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0 Download: 0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담화 통합 쓰기 구성 전략 제시 및 방안 연구

Title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담화 통합 쓰기 구성 전략 제시 및 방안 연구
Other Titles
Presentation of Composition Strategies and Study of Discourse Synthesis Writing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Authors
최하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에 재학 중인 혹은 대학 입학 예정자인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학문적 의사소통 신장을 위하여 필요한 담화 통합 쓰기의 개념과 의의를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원리와 교육 모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담화 통합이란 학습자가 복수의 추가 자료 텍스트를 읽은 후 본인의 기존 지식과 새롭게 얻은 지식을 합하여 본인만의 텍스트를 완성해가는 총체적 과정을 말한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은 기본적인 의사소통을 넘어 심화된 학습 내용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데, 학문적 의사소통 능력이란 단순히 글을 쓰고 편집하는 것뿐만 아니라 본인의 전공적 지식이 요구되는 어휘의 사용, 담화 공동체를 해치지 않는 상호텍스트성의 살핌, 학문적 상황에 맞는 수사 구조 파악하기 등의 특징을 수반해야 하기 때문에 적절한 교육이 필요하다. 대학에서 수행되는 학문 목적의 쓰기 과제인 보고서, 소논문 등 학문적 글쓰기의 내용은 학습자 본인만의 기존 지식으로 완성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때 학습자들은 추가 자료 텍스트를 접하고 활용함으로써 담화 통합 쓰기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복수의 자료 텍스트 속 상호 텍스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학습자 본인은 자료 구성을 위한 다중 텍스트 간의 상호 텍스트적 관계를 이해할 수 있어야만 하며 글과 내용 구성에 대한 스스로의 이해와 고도의 인지적 수준 역시 요구된다. 즉, 글을 작성해야 하는 대입 학습자들에게는 여러 텍스트를 읽고 접하여 필요한 정보만을 채굴하고 본인이 쓰고자 하는 주제에 연계할 수 있는 담화 통합 쓰기의 전략과 기술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며 담화 통합의 의의를 살피고 개념을 기반으로 실질적인 지도 방안을 제시한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및 진행하고자 하는 연구의 방향성을 살펴본다. 이는 담화 통합 쓰기 교육의 의의와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며 본고의 연구에 대한 정의가 들어있다. 2장에서는 담화 통합 쓰기의 개념적인 부분을 살필 것이며 담화 통합의 세부적인 의의를 살펴 담화 공동체에게 받아들여지는 글이 갖추어야 할 조건 등을 확인한다. 또한 담화 통합 쓰기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따라가며 학습자들에게 담화 통합이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를 살핀다. 이후 담화 통합 쓰기의 개념에 기반하여 읽기와 쓰기 각각의 고유 영역 속 구성적으로 필요한 전략을 살피고 담화 통합 쓰기만을 위한 전략과 기술 역시 모색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선행 연구를 통해 이전에 진행된 연구 속 담화 통합의 모습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교재 분석을 진행한다. 분석을 진행하고자 하는 교재의 기준을 밝히고 국내 대학의 읽기 쓰기가 같이 표기된 통합 교재를 분석하여 실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어떻게 담화 통합 쓰기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교재 속 담화 통합 쓰기가 어떻게 표기되어 있는지, 교재 속 담화 통합 쓰기의 어떤 점이 부족한지 등을 확인한다. 이는 현행되는 교육과정 속 담화 통합 쓰기 교육의 모습을 살펴 앞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을 살필 수 있다. 4장에서는 이전에 논의한 것을 바탕으로 담화 통합 쓰기의 지도 방안을 제시한다. 본고가 밝힌 담화 통합 쓰기의 개념에 기반하여 교육 원리를 정리하는데, 담화 통합 쓰기의 교육적 목적의 의의와 교육의 필요성 및 교육 속 필요 요소 등을 찾아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담화 통합 쓰기 교육 모형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논의를 요약하고 본고가 진행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살펴 이후 연구의 기대점을 밝힌다. 본고 속 담화 통합의 의의 중 주요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담화 통합은 학습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교수자, 학습자와 텍스트, 텍스트와 텍스트, 읽기와 쓰기, 모든 과정 속 일어나는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다. 담화 통합은 읽기와 쓰기 각각 고유의 영역을 존중하되 단순히 더해진 게 아닌 담화 통합 쓰기만의 영역 역시 존재함을 밝힌다. 학습자는 목표하는 담화 공동체에 받아들여질 수 있는 글을 생성해야 하며 이를 위해 주제와 수행하고자 하는 과제, 새롭게 접하는 텍스트, 쓰고자 하는 글에 대한 이해도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는 적절한 자료 텍스트를 사용하여 새로운 글을 작성해야 하며 알맞은 쓰기 기술과 전략이 필요하다. 본고는 이와 같은 의의를 기반으로 교육 원리와 교육 모형을 본문 속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담화 통합 쓰기란 학문 목적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행위이며 이를 위해 개념을 분석하고 교육과정 속 담화 통합 쓰기가 가져야 하는 필요 요소를 정리함으로써 학습자의 학문적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을 주고자 했음에 의의를 갖는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s and significance of discourse synthesis writing required to improve academic communication of learners who are or are expected to enroll in a university and to present educational principles and educational models based on this basis. Discourse Synthesis refers to the overall process by which learners read multiple additional materials and then combine their existing knowledge with their newly acquired knowledge to complete their text.