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7 Download: 0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국악의 생활화 영역 교수-학습 방법

Title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국악의 생활화 영역 교수-학습 방법
Other Titles
Teaching-Learning Methods in the Area of Gugak Habituation by Using Blended Learning
Authors
손수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지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하여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국악 생활화 영역의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고, 연구의 현장 적합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악과 산업’을 주제로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개발된 지도안을 교육전문가 3인에게 내용타당도를 받았고, 현장 적합성 검증을 위해 설문지를 제작하여 현장 교사 3인에게 지도안의 검증을 의뢰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지도안은 총 8차시를 걸쳐 진행되며, ‘10년 후 국악 산업 기획하기’라는 주제를 통해 단계별 학생 스스로 10년 후 국악 산업을 제작해보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블렌디드 러닝의 특징을 살려 효과적으로 온라인 수업과 오프라인 수업을 혼합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온라인 수업에서는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상호작용을 하며 자료 조사, 탐색, 토의의 방식을 진행하도록 구성하였다. 오프라인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직접 제작 활동을 진행하며 다양한 소품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활동을 계획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아이디어를 증폭시키거나 모둠원들의 의견을 빠르게 조합하는 능력이 필요하므로 오프라인 수업에 적합하다. 그리고 본 지도안에서는 차시별 수업이 독립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위계적으로 연계되도록 설계하였다. 둘째, 현직 교사 3인에게 현장 적합성 검증 결과, 본 국악 생활화 수업의 설계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알맞은 학습목표로 설정되어 있으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수업 구성과 적절한 매체 사용 등 효과적으로 수업이 잘 이루어진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온라인 수업에서 강의식 위주의 수업이 아닌 학생 주도적인 방식으로 구성한 점을 높이 평가한다는 의견을 받았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차시에서 주어진 시간에 비해 많은 활동을 가져 적절한 활동과 시간 배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는 지적을 받았으며, 중학교 수준에서 온라인 수업을 구현하는 테크놀로지와 플랫폼이 많아 학생들이 피로감을 느끼거나 벅차할 수 있다고 평가하였다. 따라서 학생들 수준에 테크놀로지를 범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과 효율적인 활동을 제시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국악 생활화의 다양한 수업을 개발하여 학습자들이 국악을 생활 속에서 즐길 수 있는 수업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자는 음악교육에서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국악 생활화 영역의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기를 희망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utilizing blended learning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ethod in the area of Gugak (Korean traditional music) habituation, targeting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and to verify the field suitability of the research. To this end, we developed a research on teaching-learning methods under the topic of ‘Gugak and Industry’. The guidance plan developed for this purpose received content validity from three education experts; to verify the field suitability, a questionnaire was produced, and three field teachers were commissioned to verify the guidance plan. Accordingly, the conclusions draw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uidance plan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ver a total of 8 lessons, which was composed of activities for the student themselves to create the Gugak industry after a decade in phases, under the topic of “Planning the Gugak Industry after a Decade”. For this purpose, it was conducted in a way to effectively mix online and offline classes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blended learning. First of all, in the online class, various technologies were utilized to allow students to conduct the methods of data research, exploration, and discussion while interacting with each other in a variety of ways. In the offline class, the activities were planned so that students could use various props while conducting their own production activities. This method is suitable for offline classes since it requires the ability to amplify ideas or quickly combine the opinions of group members. And, this guidance plan was designed to make the classes for each lesson hierarchically connected with each other, rather than independently performed.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field suitability for three incumbent teachers, this Gugak habituation class was designed to be set with a learning goal suitable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hich has been evaluated as the class was conducted effectively through online and offline class composition, appropriate use of media, etc. In addition, it received an opinion that it was highly appreciated in that the online class was organized in a student-led way, rather than as a lecture-oriented class. However, overall, it was pointed out that appropriate activities and time allocation would be necessary as more activities were performed compared to the given time in the lesson, and it was also evaluated that there are many technologies and platforms to implement online classes at the middle school level, so students may feel tired or overwhelmed. Therefore, the necessity of presenting measures and efficient activities, which universally utilize technology at the student level, was suggested. As such, in this study, by effectively utilizing the online and offline characteristics and then developing various classes for Gugak habituation, the classes were organized so that learners could enjoy Gugak in their daily life. This researcher hopes that various follow-up studies in the area of Gugak habituation using blended learning in music education will be actively conducted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