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2 Download: 0

일본인 학습자와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 ‘이/가’, ‘을/를’ 인식과 실시간 처리 연구

Title
일본인 학습자와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 ‘이/가’, ‘을/를’ 인식과 실시간 처리 연구
Other Titles
Perceptions and Online Processing of Korean Particles ‘i/ka’, ‘ul/lul’ by L1 Japanese and Chinese Learners
Authors
고기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한국어의 조사 체계는 교착어라는 한국어의 언어적 특성을 나타내는 요소 중의 하나이다. 조사는 전형적으로 체언에 결합하여 문장 내에서 서술어와의 문법적 관계를 표지하는 것이 주된 기능이지만 여러 가지 의미 기능을 가지고 체언 이외의 언어 단위에 결합하기도 한다. 가령, 보조적 연결어미, 부사 등에 후치하는 비전형적인 분포에서 실현되어 격 표지라는 기능을 벗어나 보조사와 같은 ‘강조’의 의미를 가지게 되는 예가 그러하다. 일본어는 언어유형학적으로 한국어와 유사한 교착어이며 조사 체계가 존재한다. 이와 달리 중국어는 한국어와 상이한 고립어이며 조사 체계가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인 학습자와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전형적 분포와 비전형적 분포에서 조사 ‘이/가’와 ‘을/를’의 습득에 있어서 한국어 학습자들의 모어가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는 조사 ‘이/가’, ‘을/를’의 전형적 분포와 비전형적 분포에서 조사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이었다. 두 번째 연구 문제는 조사 ‘이/가’, ‘을/를’의 전형적 분포와 비전형적 분포에서 한국어 학습자들이 보이는 조사의 실시간 처리(online processing)에 대한 것이었다. 두 연구 문제에서 일본인 학습자와 중국인 학습자의 모어 변인이 존재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처리에 있어서는 형태론적 유사성 가설(Morphological Congruency Hypothesis)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먼저 조사 ‘이/가’와 ‘을/를’의 분포와 기능에 대한 국어학적 논의를 정리하였다. 전형적 분포는 주어 맥락과 목적어 맥락으로 하위 구분하였고, 비전형적 분포는 ‘-고 싶다’, ‘-지 않다’, ‘-지 못하다’, ‘-게 + 조사’ 맥락으로 유형화하였다. 다음으로 일본어와 중국어에서의 조사 ‘이/가’와 ‘을/를’의 기능에 대응하는 양상을 살펴보고 제2언어 습득에서 모어와 목표어의 형태론적 유사성과 관련된 습득 이론과 가설들을 정리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 ‘이/가’와 ‘을/를’이 전형적 분포와 비전형적 분포에서 실현된 문장의 인식과 실시간 처리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용성 판단 과제와 자기 조절 읽기(self-paced reading) 과제를 제작하여 실시하였다.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 30명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30명, 한국어 모어 화자 30명을 표집하였다. 실험 결과는 선형혼합효과모형(linear mixed-effect model)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이/가’와 ‘을/를’의 전형적 분포에서 조사에 대한 인식은 일본인 학습자와 중국인 학습자 모두 한국어 모어 화자 수준에 도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조사의 실시간 처리는 ‘형태론적 유사성 가설’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모어 변인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본인 학습자 집단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유사한 양상으로 조사의 실현을 실시간 처리하였으나 중국인 학습자 집단은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다른 처리 양상을 보였다. 반면 비전형적 분포에서는 형태론적 유사성 가설에서 예측하는 바와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지 않다’ 맥락과 ‘-게 + 조사’ 맥락에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 모어 화자 수준에 근접한 인식이 있었고 실시간 처리도 유사함을 보였다. 그러나 일본인 학습자 집단은 조사에 대한 인식도 없었고 실시간 처리도 한국어 모어 화자와 다르게 나타났다. ‘-고 싶다’ 맥락과 ‘-지 못하다’ 맥락에서는 두 학습자 집단 모두 조사에 대한 인식과 실시간 처리에 있어서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 및 교육적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가 교육적으로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조사 체계가 없는 학습자의 경우 조사에 대한 인식이 있음에도 이를 실시간 처리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어 한국어 모어 화자에 근접하지 못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한국어와 언어유형학적으로 상이한 학습자들에게 지속적이고 순환적인 ‘나선형 교육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학습자 모어 특성에 맞춰 언어권별로 교수하는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또한 학습자의 모어와 목표어가 일대일로 대응하더라도 비전형적 분포에서 실현되는 조사에 대한 인식과 실시간 처리는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도 한국어 모어 화자 수준에 이르지 못하였다. 따라서 ‘-고 싶다’ 맥락에서 조사 교체와 같은 현상은 명시적인 교수가 필요하다. 그리고 조사가 어미 등에 후치하는 비전형적 분포에 대한 충분한 입력과 자연스러운 노출을 제공하면 학습자들의 습득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조사 습득 연구에서 전형적 분포뿐만 아니라 비전형적 분포에 주목하여 학습자들의 습득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둘째, 학습자들의 인식뿐만 아니라 실시간 처리를 고찰하여 연구 도구의 범위를 확대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의 모어에 주목하여 조사 습득에 있어서 교차언어적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조사의 전형적 분포에서는 L1과 L2가 형태론적으로 유사한 학습자들이 조사 ‘이/가’, ‘을/를’의 인식과 실시간 처리에 있어서 한국어 모어 화자 유사한 수준에 도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한국어와 구조적 특성을 공유하지 못하는 언어권 학습자들은 고급 숙달도에 도달하여서도 한국어 모어 화자에 근접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습득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밝혔다. ;This study investigated L1 Japanese learners and L1 Chinese learners’ perceptions and online processing of Korean particles ‘i/ka’ and ‘ul/lul’ appearing in typical and atypical distribution. In the typical distribution, Korean particles ‘i/ka’ and ‘ul/lul’ indicate grammatical functions such as case markers, which are combined with noun phrases such as a subject or an object. In contrast, when ‘i/ka’ and ‘ul/lul’ are realized in the atypical distribution, such as post-positioned endings or adverbs, they do not express the grammatical function but the semantic function ‘emphasis.’ Similar to Korean, Japanese is typologically classified as an ‘agglutinative language’ and thus has a rich particle system. However, unlike Korean, Chinese is typologically classed as ‘isolating language’ and does not possess a particle syst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learners’ L1 influences the acquisition of the Korean particles ‘i/ka’ and ‘ul/lul’ both in the typical and atypical distributions. Chapter Ⅰ identifi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and reviews previous studies to establish the research question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about the perception of particles ‘i/ka’ and ‘ul/lul’ in the typical and atypical distribution.