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need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apply deepened learning content beyond basic communication. Academic communication skill requires an appropriate education as it is characterized by not only writing and editing, but also by the use of vocabulary that requires specialized knowledge, observing intertextuality that does not harm the discourse community, and a rhetorical structure tailored to the academic situation. It is difficult to complete the contents of academic composition such as reports and essays, which are the writing tasks for academic purposes performed at the university, with the existing knowledge of the learner himself. At this time, the learner will carry out the process of discourse synthesis writing by experiencing and utilizing the additional material text. To ensure interactivity in multiple material texts, the learner must understand the intertextual relationships between multiple texts for material structure, and his or her understanding and advanced level of awareness of sentences and content structure. In other words, college entering students who have to compose, need to be educated about the strategy and skill of discourse synthesis writing that can read various texts, interact with them, mining only the necessary information, and cooperate with the topic they want to write.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discourse synthesis among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and presents practical teaching methods based on concepts. Chapter 1 examin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study and the direction of study to be pursued. This i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discourse synthesis writing education and to includes the definition of the study in this paper. Chapter 2 examines the conceptual part of discourse synthesis writing, determines the detailed significance of discourse synthesis, and confirms the conditions under which sentences accepted by the discourse community should be prepared. In addition, this chapter will follow the process of discourse synthesis writing and see how discourse synthesis is presented to learners. Then, based on the concept of discourse synthesis writing, it confirms the strategies that are structurally necessary for each unique domain of reading, writing, and writing, and aiming to find strategies and skills only for discourse synthesis writing. Lastly, it examines the appearance of discourse synthesis in the previous studies conducted. Next, Chapter 3 proceeds with the analysis of teaching materials. This chapter clarifies the criteria of the teaching materials that you want to analyze, analyzes the integrated teaching materials in which the reading and writing of domestic universities are written in the same way, and how discourse synthesis writing education is provided to Korean learners for actual academic purposes. Also, it checks how discourse synthesis in the teaching materials is written, and what kind of points the discourse synthesis writing in the teaching materials is lacking. This allows you to see the discourse synthesis writing education in the current curriculum and know the direction to move forward. Chapter 4 presents the teaching measures for discourse synthesis writing based on what was discussed earlier. To organize the educational principles based on the concept of discourse synthesis writing clarified in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educational purpose of discourse synthesis writing, the necessity of education, and the necessary elements in education can be found. Based on this, we present a discourse synthesis writing educational model. Lastly, Chapter 5 summarizes the discussions of this study, explor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carried out in this paper, and clarifies the expectations of future study. The important points of the significance of this discourse synthesis are as follows. First, discourse synthesis is based on learners and learners, learners and professors, learners and texts, texts and texts, readings and writings, and the interactions that occur in all processes. Discourse synthesis respects the areas unique to each of reading and writing, but it is clarified that there is also an area only for the discourse synthesis writing that is not simply added. Learners must create writings that are acceptable to the target discourse community, which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topic and tasks to be performed, new texts to be encountered, and the sentences to be written. Finally, learners must create new writings with the right material text and need the right writing skills and strategies. Based on this significance, this paper presents educational principles and educational models in the tex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discourse synthesis writing is necessary for learners to write for academic purposes, and it can help them develop their academic communication skills by analyzing concepts and organizing the necessary elements of discourse synthesis writing in the curriculu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