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2 Download: 0

COVID-19 이후 중등 음악교사의 블렌디드 러닝 수업 실행에 관한 사례연구

Title
COVID-19 이후 중등 음악교사의 블렌디드 러닝 수업 실행에 관한 사례연구
Other Titles
Case studies on implementing a blended learning by a secondary music teacher after COVID-19
Authors
이정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주연
Abstract
COVID-19의 등장으로 언택트 시대가 도래하였다. 교육분야의 언택트 시대 양상은 ‘온라인 개학’의 형태로 나타났다. 이후 원격수업이 도입되었으며, COVID-19 상황에 따라 온라인 수업과 오프라인 수업을 혼합하여 실시하는 블렌디드 러닝의 형태가 나타났다. 최근 블렌디드 러닝 음악수업과 관련된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교육 현장 교사의 경험에 주목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이후 중등 음악교사의 블렌디드 러닝 음악수업 실행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첫째, 중등 음악교사들의 블렌디드 러닝 수업 실행은 어떠한가?, 둘째, 중등 음악교사들이 블렌디드 러닝 수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이로움은 무엇인가?, 셋째, 중등 음악교사들이 인식하는 음악교육에서의 효과적인 블렌디드 러닝 수업 운영을 위한 방향성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해 중학교 음악교사 5명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질적 사례연구의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5명의 음악교사들의 개별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교사들이 실행한 수업 내용이나 수업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크레스웰(Creswell)의 나선형 자료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5명의 연구 참여 교사들이 COVID-19 상황에서 블렌디드 러닝 음악수업을 실행한 경험은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 초기 음악수업은 온·오프라인 병행 수업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이는 블렌디드 러닝의 장점을 충분히 살릴 수 없는 COVID-19의 상황에서 진행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연구 참여 교사들의 수업 사례를 통해 살펴본 COVID-19 초기 음악수업의 특징은 주로 음악이론 수업이 진행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이 시기의 교사들은 온·오프라인 병행 수업에서의 온라인 수업 제작을 위해 ICT 활용 능력을 습득하고자 노력하였다. 둘째, 블렌디드 러닝 수업의 실행 과정에서 교사들이 겪은 어려움은 총 4가지로 온·오프라인 수업 연계의 어려움, 음악적 모델링의 부재, 인격적 만남의 어려움, 학습 격차이다. 온·오프라인 수업 연계의 어려움은 COVID-19의 유동적인 상황으로 인해 연구 참여 교사들이 블렌디드 러닝 수업을 설계할 때, 온라인 수업과 오프라인 수업의 배치를 주도적으로 진행할 수 없었다는 것과 온라인 수업을 충분히 숙지하지 않고 오프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음악적 모델링의 부재는 블렌디드 러닝 음악수업에서의 실기 활동에 대한 피드백을 온라인에서 진행할 때 주로 나타났으며, 이는 블렌디드 러닝 수업의 학습 결과에 영향을 끼쳤다. 인격적 만남의 어려움은 상호작용의 어려움으로 인해 나타났다. 특히 콘텐츠 활용 중심 온라인 수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오프라인 수업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는 상황으로 인해 발생하였다. 학습 격차는 온라인 학습의 자기주도적 특성에 의해 자기주도적 학습자와 수동적인 학습자 간의 격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COVID-19 이전의 오프라인 수업보다 확대되어 나타났다. 셋째, 블렌디드 러닝 수업의 실행 과정에서 교사들이 경험한 이로움은 총 2가지로 예술계 학교에서 나타난 긍정적 측면과 ICT 활용 능력 함양이다. 예술계 학교에서 나타난 긍정적 측면은 학습자 측면에서 나타난 이로움으로, 음악수업을 진행할 때 음악 전공 학생들이 타 전공 학생들의 학습을 도움으로써 발생하는 협력적 상호작용이다. ICT 활용 능력 함양은 교사 측면에서 나타난 이로움으로, 교사들이 블렌디드 러닝에서의 온라인 수업을 실행하기 위하여 ICT 활용 능력을 함양하게 된 것이다. 넷째, 블렌디드 러닝 음악수업에서의 평가는 블렌디드 러닝 수업의 평가 방법과 소극적 학습자를 존중할 수 있는 평가로 분류되었다. 블렌디드 러닝 수업에서의 평가 방법은 온라인 평가와 오프라인 평가가 모두 활용되었다. 교사들은 온라인 평가의 장점을 인지하기도 하였지만, 오프라인 평가가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인식하였다. 한편 블렌디드 러닝 음악수업에서는 온라인 평가와 오프라인 평가를 모두 활용하는 과정에서, 소극적인 학습자를 존중할 수 있는 평가를 진행하기도 하였다. 다섯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2020학년도 2학기에 1학기보다 개선된 블렌디드 러닝 음악수업을 실행하게 되었으며, 이는 교사학습공동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었다. 개선된 블렌디드 러닝 수업 실행의 과정에서 특히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이 강조되었다. 한편 교사들은 이 과정에서 자신의 성장을 경험하였으며, 이는 외적인 성장과 내적인 성장으로 나타났다. 외적인 성장은 교사 전문성의 성장이며, 내적인 성장은 교사 생애 전반에 걸친 학습의 필요성 인지이다. 여섯째, 블렌디드 러닝 음악수업의 방향성을 위한 교사들의 제언이다. 이는 교사 측면과 행정적 측면으로 제시되었다. 교사 측면은 음악교과에 적합한 블렌디드 러닝 수업 설계, 온라인 수업과 오프라인 수업의 연계성 고려, 블렌디드 러닝에서의 효과적인 평가 방법, 교사 간 아이디어 공유, 교사 전문성 개발이다. 행정적 측면은 고정적 학사 일정, 교사의 행정 업무 간소화, 저작권 문제 해결이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추후 음악교과에서의 블렌디드 러닝의 방향성을 살펴보았다. 첫째, 블렌디드 러닝 음악수업의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줄 때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적절하게 제시할 수 있는 음악적 모델링의 방법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 둘째, 온·오프라인 수업에서의 학생 간 수업 격차를 최소화하려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을 강화하려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넷째, 평생학습자 관점의 교사교육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음악교사의 블렌디드 러닝 수업 경험을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음악교육에서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연구가 초기 단계이므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블렌디드 러닝 음악수업과 관련된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 실제적인 활용 모델, 테크놀로지 활용 방안 등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음악교사 개개인의 경험을 살펴보았지만, 후속 연구에서는 교사학습공동체의 사례를 살펴본다면 의미가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나타난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의 역량의 중요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 강조된 교사 생애 전반에 걸친 전문성 개발의 중요성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의미가 있을 것이다. 