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배성희-
dc.contributor.author이수정-
dc.creator이수정-
dc.date.accessioned2021-07-29T16:32:29Z-
dc.date.available2021-07-29T16:32:29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806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8061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812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COVID-19 환자 전담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피로, 우울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2021년 1월 11일부터 1월 24일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COVID-19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을 운영하는 일개 상급 종합병원과 일개 종합병원의 음압병동에 근무하는 COVID-19 환자 전담 간호사로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166명을 편의 표집 하였다. 자료수집은 COVID-19 환자 전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피로, 우울, 수면의 질을 구조화된 설문지로 수집하여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해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의 통계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직무스트레스 점수는 평균 2.56±0.59점(1∼5점), 피로 점수는 평균 3.05±0.74점(1∼5점), 우울 점수는 평균 18.44±9.78점(0∼60점)으로 나타났으며 수면의 질 점수는 평균 9.04±3.33점(0∼21점)으로 측정되었다. 2. 연구 참여자의 직무스트레스는 근무부서 만족 정도(F=13.87, p<.001), 신체적 부담 정도(t=-3.92, p<.001), 업무량(t=-2.51, p=.013), 근무환경 변화로 인한 업무강도 인식(F=20.04, p<.001), 최근 1주일 평균 초과 근무시간(F=6.04, p=.003), 강제 초과근무 여부(t=4.10, p<.001), 의료기관의 COVID-19 간호업무지침 유무(t=-2.29, p=.024)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연구 참여자의 피로는 성별(t=-2.23, p=.027), 근무부서 만족 정도(F=20.63, p<.001) 신체적 부담 정도(t=-5.07, p<.001), 업무량(t=-2.73, p=.007), 근무환경 변화로 인한 업무강도 인식(F=19.97, p<.001), 강제 초과근무 여부(t=2.58, p=.011), 의료기관의 COVID-19 간호업무지침 유무(t=-2.40, p=.017), COVID-19 간호업무지침 교육 인식 정도(F=5.26, p=.00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연구 참여자의 우울은 성별(t=-2.23, p=.027), 근무부서 만족 정도(F=15.97, p<.001), 신체적 부담 정도(t=-5.24, p<.001), 근무환경 변화로 인한 업무강도 인식(F=10.69, p<.001), 최근 1주일 평균 근무시간(t=-2.71, p=.007), 의료기관의 COVID-19 간호업무지침 유무(t=-3.19, p=.002), COVID-19 간호업무지침 교육 인식 정도(F=3.65, p=.028)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연구 참여자의 수면의 질은 신체적 부담 정도(t=-2.98, p=.003), 근무환경 변화로 인한 업무강도 인식(F=8.50,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수면의 질은 직무스트레스(r=0.21, p=.006), 피로(r=0.32, p<.001), 우울(r=0.47,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COVID-19 입원치료병상 음압병동 근무 간호사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β=0.41, p<.001)로 나타났다. 우울 정도가 높을수록 수면의 질은 낮았고 설명력은 25.8%로 나타났다((F=9.22, p<.001). 본 연구 결과는 COVID-19 환자 전담 간호사의 우울이 수면의 질에 유일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OVID-19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운영 의료기관 음압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우울과 수면의 질 정도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우울 고위험군을 적시에 발견하고 상담 및 치료를 받도록 하여 COVID-19 환자 전담 간호사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우울증 완화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 the average score of job stress, fatigue, depression, and sleep quality among nurses working in government-designated COVID-19 hospitalization medical facility. Method: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two weeks, from 11 January 2021 until 24 January 2021. Research subjects were 166 voluntarily participated nurses who worked in government-designated isolation units in “Two Hospitals” in “Seoul” city and other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non-face-to-face surveys. Then, using SPSS 25.0 statistics program,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The job stress score average was 2.56±0.59 on a 5-point scale, fatigue score average was 3.05±0.74 points on a 5-point scale, and depression score average was 18.44±9.78 points on a 0-60 points scale and sleep quality score average was 9.04±3.33 points on a 0-21 points scal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leep quality and job stress, fatigue, depression. After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that affects sleep quality is depression(β=0.41, p<.001). There is an invers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leep quality, and R-Square is 25.8%(F=9.22, p<.001).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show that nurses who worked in government-designated quarantine units have poor sleep quality and a high level of depression. Therefore, the nurses’ depression and sleep quality needs to be regularly and systematically evaluated, and a solution to combat depression, such as providing consultation and medical support to those with high risks, needs to be sought. Furthermore, the nurses’ sleep quality need to be improv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고찰 8 A. COVID-19 환자 전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피로, 우울 8 B. COVID-19 환자 전담 간호사의 수면의 질 11 Ⅲ. 연구방법 13 A. 연구 설계 13 B. 연구 대상 13 C. 연구 도구 15 D.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19 E. 자료 분석방법 20 F. 연구의 윤리적 고려 21 G. 연구의 제한점 22 Ⅳ. 연구결과 및 논의 23 A. 일반적 특성 23 B. 업무관련 특성 25 C. 직무스트레스, 피로, 우울 정도 28 D. 수면의 질 정도 30 E.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피로, 우울, 수면의 질 차이 33 F. 업무관련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피로, 우울, 수면의 질 차이 35 G. 직무스트레스, 피로, 우울, 수면의 질 정도 간 상관관계 43 H. 직무스트레스, 피로, 우울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46 Ⅴ. 결론 및 제언 51 A. 결론 51 B. 제언 52 참고문헌 54 부록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 하위영역 차이 66 부록2 업무관련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 하위영역 차이 67 부록3 IRB 심의결과 통보서 71 부록4 설문지 74 부록5 도구 사용 승인서 89 ABSTRACT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430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COVID-19 환자 전담 간호사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Factors Affecting Sleep Quality in COVID-19 Dedicated Nurse-
dc.creator.othernameLee, Su jung-
dc.format.pagevi,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2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