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3 Download: 0

자녀를 둔 직장여성의 일-가정 갈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와 그릿의 매개된 조절효과

Title
자녀를 둔 직장여성의 일-가정 갈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와 그릿의 매개된 조절효과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of Working Mothers : Testing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Grit
Authors
김명순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남지은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를 둔 직장여성의 일-가정 갈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와 그릿(Grit)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자녀를 둔 직장여성이 일과 가정에서의 다중역할로 인한 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삶의 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변인들을 확인하고, 개인심리적 요인과 사회심리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확인하여 자녀를 둔 직장여성의 삶의 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담 개입과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의 자녀를 둔 직장여성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288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SPSS PROCESS Macro(v.3.5)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변인들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자녀를 둔 직장여성의 일-가정 갈등, 그릿, 사회적지지,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후 자녀를 둔 직장여성의 일-가정 갈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그릿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자녀를 둔 직장여성의 일-가정 갈등이 사회적지지를 매개하여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에 의해 조절되는지 매개된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녀를 둔 직장여성의 일-가정 갈등은 그릿, 사회적지지, 삶의 만족과 모두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반면 그릿은 사회적지지, 삶의 만족과 정적 상관을, 사회적지지는 삶의 만족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일-가정 갈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가족, 상사 등)는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즉, 일-가정 갈등이 높을수록 지각된 사회적지지가 낮아지고, 이를 통해 삶의 만족도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일-가정 갈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일-가정 갈등과 그릿의 상호작용항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자녀를 둔 직장여성의 일-가정 갈등 수준이 높아질수록 삶의 만족이 낮아지는데, 그릿이 평균이거나 낮을수록 일-가정 갈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더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반면 그릿이 평균보다 높은 경우에는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나타났다. 넷째, 일-가정 갈등이 사회적지지를 매개하여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녀를 둔 직장여성이 일-가정 갈등을 높게 지각하는 경우는 배우자 등 가족의 사회적지지가 낮고 삶의 만족이 낮아지는 데, 그릿이 높을수록 일-가정 갈등이 가족의 사회적지지를 매개하여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동료 등의 사회적지지의 경우는 일-가정 갈등과 그릿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자녀를 둔 직장여성의 일-가정 갈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함과 동시에 자녀를 둔 직장여성의 개인 심리적 특성인 그릿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확인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일-가정 갈등 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과 사회적지지를 통합하여 검증함으로써 개인의 내·외적 보호요인을 통합하여 확인하였다. 높은 일-가정 갈등을 경험하는 자녀를 둔 직장여성의 경우에 그릿을 높여 삶의 만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는 개입전략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직장내 가족친화적인 분위기가 조성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일-가정 갈등과 그릿의 상호작용이 상사 등의 사회적지지를 매개로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예상되어 직장 내에서 일-가정 갈등 완화를 위한 상담서비스와 직장교육프로그램의 보급에 더욱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임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Grit through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satisfaction of life. A total of 288 working mothers, who are employees and raise at least one child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on work-family conflict, grit, social support and satisfaction of life. SPSS 26.0 and SPSS PROCESS Macro(v.3.5)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First, work-family conflict was negatively related to grit, social support and satisfaction of life, but Gr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and satisfaction of life. and social suppor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tisfaction of life.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satisfaction of life was Partially mediated by social support such as family and colleagues, etc.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work-family conflict, the lower the social support, and through this, the lower the satisfaction of life. Third, there was the moder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life satisfaction. The higher the level of work-family conflict between working mothers, the lower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the lower the grit, the stronger the negative impact of work-family conflict on lif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t is not significant if the grit is high. Fourth,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social support such as family, and life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t was not significant in social support such as colleagues, etc. When working mothers perceive work-family conflict as high, social support of their families, such as spouses, is low and life satisfaction is lowered, and the higher they perceive Grit, the more influence they have on life satisfaction as a medium of family social support. On the other hand, when social support is an external resource such as colleagues, the indirect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and grit was not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a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process of work-family conflicts experienced by working mothe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and looked at the grit, a perso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f working mothers. Individual internal and external protection factors were integrated and verified by grit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life satisfaction. It suggests that in the case of working mothers experiencing high work-family conflicts, interventions seeking ways to increase the grit and increase the social support of their families may be more effective.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increasing life satisfaction even in multi-role conflicts by efficiently utilizing external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bosses, and friends can be a countermeas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