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5 Download: 0

COVID-19 환자 전담 간호사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itle
COVID-19 환자 전담 간호사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Factors Affecting Sleep Quality in COVID-19 Dedicated Nurse
Authors
이수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배성희
Abstract
본 연구는 COVID-19 환자 전담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피로, 우울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2021년 1월 11일부터 1월 24일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COVID-19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을 운영하는 일개 상급 종합병원과 일개 종합병원의 음압병동에 근무하는 COVID-19 환자 전담 간호사로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166명을 편의 표집 하였다. 자료수집은 COVID-19 환자 전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피로, 우울, 수면의 질을 구조화된 설문지로 수집하여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해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의 통계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직무스트레스 점수는 평균 2.56±0.59점(1∼5점), 피로 점수는 평균 3.05±0.74점(1∼5점), 우울 점수는 평균 18.44±9.78점(0∼60점)으로 나타났으며 수면의 질 점수는 평균 9.04±3.33점(0∼21점)으로 측정되었다. 2. 연구 참여자의 직무스트레스는 근무부서 만족 정도(F=13.87, p<.001), 신체적 부담 정도(t=-3.92, p<.001), 업무량(t=-2.51, p=.013), 근무환경 변화로 인한 업무강도 인식(F=20.04, p<.001), 최근 1주일 평균 초과 근무시간(F=6.04, p=.003), 강제 초과근무 여부(t=4.10, p<.001), 의료기관의 COVID-19 간호업무지침 유무(t=-2.29, p=.024)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연구 참여자의 피로는 성별(t=-2.23, p=.027), 근무부서 만족 정도(F=20.63, p<.001) 신체적 부담 정도(t=-5.07, p<.001), 업무량(t=-2.73, p=.007), 근무환경 변화로 인한 업무강도 인식(F=19.97, p<.001), 강제 초과근무 여부(t=2.58, p=.011), 의료기관의 COVID-19 간호업무지침 유무(t=-2.40, p=.017), COVID-19 간호업무지침 교육 인식 정도(F=5.26, p=.00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연구 참여자의 우울은 성별(t=-2.23, p=.027), 근무부서 만족 정도(F=15.97, p<.001), 신체적 부담 정도(t=-5.24, p<.001), 근무환경 변화로 인한 업무강도 인식(F=10.69, p<.001), 최근 1주일 평균 근무시간(t=-2.71, p=.007), 의료기관의 COVID-19 간호업무지침 유무(t=-3.19, p=.002), COVID-19 간호업무지침 교육 인식 정도(F=3.65, p=.028)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연구 참여자의 수면의 질은 신체적 부담 정도(t=-2.98, p=.003), 근무환경 변화로 인한 업무강도 인식(F=8.50,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수면의 질은 직무스트레스(r=0.21, p=.006), 피로(r=0.32, p<.001), 우울(r=0.47,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COVID-19 입원치료병상 음압병동 근무 간호사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β=0.41, p<.001)로 나타났다. 우울 정도가 높을수록 수면의 질은 낮았고 설명력은 25.8%로 나타났다((F=9.22, p<.001). 본 연구 결과는 COVID-19 환자 전담 간호사의 우울이 수면의 질에 유일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OVID-19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운영 의료기관 음압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우울과 수면의 질 정도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우울 고위험군을 적시에 발견하고 상담 및 치료를 받도록 하여 COVID-19 환자 전담 간호사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우울증 완화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 the average score of job stress, fatigue, depression, and sleep quality among nurses working in government-designated COVID-19 hospitalization medical facility. Method: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two weeks, from 11 January 2021 until 24 January 2021. Research subjects were 166 voluntarily participated nurses who worked in government-designated isolation units in “Two Hospitals” in “Seoul” city and other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non-face-to-face surveys. Then, using SPSS 25.0 statistics program,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The job stress score average was 2.56±0.59 on a 5-point scale, fatigue score average was 3.05±0.74 points on a 5-point scale, and depression score average was 18.44±9.78 points on a 0-60 points scale and sleep quality score average was 9.04±3.33 points on a 0-21 points scal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leep quality and job stress, fatigue, depression. After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that affects sleep quality is depression(β=0.41, p<.001). There is an invers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leep quality, and R-Square is 25.8%(F=9.22, p<.001).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show that nurses who worked in government-designated quarantine units have poor sleep quality and a high level of depression. Therefore, the nurses’ depression and sleep quality needs to be regularly and systematically evaluated, and a solution to combat depression, such as providing consultation and medical support to those with high risks, needs to be sought. Furthermore, the nurses’ sleep quality need to be improv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