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5 Download: 0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호스피스 미술치료 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Title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호스피스 미술치료 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Other Titles
A Study Focusing on Hermeneutic Phenomenology for Analysis of Experiences with Hospice Art Therapy of Master’s Degree Students Specializing in Art Therapy
Authors
이애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은 전문적인 미술치료사로 성장하기 위해서 현장실습 경험을 하게 된다. 호스피스 현장에서의 미술치료 실습은 호스피스라는 특수한 상황 자체만으로도 실습생을 긴장하게 한다. 특히 호스피스 현장에서 만나는 내담자들은 지속적인 치료와 임박한 죽음으로 인한 불안한 심리적 정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석사과정생들에게 호스피스 미술치료 현장실습은 쉽지 않은 과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석사과정생의 호스피스 미술치료 현장실습 경험과 그 경험의 본질을 탐구하여 호스피스 미술치료 실습생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 미술치료 현장에서 석사과정생이 겪게 되는 체험에 대해서 알아보고, 깊이 있는 이해를 통해 그들이 겪는 경험이 가진 본질을 탐구하는 데 있다. 나아가 호스피스 미술치료에서 미술치료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호스피스의 특수적이고 어려운 상황이 가지는 현상의 본질을 이해하며, 치료사로서의 전문성 발달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호스피스 현장에서 미술치료를 경험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경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체험의 본질에 집중, 경험한 그대로의 탐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로 구성된 총 11단계의 연구 절차 순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1차 언어적 인터뷰와 2차 미술작업 인터뷰를 병행하여 인터뷰 자료와 미술작업 인터뷰 이미지, 개인작업, 치료일기 등에서 수집되었다. 참여자는 미술치료 석사과정 전공 재학생 4명, 수료생 1명, 졸업생 1명으로 총 6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부터 2021년 5월의 기간 동안 이루어졌고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수집하였다. 이러한 과정으로 수집된 자료는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단계를 통해서 7개의 본질적 주제와 22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호스피스에서 낯설고 무거운 감정에 압도됨>, <호스피스에서 미술치료 실습생이 불청객같이 느껴짐> <호스피스 현장에 적응하게 되면서 깊이 있는 성찰이 이루어짐>, <미술치료는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삶을 정리할 수 있도록 돕는 힘이 있음>, <호스피스에서 겪는 소진을 다뤄가고 해소하기 위해 노력함>, <실존에 대한 고민은 호스피스 미술치료 실습의 무거운 중심축>, <죽음이 삶에게 들려주는 ‘지금 이 순간’의 소중한 깨달음> 이와 같은 자료분석 결과를 토대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호스피스 미술치료 현장실습에 경험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호스피스 미술치료 현장에서 실습생은 호스피스의 특수성과 개인이 가진 내면의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게 되지만 이에 대해 자기분석, 배움, 동료슈퍼비전을 통해서 성장을 경험하게 된다. 둘째, 호스피스 미술치료 현장경험에 대한 개인 반응작업을 실시하거나 미술작업 인터뷰를 통해 반응작업을 실시했을 때, 그 경험은 무의식의 깊숙한 어려움 또는 생각과 접촉할 수 있게 하였으며, 호스피스 현장의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분위기와 죽음에 대한 이슈를 정리할 수 있는 도구로서 활용되었다. 셋째, 호스피스 미술치료 현장에서 실습생은 실존적인 죽음의 문제를 마주하며 ‘지금 이 순간’의 중요성에 대해 고찰하게 되었으며 삶의 방향전환을 시도하게 됐다. 이와 같이 본 연구가 미술치료에 기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호스피스 현장을 경험하게 되거나 경험하고 있는 석사과정생의 호스피스 미술치료 현장실습에 대한 이해를 돕거나 이론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호스피스 현장을 경험하는 석사과정생이 죽음이라는 이슈 앞에서 어려움을 겪을 때 도움이 되는 경험 자료가 될 수 있으며, 호스피스 현장에서 미술치료를 경험하는 석사과정생의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는 후속 연구를 위해서 호스피스 미술치료 현장 실습생의 다양한 환경적인 부분을 구분하여 분석하는 연구, 기간의 차이에 따른 경험을 구분한 연구를 제언한다.;Students in a master’s degree course in the area of art therapy will go through onsite practice to become a professional. As for the practice on a hospice site,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hospice itself make the trainees tensed. Especially, the clients on the hospice sites have unstable emotions due to ceaseless treatment and imminent death. Therefore, art therapy for a hospice is not an easy course for master’s studen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basic material for the practice of hospice art therapy for the trainees by exploring the therapy experiences and the essence of such experienc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master’s students on their hospice art therapy sites and look into the essence of such experiences through in-depth understanding. Furthermore, it is to help understand the roles of art therapy in any hospice art therapy as well as the essence of the special and difficult circumstances surrounding hospice works, which will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as therapists. The research question is: “What are the experiences and the essence of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ho have worked on the hospice sites via art therapy?” This study consists of 11 research stages which include concentration on the essence of experiences based on hermeneutic phenomenology of Max van Manen, exploration of the experiences, reflection through hermeneutic phenomenology and writing through hermeneutic phenomenology. As for the data collection, the first was linguistic interviews, followed by the second art therapy interview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uch interviews, artwork interview images, individual operations and therapy journals. The subjects include 6 people consisting of four master’s course students, one trainee and one graduate. It took place between March and May 2021 and data were collected until they were saturated.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se processes were divided into seven essential subjects and 22 sub themes through the stages of reflection based on hermeneutic phenomenology. , , , , , . Based on such data analysis, the conclusions of experiences of the master’s students who experienced art therapy in a hospice environ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trainees on the very site will go through difficulties coming from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hospice works and internal problems of individuals, which, however, result in experiences of growing up through self-analysis, learning and colleague supervision. Second, the trainees will face the existent death, contemplate the importance of ‘the very moment’ and can divert the ways of life. Third, when individual response tasks were conducted for onsite hospice art therapy or through art therapy interviews, the experiences enabled the students to be in contact with difficulties or thoughts deep inside the unconscious areas. This was used as a tool to arrange the issues of the unspeakable atmosphere and death. The positive effects of this study on art therapy are as follows: It helps understand hospice onsite practice of master’s students who will or are going through hospice circumstances. It can provide theoretical information. It can also work as an experience-based material helping students face issues related to death. It also presents a possibility to work as a basic data for master’s students experiencing art therapy on the hospice sites. Finally, the author recommends future studies that divide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faced by trainees and others dividing experiences as part of longitudinal stud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