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1 Download: 0

청소년의 아동기외상 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결함/수치심 도식과 사회적지지의 이중매개효과

Title
청소년의 아동기외상 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결함/수치심 도식과 사회적지지의 이중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Dual Mediation Effects of Defectiveness/Shame Schema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Experi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Adolescents.
Authors
이해원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남지은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아동기외상경험, 대인관계문제, 결함/수치심 도식, 사회적지지의 관계를 살피고, 청소년의 아동기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결함/수치심 도식과 사회적지지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학생 남녀 452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PROCESS macro 3.3을 이용하여 각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청소년의 아동기외상경험, 대인관계문제, 결함/수치심 도식, 사회적지지 간 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청소년의 아동기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 결함/수치심 도식은 서로 정적상관을 보였고, 사회적지지는 다른 모든 주요 변인들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청소년의 아동기외상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결함/수치심 도식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아동기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아동기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결함/수치심 도식과 사회적지지가 순차적으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종합적으로 청소년의 아동기외상경험이 직접적으로 대인관계문제를 예측하며, 청소년의 아동기외상경험이 결함/수치심 도식을 통하여 대인관계문제로 이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아동기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결함/수치심 도식과 사회적지지가 순차적으로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즉, 아동기외상경험수준이 높은 청소년은 결함/수치심 도식이 많으며, 결함/수치심 도식이 많으면 사회적지지 지각 수준이 낮아지고, 사회적지지 지각 수준이 낮아지면 대인관계문제가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아동기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 개인 내적 요인과 개인 외적요인의 작용을 알아봄으로써 아동기외상경험을 한 청소년들이 겪는 대인관계문제에 대한 치료적 개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나아가 청소년은 교사, 또래와 같은 사회적 관계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그로 인해 정체성 형성에도 영향을 받는 시기이다. 따라서 적극적인 사회적지지를 통한 적절한 개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사회적지지를 이용한 개입에서 사회적 지지를 올바르게 지각할 수 있도록 인지적 왜곡을 다루거나, 지지적인 관계를 만드는 기술을 다루는 접근 등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는 아동기외상경험에 노출된 청소년들이 갖는 대인관계문제에 효과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아동기외상경험이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결함/수치심 도식과 사회적지지의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대인관계문제를 겪는 아동기외상경험 청소년들을 이해하고 예방 및 치료적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Childhood trauma experience, interpersonal problems, defectiveness/shame schema, and social support, and to verify the dual mediation effects of defectiveness/shame schema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Childhood trauma experi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To this end, a self-report survey of 452 middle school students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is study uses SPSS PROCESS macro 3.3 to confir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from the correlation among the major variables confirm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s’ Childhood trauma experience, interpersonal problems, defectiveness/shame schema, and social support. Adolescents' Childhood trauma experiences, interpersonal problems, and defectiveness/shame schema were positively correlated in each path, and social support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all other major variable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defectiveness/shame schema was shown in the effect of Childhood trauma experiences of adolescents on interpersonal problems.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Childhood trauma and interpersonal problems. Fourth, defectiveness/shame schema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experience of adolesc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showed a mediating effect sequentially. Overall, the Childhood trauma experience of adolescents directly predicts interpersonal problems,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Childhood trauma experience of adolescents leads to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defectiveness/shame schema. It was also confirmed that defectiveness/shame schema and social support were mediated sequenti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Childhood trauma experi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other words, adolescents with high levels of Childhood trauma experience have many defectiveness/shame schema, and many defectiveness/shame schema lower the level of social support perception, and lower social support perception increases interpersonal problems. This study expects that this result can be used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in interpersonal problems of adolescents by examining the actions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interpersonal problems. Furthermore, adolescents are heavily influenced by social relationships such as teachers and peers, which also affect their identity formatio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proper intervention is needed through active social support. In particular, we suggest the need for approaches such as dealing with cognitive distortions or techniques to create supportive relationships so that social support can be correctly perceived in interventions using social support. This is important for teenagers who are exposed to Childhood trauma due to school violence and domestic violence to effectively help them with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understand and prevent and preventive measures for teenagers suffering from interpersonal problems as the Childhood trauma experience of adolescents is confirmed to have dual mediation effects of defectiveness/shame schema and social support in interpersonal proble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