현재 블렌디드 러닝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본 연구에서 조사한 중등 음악교사의 블렌디드 러닝 수업 실행 연구가 실제 교육 현장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앞으로 블렌디드 러닝 음악교육이 나아가는 방향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A new era called ‘untact’ has arrived since the advent of COVID-19. A phenomenon emerging form the untact era in education is ‘fully online learning’. Since then, distance learning has been introduced, and a form of blended learning which mixes distance learning and class learning, has emerged. Although research related to blended learning for music class has recently increase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is focused on classroom teachers’ experience. According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depth the experiences of running blended learning music teachings of secondary music teachers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To perform the analysis, this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How do secondary music teachers run blended learning classes? (2) What kinds of difficulties and benefits do secondary music teachers experience in running blended learning classes? (3) What directions do they perceive as desirable to effectively run blended learning class? To answer to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man-to-man interviews to 5 secondary music teachers. The data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 spiral analysis of Creswell. The experiences of five music teachers who had applied blended learning classes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and who were interviewed were as follows. First, during the initial stage of the COVID-19 pandemic, music teachers adopted the mixture of online and off-line classes. And, it was because of the COVID-19 situation where the merits of blended learning could not be fully realized.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classes in the early COVID-19 period was that the teachings were run focusing on music theories. In this period, music teachers tried to learn ICT techniques needed for on-line classes. Second, the difficulties music teachers experienced while running blended learning classes were four kinds: difficulty to connect on-line and off-line classes, absence of musical modeling for such classes, the difficulty of encounters, and learning gap. Difficulty to connect on-line and off-line classes was from the facts that, when music teachers designed on-line and off-line classes, they could not lead in allocating the two kinds of classes, and that students had to participate in off-line classes without fully understanding what they were taught in on-line classes. Absence of musical modeling was mainly problematic when feedback of practical skill activities in blended learning music classes was given on-line, and it affected the results of blended learning music classes. Difficulty to have personal encounters with students occurred by difficulty to have interaction with students. Especially, it occurred in on-line classes focusing on contents use, and it also took place in off-line classes because of the situation where both teachers and students had to wear masks. Learning gap mainly appeared by the self-directed characteristics of on-line classes. The gap usually occurs between self-directed learners and passive learners. Such a gap became more conspicuous in blended learning music classes than in off-line classes before the COVID-19 emerged. Third, the benefits music teachers experienced in running blended learning music classes were two kinds: positive aspects arts secondary school experiences and improvement of the capacity using ICT among music teachers. Positive aspect arts secondary school experienced was the benefits learners could get. It was collaborative interaction which occurred when students majoring in music could help other students who did