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76 Download: 0

장애아동의 형제자매를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석사과정생 체험연구

Title
장애아동의 형제자매를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석사과정생 체험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f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for disabled siblings
Authors
이경화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는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이 장애를 진단받은 형제자매가 있는 비 장애아동과의 현장실습 경험과 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토대로 장애를 진단받은 형제자매가 있는 비 장애아동과 현장실습을 준비하는 석사과정생들과 미술치료를 실시하는 기관 및 관계자에게 생생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석사학위 과정에 있는 미술치료 전공생에게 장애를 진단받은 형제자매가 있는 비장애 아동과의 현장실습 경험은 어떠하며, 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갖고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근거한 체험 본질에의 집중, 실존적 체험탐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로 구성 된 연구절차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해 장애를 가진 형제자매가 있는 비장애 아동과 미술치료 실습 경험을 한 석사과정생 6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2021년 3월부터 5월까지 2회에 걸쳐 언어적 심층면담과 미술작업을 통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수집하였다. 이후 수집된 자료들은 van Manen(1990/1994)의 분석과정을 거쳐 본질적 주제 7개와 하위 주제 20개를 도출하였다. 7개의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비 장애아동의 진짜 마음이 궁금함>, <장애아동 가족체계 안에서 아동을 이해함>, <비 장애아동의 내면과 만나기 위해 노력함>, <미술은 아동이 진심을 표출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도구가 됨>, <장애 형제의 돌봄으로 바쁜 부모님은 난관을 넘어 든든한 조력자가 됨>, <비장애 형제가 마주할 어려운 상황에 미술치료가 힘이 되고자 애를 씀>, <비 장애아동과의 미술치료 실습 경험을 통해 한 걸음 더 나아감> 위와 같이 도출된 주제를 바탕으로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의 비장애 아동과의 현장실습 체험에 대한 본질과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은 피동적 성숙함을 보이며 적절한 자기표현에 어려움을 겪는 비장애 아동과의 미술치료에서 이들이 보이는 겉모습 이면에 관심이 필요하다는 강렬한 메시지가 있음을 깨달았다. 둘째, 미술치료 석사과정생들은 비장애 아동을 특수한 가족체계 안에서 깊이 있게 이해하고 돕고자 하였으나 아동의 내면을 탐색하는 것에는 여전히 어려움을 겪었다. 셋째,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은 내면을 표현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비장애 아동과의 소통에 미술이 훌륭한 도구가 됨을 재인식하였다. 넷째,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은 비장애 아동과의 미술치료에서 장애아동의 과중한 육아로 지친 부모님을 수용하며 또 다른 난관으로 인식하였으나 부모님은 아동을 위한 가장 소중한 조력자임을 통찰하였다. 다섯 번째,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은 미술치료를 통해 비 장애아동들의 내적 자원을 강화 시켜 주고자 노력하였으며, 비 장애아동과의 실습은 석사과정생에게 아동과 장애 형제 및 가족체계 전체를 이해하는 확장된 시각을 갖게 해주었다. 나아가 쉽게 마음을 열지 않던 아동과 미술로 소통할 수 있었던 경험은 실습생에게 미술치료의 의미를 깨닫게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의 결론이 미술치료 전공 연구와 현장실습에 기여 하는 바로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이 비 장애아동을 위한 현장실습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생생하게 전달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대한 본질과 의미에 접근하고 언어로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 실습현장에서 비 장애아동을 접하게 되는 석사과정생들에게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비 장애아동 미술치료와 이와 관련된 현장실습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실습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겠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vividly depict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and explore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ir experienc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non-disabled children for graduate students who prepare for field practices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people involved in art therapy institutions for non-disabled children in order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and preparation for field practices. The study was designed to answer the questions; what’s like having field practice experience with non-disabled children who have disabled siblings to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ory. The study utilized the Max van Manen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consisting of stages, including concentration on the nature of experience, interpretive phenomenological reflection, and phenomenological writing. From March to May in 2021, this study was conducted two times on 6 graduate students who’d done field experiences of art therapy with non-disabled children who have disabled siblings,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linguistic in-depth interviews as well as in-depth interviews through art activities. As the result of the study, seven main themes and twenty sub-themes were formulated, an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Max Van Manen’s analysis process. The seven main themes are as follows: , , , , and . Based on the above main themes,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ir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are as follows: First,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have come to realize that non-disabled children who face difficulties in expressing themselves show their passive maturity, but they really need attention beyond their physical appearance. Seco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have tried to have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non-disabled children within the specific family structure, but still experienced difficulties in exploring the innerness of the children. Thir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have rediscovered artwork as a tool for communicating with non-disabled children who are not familiar with expressing themselves. Fourth,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have reflected that through art therapy, non-disabled children could embrace their parents who are tired of the huge parenting burden and regard them as another barrier at the same time, but parents regard them as the precious supporter. Fifth,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have tried to enhance the inner resources of non-disabled children through art therapy, and they have presented an extensive perspective of non-disabled and disabled children as well as family structure through field practice experiences. In addition, graduate students have come to realize the meaning of art therapy through the experiences of communicating with children who don’t easily open their mind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found to have vividly depicted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explore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ir experiences, and identified them in language. The study provides practical information to graduate students who are expected to meet non-disabled children during field practices. This study is considered significant in that it contributes to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field practice experience as well as art therapy designed for non-disabled children and providing basic data to reduce trial and error that often occur in the process of field practi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