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9 Download: 0

중국인 유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신건강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

Title
중국인 유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신건강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uthors
ZHOU, PANYE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코로나19 확산 초기였던 2020년 상반기, 코로나19 감염 추세가 급속하게 증가되자 세계보건기구(WHO)는 2020년 3월 11일 코로나19에 대한 제3차 세계적 대유행(Pandemic)을 발표하였다(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03.11). 한국에서도 코로나19의 위기 경보가 ‘심각’으로 격상된 뒤 사회적 거리두기(social distancing)를 국민에게 발표하기에 이르렀다(보건복지부, 2020.02.24). 이와 함께 정부는 입국자 관리, 대형 공공집회 취소, 도서관, 교회 등 공공집회 장소 폐쇄, 사회적 거리두기, 학교 개학 연기, 인터넷 수업 등 일련의 방역조치를 내놓았다. 이에 코로나19 상황에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장기화되면서 심리적 문제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양혜진, 2020). 2020년 3월부터 지금까지 한국의 대학교는 이미 1년 반의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장기화된 온라인 학습, 외출 활동 횟수 감소, 아르바이트 기회 감소, 가족이나 친구 만나는 기회 감소 등의 요인에 영향을 받아 중국인 유학생들의 두려움, 외로움, 불안, 우울, 짜증 등 정신건강의 부정적인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장기화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정신건강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대한민국 소재 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 중에 학부생, 대학원생(석사, 박사)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35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와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코로나19 스트레스, 정신건강, 주관적 안녕감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중국인 유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정신건강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스트레스, 정신건강, 주관적 안녕감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은 주관적 안녕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그리고 정신건강은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정신건강이 중국인 유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를 매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은 코로나19 스트레스(거리두기 어려움)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 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코로나19 스트레스(거리두기 어려움)가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어 궁극적으로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셋째, 중국인 유학생의 정신건강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정신건강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지만 주관적 안녕감에는 주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정신건강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하위요인의 조절효과가 없고 사회적 지지 하위요인인 중국·한국 친구지지, 한국 교/강사 지지, 부모지지의 주효과는 중국인 유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SPSS Macro를 통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중국인 유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거리두기 어려움)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반영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적 지지의 수준에 따라 변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스트레스, 정신건강, 주관적 안녕감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을 제외한 나머지 변인 간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정신건강은 코로나19 스트레스(거리두기 어려움)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 하였다. 셋째, 정신건강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지만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이 매개효과를 반영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가 이를 조절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 중국인 유학생들의 정신건강 문제 예방 및 대처를 위한 교육상담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the first half of 2020, during the early stages of the spread of COVID-19,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announced the third Pandemic for COVID-19 on March 11, 2020. In Korea, COVID-19's crisis warning was raised to "serious" and social distance was announced to the public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02.24). In addition, the government has also introduced a series of isolation measures, including the management of immigrants, the cancellation of large-scale public meetings, the closure of public meetings such as libraries and churches, social distance, and the postponement of the opening of schools and internet courses. As a result, more and more people are complaining of psychological problems due to prolonged social distancing in the COVID-19 situation (Yang Hye-jin, 2020). From March 2020 to now, Korean universities have been teaching online for one and a half years. In the COVID-19 situation, negative mental health problems such as fear, loneliness, anxiety, depression, and irritation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re emerging due to factors such as prolonged online learning, fewer outdoor activities, fewer part-time job opportunities, and fewer opportunities to meet family or friend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at the mediating role of mental health and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are related to the impact of COVID-19 stres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due to long-term social distance. In this study, the undergraduates and postgraduates (master's degree and doctor's degree)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currently attending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re investigated online. A total of 235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o conduct the study.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by SPSS and PROCESS Macro software.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among COVID-19 stress, mental health, subjective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and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COVID-19 stress, mental health, subjective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COVID-19 stress, mental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a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Mental health h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social support i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Second,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mental health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hinese students. The result shows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COVID-19 stress, mental health complet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aused by social distance and subjective well-being. It can be said that mental health completely mediates the influence of COVID-19 stress (difficulty caused by social distance) on subjective well-being. It was confirmed that COVID-19 stress (difficulty caused by social distance) will affect mental health and ultimately subjective well-being. In other words, it shows the importance of mental health on subjective well-being. Thir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und that social support has no significant regul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but the main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is significant. This indicates that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have no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while the main effects of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such as Chinese/Korean friends support, Korean professor/teachers support and parents suppor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hinese student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confirme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mental health, subjective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in addition to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emaining variables. Second, it can be said that mental health completely mediated the effect of COVID-19 stress (difficulty caused by social distancing) on subjective well-being.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but the main effec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on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educational counseling measures for preventing and coping with mental health problem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context of COVID-19.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