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0 Download: 0

중국인 학습자와 일본인 학습자의 ‘이/가’와 ‘은/는’ 습득 연구

Title
중국인 학습자와 일본인 학습자의 ‘이/가’와 ‘은/는’ 습득 연구
Other Titles
L2 Korean Acquisition of i/ka and eun/neun in Single-and Double-Subject Constructions by L1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Authors
오아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인과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이/가’와 ‘은/는’ 습득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한국어의 주어는 주로 체언에 주격조사 ‘이/가’와 보조사 ‘은/는’이 결합하여 실현되는데 주어 형태의 적절성은 문장 내에 함께 나타나는 문장 성분과 담화 맥락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학습자들이 습득에 어려움을 느끼는 항목이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주어문과 이중주어문에서 ‘이/가’와 ‘은/는’의 인식과 생산이 모어 변인과 언어 맥락적 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I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한국어 교육에서 이루어진 ‘이/가’와 ‘은/는’의 습득과 이중주어문 습득에 대한 선행 연구를 오류분석과 중간언어 두 가지 측면에서 검토한 후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는 단일주어문에서 중국인과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와 모어 화자의 ‘이/가’와 ‘은/는’ 인식과 생산이 언어맥락적 조건(‘이/가’와 ‘은/는’ 실현 맥락)과 모어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를 확인하는 것이고 두 번째 연구 문제는 이중주어문에서 중국인과 일본인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NP1이/가’와 ‘NP1은/는’의 인식과 생산이 언어맥락적 조건(이중주어문의 유형)과 모어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를 포착하는 것이다. Ⅱ장에서는 ‘이/가’와 ‘은/는’의 습득 연구를 위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이/가’와 ‘은/는’을 정보구조적 측면에서 살펴본 후, 각각의 의미기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단일주어문에서 ‘이/가’와 ‘은/는’의 실현 맥락을 확인하고 이중주어문의 유형별로 ‘이/가’와 ‘은/는’의 실현 양상을 살펴본 후 이에 대응하는 일본어와 중국어 대당문을 한국어에 비추어 비교·대조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의 절차와 실험 참여자, 자료 분석 방법을 기술하고 예비 실험을 거쳐 확정된 도구를 밝힌 후 연구 문제별로 자료 분석 방법을 기술하였다. 학습자들의 ‘이/가’와 ‘은/는’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수용성 판단 과제의 일종인 리커트 척도법을 사용하였으며, 생산은 준생산과제 중 하나인 서답형 문항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인식 과제의 경우 각 조사의 실현 맥락에서 적절한 조사에만 변별적으로 3점 이상의 높은 수용성 점수를 준 경우에만 1점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변별 점수를 계산한 후, 이를 종속변수로 하여 이원분산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검정하였으며, 생산 과제에서는 정답 점수를 종속변수로 하여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Ⅳ장에서는 단일주어문과 이중주어문에서 중국인과 일본인 학습자들의 ‘이/가’와 ‘은/는’에 대한 인식과 생산이 모어 변인과 언어적 맥락에 따라 모어 화자와 차이를 보이는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일주어문에서 ‘이/가’와 ‘은/는’의 인식은 언어맥락적 조건(‘이/가’와 ‘은/는’ 실현 맥락)과 모어 변인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두 독립변인 간의 상호작용 또한 관찰되었다. 일본인 학습자는 상대적으로 모어 화자에 가까운 결과를 보였으나 중국인 학습자는 모든 맥락에서 모어 화자에 근접하지 못했다. 둘째, 단일주어문의 ‘이/가’와 ‘은/는’ 생산에서는 모어 변인에 따른 차이만이 관찰되었다. 일본인 학습자의 생산은 모어 화자 수준에 도달한 반면, 중국인 학습자의 경우 모어 화자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중주어문의 ‘NP1이/가’와 ‘NP1은/는’에 대한 인식은 언어맥락적 조건(이중주어문 유형)과 모어 변인, 그리고 두 독립변인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모두 관찰되었다. 일본인 학습자는 상대적으로 모어 화자에 가까운 결과를 보였으나 중국인 학습자는 대부분의 맥락에서 모어 화자에 근접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이중주어문의 ‘NP1이/가’와 ‘NP1은/는’ 생산은 모어 변인에 따른 차이와 이중주어문의 유형에 따른 차이, 그리고 두 변수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게 관찰되었다. 또한 NP1에 ‘이/가’와 ‘은/는’ 대신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조사가 있을 경우 일본인과 중국인 학습자 모두 이중주어문 생산을 회피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러한 경향은 ‘이/가’ 중출문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이중주어문 유형에서 ‘이/가’와 ‘은/는’ 사이의 대치 오류는 중국인 학습자에게서 많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고급 수준에 이르러서도 ‘이/가’와 ‘은/는’을 잘 습득하지 못했음을 보여 준다. V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일주어문과 이중주어문에서 ‘이/가’와 ‘은/는’의 인식과 생산 결과는 모두 모어 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일본인 학습자들은 중국인 학습자들보다 모어 화자에 근접한 인식과 생산 양상을 보였다. 단일주어문에서 학습자들은 인식 과제보다 생산 과제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이/가’와 ‘은/는’을 적절히 생산하는 고급 학습자들의 경우에도 ‘이/가’와 ‘은/는’의 실현 맥락을 변별하는 데는 어려움을 겪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이/가’와 ‘은/는’의 실현 맥락을 명시적으로 교수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학습자들은 단일주어문에서는 조사 ‘이/가’를 선호한 반면, 이중주어문에서는 ‘NP1은/는’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이중주어문의 생산에서 ‘이/가’ 외의 결합 가능한 조사가 있을 경우 ‘이/가’의 사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이/가’의 중출을 선호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일주어문과 이중주어문의 생산 과제에서 ‘이/가’와 ‘은/는’ 사이의 대치 오류는 중국인 학습자에게서 많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주어 자리의 ‘이/가’와 ‘은/는’을 잘 습득하지 못했음을 보여 준다. 