not major in music. Improvement of the capacity using ICT appeared to music teachers. To lead on-line classes in blended learning, they improved the capacity using ICT techniques. Forth, there were problems in evaluating students in blended learning music classes. The method of evaluating students is classified into two kinds: the method of evaluating students in blended learning and the method of evaluating passive students. Evaluation of students in blended learning included both on-line and off-line evaluations. While music teachers perceived merits of on-line evaluation, they viewed that off-line evaluation was more effective. Meanwhile, in the process of applying both on-line evaluation and off evaluating -line evaluation, teachers tried to respect passive learners. Fifth, those music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interviews of this study acknowledged that,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they could run more improved version of blended learning classes than in the first semester. In particular, they could realize it by using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blended learning, the capacity to curriculum reconstruction was emphasized. In the process, teachers experienced self-growth in internal and external aspects. External grow is growth in teacher professionalism, and internal growth is awareness of the necessity to learn throughout one’s life. Sixth, those music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interviews of this study suggested their ideas on future directions in blended learning music classes. Their suggestions are related to teachers and to administration. The suggestions to teachers are as follows: the necessity to design blended learning classes suitable to music subject; consideration of linkage between on-line and off-line classes; development of effective evaluation in blended learning; sharing of ideas among music teachers; development of teacher professionalism. Their suggestions regarding administration are as follows: fixed schooling schedule, simplification of administrative workloads of teachers, and solution of copyright problem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and discussions, this study wants to suggest the followings as the future directions of blended learning in music subject. First, if teacher wants to give feedback to students in running blended learning music classes, he or she should think deeply on the musical modeling by which teacher can properly give in on-line and off-line situations. Second, teacher and policy makers on music education should prepare a way to minimize learning gaps among students in on-line and off-line classes. Third, teacher and policy makers on music education should prepare a way to improve teacher’s competency to curriculum reconstruction. Forth, teacher education should be activated in terms of life-long learn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discussed in depth the experiences of running blended learning classes among music teachers.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s, this study wants to offer the followings for future researches. First, as researches on blended learning in music is in the initial stage,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es on blended learning-related specific leaching and learning methods, practical models, and ways to use technologies. Second, while this study examined individual experiences of music teachers, it would be meaningful if the case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are examined in future researches. Third, as this study revealed the importance of the competency of teachers to curriculum reconstruction, it is desirable for future researches to deal with it in various ways. Forth, as this study showe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specialty over the whole life of teacher, there should be further researches on it. As the importance of blended learning is expanding now,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on blended learning implemented by the five secondary music teachers can offer an opportunity understand today’s changed music education, and thus, it is hoped that the study is helpful for realizing authentic blended learning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