려워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점과 중도중복장애의 다양한 하위유형 중 지체중복장애 학생과 학부모의 원격수업 참여 및 지원 양상만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제한을 가진다. 이를 토대로 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중복장애 학생 및 학부모의 지원 요구를 보다 폭넓게 수렴하기 위하여 다양한 지역을 기반으로 연구를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수적으로 충분한 연구참여자를 확보하여야 한다. 셋째, 지체중복장애 자녀 학부모와의 심층 면담 뿐만 아니라 지체중복장애 학생의 실제적 참여를 관찰하고 이에 근거한 실태 및 지원 요구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중도중복장애에 속하는 다양한 유형의 장애 학생과 학부모를 연구참여자로 하여 지원 요구를 면밀히 살필 수 있어야 한다. ;Both schools and families have experienced many changes, as online classes were introduced as one major teaching method at special education facilities under the Covid-19 situation, where befor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had been conducted around physical places. The difficulties faced by students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who require high levels of support in day-to-day life due to having two or more types of disability, have deepened with the introduction of online classes. This study focused on six different parents’ experiences of supporting their children, who have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s they participate in online classes at home for more than three months from March 2020 to February 2021.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llowing semi-structured interview guidelines. Interviews were analyzed and organized through the process of coding the interview transcripts using analysis strategies by Bogdan and Biklen. This resulted in four major topics and twelve subtopics. The first major topic was focused on the online classes themselves, and particularly its unfamiliarity to both teachers and students. This topic was mainly about the implementation of online classes and the online class contents. The second major topic is related to the parents’ role, supporting their kids with online classes. The third major topic was concerned with environmental factors that added to the difficulties mentioned above. The last major topic turned to ways to encourage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online classes more. The approach of collecting the experiences of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searching for ways to enhance students’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experiences, proved meaningful. However, there were limitations while conducting this research. First, the number of research participants was small. Secondly, the nature of the study makes it difficult for parents to express candid opinions about education authorities and teachers. Third, various subtypes of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not included in this research. Suggestions for any future research based in this area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various regions in order to gather a broader view of the need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Second, more research participants should be recruited. Third, as well as in-depth interviews with parents of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tudents’ participation should be observed under real life settings so that students’ educational needs based on them can be identified. Fourth, students with a wider range of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should be closely examin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