본 연구는 단일주어문에 집중되어 있던 ‘이/가’와 ‘은/는’에 대한 연구의 범위를 이중주어문까지 확장하였으며, 중국인과 일본인 학습자의 ‘이/가’와 ‘은/는’의 인식과 생산 결과를 비교하여 언어 간 형태적 유사성(morphological congruency)이 제2언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가’와 ‘은/는’이 실현되는 다양한 언어맥락적 조건을 밝히고 각 조건에서 ‘이/가’와 ‘은/는’ 습득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한 후 실제 한국어 교육에서 ‘이/가’와 ‘은/는’의 다양한 맥락을 교재에 포함하여 나선형으로 교수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cquisition of i/ka and eun/neun by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In Korean, a subject comprises at least one noun phrase and one particle, and a subject marker i/ka and a topic marker eun/neun are the most representative particles marking a subject. The appropriateness of i/ka and eun/neun depends on linguistic contexts, such as particular sentence components and prior utterance.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i/ka and eun/neun differ depending on the native or first language (L1) of the learners and linguistic contexts in single-subject and double-subject constructions. In Chapter I,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by identifying the needs and purposes of the study and reviewing prior studies on the acquisition of i/ka and eun/neun.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whether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i/ka and eun/neun differ according to the L1 of the learners and linguistic contexts (contexts in which i/ka or eun/neun is compulsory) in single-subject constructions.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whether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i/ka and eun/neun differ according to the L1 of the learner and linguistic contexts (semantic relations between NP1 and NP2) in double-subject constructions. Chapter II describes the theoretical grounds for the study on the acquisition of i/ka and eun/neun. First, the functions of i/ka and eun/neun wer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structure. Second, contexts in which i/ka or eun/neun are compulsory in a single-subject structure and the semantic relations between NP1 and NP2 in a double-subject construction were reviewed. Lastly, the sample sentences in a variety of linguistic contexts where i/ka and eun/neun should be attached to a noun phrase in a single- or a double-subject structure were compared with the corresponding sentences in Chinese and Japanese. Chapter III describes the procedure, participants, and methods of data analysis for each research question. A Likert-scale method was used to review participant perception and the supply-type items were used as the production task. Two-way ANOVA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tasks. Chapter IV analyze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perception task were as follows. First, the L1 and linguistic contexts influence the perception of i/ka and eun/neun in a single-subject construction, for which an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as well. Chinese learners’ perceptions of i/ka and eun/neun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ose of native speakers, while Japanese learners’ perceptions were close to those of Korean native speakers. Second, only a main effect of L1 was found in the results of the production task. Chinese learners’ production of i/ka and eun/neu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Korean native speakers, while Japanese learners approached the level of Korean native speakers’ production. Third, main effects of L1 and linguistic contexts were found in the results of the perception task in the double-subject construction; an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as well. Chinese learners’ perceptions of i/ka and eun/neun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ose of native speakers, while Japanese learners’ were close to those of Korean native speakers. Fourth, the main effects of L1 and linguistic contexts were found in the results of the production task for the double-subject construction, and an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as well. When other particles can be attached to NP1 besides i/ka or eun/neun, both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tend to avoid attaching i/ka or eun/neun, and learners show a stronger tendency to use one of the other particles where i/ka should be attached. Substitution errors between i/ka and eun/neun were mostly found among Chinese learners, which shows that Chinese learners did not understand the context in which i/ka and eun/neun should be u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