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4 Download: 0

결혼이민자 대상 문학 기반 한국어 교육에서 독서 감상문 활용 수업 구성 방안 연구

Title
결혼이민자 대상 문학 기반 한국어 교육에서 독서 감상문 활용 수업 구성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how to organize classes using literature-based reading reviews in Korean education for marriage immigrants
Authors
채우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능력의 수준이 초급 이상인 결혼이민자 대상에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쓰기 능력의 향상과 더불어 문화적 능력에서의 융합을 도모하는 것이다. 현재 국내 결혼이민자 대상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말하기와 듣기 위주의 수업이 주를 이루는 것을 지적하여 이들 대상에서의 한국어 교재를 분석한 뒤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의 기반이 되는 문학 관련 활동을 살펴보고 그중 한국의 전통문화와 관련한 문학 작품을 전제로 이러한 독서 후 활동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문학 교육 기반에서의 독서 감상문 활용 수업 구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문학이라는 장르는 주관적 영역이며 개인적인 관점에서 다방면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으므로 문학을 내용적 측면보다도 언어 교육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Ⅱ장에서는 문학 교육과 한국어 교육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문학 교육의 근본이 되는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바, 한국어 교육 분야보다도 국어 교육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졌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문학 교육이 국어 교육과 언어 교육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문학의 표본이 되는 문학 텍스트는 교육으로써 충분한 자료가 될 수 있으며 학습자의 언어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문학 교육은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어 교육에서도 활용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구체적으로는 문학 텍스트는 줄글 형식의 내용 그 자체보다도 문학에서 다루고 있는 문화적 배경을 중점적으로 학습했을 때에 문화 교육에서의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와 같은 이유로 한국에 정착하고 살아가야 할 결혼이민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는 문학 교육이 이들의 원활한 생활에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문학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말하기와 듣기, 읽기, 쓰기 네 가지 영역 중 쓰기로 세분화하여 학습자들에게 쓰기 중심의 활동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독서 감상문을 채택하여 문학 기반에서의 문화 교육을 쓰기로 도출할 수 있도록 그 과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의미로 Ⅲ장은 독서 감상문의 장르적 특징을 파악하고 다양한 활용 방안을 살펴보며 교육적 가치가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언어 교육에서의 독서 감상문은 기존의 활동에 변형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결혼이민자 대상에서의 독서 감상문 활용 방안은 현재 연구된 바 없으나 이들의 자녀인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한 학습 방안은 간혹 찾아볼 수 있었다. 그러나 궁극적인 목적은 자녀를 위한 독서 감상문 교육이 아닌 결혼이민자 대상에서의 교육이므로 주체를 바꾸어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먼저 독서 기록 카드를 활용하여 도서의 기본적인 정보와 개인의 소감을 간단히 메모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으며 이후 이것을 토대로 한 감상문을 서론, 본론, 결론으로 삼분할 한 뒤 각각에 필요한 유형과 구성을 확인하였다. Ⅳ장은 이렇게 살펴본 독서 감상문의 특징을 전제로 결혼이민자 대상에서의 한국어 교재 중 6권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각 교재는 크게 쓰기 활동과 문화 활동으로 나누어 그 유형을 살펴보았다. 쓰기 본 단계에서는 대체로 결혼이민자가 한국에서의 생활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도록 실질적인 주제를 다루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주로 실생활에서 필요한 여러 쓰기 관련 요소를 교육할 수 있게끔 구성되어 있었다. 쓰기 활동 이전에서의 준비 단계인 쓰기 전 단계는 대체로 ‘메모하기’나 ‘표에 메모하기’ 등의 활동이 주를 이루었으며 그 유형이 다양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교재에 문화와 관련된 유형도 함께 살펴볼 수 있었는데 대부분 한국에서의 실생활에 필요한 한국의 문화와 관련된 유형이었으며 종종 한국의 문화와 자국 문화를 비교 또는 소개하는 활동으로 마무리되곤 하였다. 분석 대상의 교재 중 한 권의 교재에서는 문화와 관련된 단원을 따로 구성하여 수업을 달리하였는데 문학과 관련된 유형은 극히 적었다. Ⅴ장에서는 앞서 분석한 여섯 권의 교재를 배경으로 하여 교재 내에 문학 교육을 구성한 수업 방안을 마련하여 학습자와 교수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나의 활동으로 제안하였다. 문학 작품을 읽은 뒤 독서 감상문을 여러 갈래의 특징 중에서도 독자 중심의 서사로 보았다는 점과 도서 읽기는 쓰기를 위한 과정임을 염두에 두어 교육하는 방향을 전제로 하였다는 점을 전제로 하였다. 쓰기 본 단계에서의 활동 이전에 쓰기 전 단계를 두어 독서 기록 카드와 개요표를 제시하였다. 문화와 관련된 활동으로는 독서를 통해 새롭게 알게 된 문화와 고향의 문화와의 공통점 또는 차이점을 찾아보는 활동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학습자에게 한국의 문화를 배우고 독서 감상문에 적용한 쓰기 활동할 수 있도록 그 방향성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제안한 쓰기 전 단계 및 쓰기 본 단계의 활동을 참고하여 실제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교수·학습 모형을 만들어 그 예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의 활동은 읽기 전 단계 또는 읽기 본 단계를 다루지 않으므로 읽기 후 단계를 시작으로 쓰기 활동으로 바로 접목되며 이는 발단, 초고 작성, 수정, 완성 단계를 거친다. 구체적인 교수·학습 모형은 쓰기 중심의 교수 방안과 문화 중심의 교수 방안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는데 이는 학습 목표에 따라 선택 또는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ducate Korean language for marriage immigrants who will settle and live in Korea. Among the various fiel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urpose is to improve writing skills. And it aims to learn Korean culture. This is because marriage immigrants can learn Korean culture and fuse with their own culture to fulfill their role as Koreans. For this purpose, the learner can read a book containing Korean culture and have time to learn about the newly learned culture and write their thoughts by using the reading review. This study transforms the activity so that these reading reviews can be used for marriage immigrants. Instead of educating them to write a reading review centered on the literary work itself, let them play their role as language educ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in the textbooks of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to establish itself as an activity and to help students study by selecting according to their learning goa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