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to investigate the online processing of particles ‘i/ka’ and ‘ul/lul’ in the typical and atypical distribution. The two research questions focus on testing the influence of Japanese and Chinese learners’ first language on the acquisition of particles ‘i/ka’ and ‘ul/lul’ in typical and atypical distribution. Further, the morphological congruency hypothesis predictions were tested for online processing. Chapter Ⅱ provides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distributions and functions of particles ‘i/ka’ and ‘ul/lul’. The typical distribution of particles ‘i/ka’ and ‘ul/lul’ was subcategorized into ‘subject’ and ‘object’ contextual types, whereas the atypical distribution of particles was subcategorized as ‘-ko siphta’, ‘-ci anhta’, ‘-ci moshata’ and ‘-key + i/ka, ul/lul’ types. Additionally, it examines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s to the functions of the particles ‘i/ka’ and ‘ul/lul’ in Japanese and Chinese. Furthermore, it summarizes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ories and hypotheses related to the morphological congruency between the first language and target language. Chapter Ⅲ describes the methods of the study in detail. In this study, the acceptability judgment task and self-paced reading task were developed and conducted to explore the perceptions and online processing for particles ‘i/ka’ and ‘ul/lul’ realized in typical and atypical distributions. Thirty Japanese-speaking learners and 30 Chinese-speaking learners at an advanced level and 30 native speakers of Korean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acceptability judgment task and self-paced reading task were analyzed using a linear mixed-effect model. Chapter Ⅳ analyz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typical distribution of particles ‘i/ka’ and ‘ul/lul’, both Japanese and Chinese learners reached a native-like level of perception of the grammatical functions. In the online processing of the particles, there was an L1 variable according to morphological congruency. The Japanese learners’ group exhibited native-like online processing ability; however, the Chinese learners’ group exhibited different online processing patterns from those of Korean native speakers. In contrast, in the atypical distribution of particles ‘i/ka’ and ‘ul/lul’, the results were different from those predicted by the morphological congruency hypothesi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depending on the contextual types. In the ‘-ci anhta’ and ‘-key + i/ka, ul/lul’ types, the Chinese learners’ group had perceptions of the particles’ semantic function and showed native-like sensitivity to the particles in online processing, whereas the Japanese learners’ group did not. In the ‘-ko siphta’ and ‘-ci moshata’ typ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th Korean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in the perception task and the online processing task. Chapter Ⅴ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describ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lthough Chinese learners had native-like perceptions of particles ‘i/ka’ and ‘ul/lul’, they had difficulty in online processing. Thus, the learners whose first language typologically differs from Korean need a Spiral Curriculum. Further,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second language should be taught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L1. Additionally, despite one-to-one correspondence in L1 and L2, L1 Japanese learners at an advanced level did not exhibit native-like online processing in the atypical distribution of particles ‘i/ka’ and ‘ul/lul’. Thus, particle alternation in the ‘-ko siphta’ contextual type should be taught explicitly in the Korean classroom. Further, the atypical distribution in which particles are combined with endings needs sufficient input and natural exposure to raise their learnability.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it focused on the typical and atypical distribution of particles ‘i/ka’ and ‘ul/lul’, and then defined the function of particles ‘i/ka’ and ‘ul/lul’ as grammatical and semantic. Thereafter, it shed light on the acquisition of L2 Korean learners. Second, it expanded the scope of the experimental tool by exploring the online processing as well as the perceptions of Korean particles ‘i/ka’ and ‘ul/lul’. Third, it explored the cross-linguistic characteristics in the acquisition of Korean particles by focusing on the learners’ first language. In the typical distribution of particles ‘i/ka’ and ‘ul/lul’, the results confirmed that L1 Japanese learners with morphological congruency in L1 and L2 revealed native-like perceptions and online processing patterns. In contrast, L1 Chinese learners who do not share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Korean language have difficulty in the perceptions and online processing of Korean particles ‘i/ka’ and ‘ul/lul’’ at the advanced lev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