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4 Download: 0

중학교 교사의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Title
중학교 교사의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the Efficacy of Middle School Teachers During the COVID-19 Era
Authors
백유하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전통적인 교육의 형식은 교사와 학생이 직접 얼굴을 보며 수업을 진행하는 형태인 대면 교육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해 2020학년부터는 전례없는 전 세계적 온라인 강의가 진행되고 있다. 비자발적으로 촉발된 대규모 온라인 강의는 충분한 준비 없이 단기간에 시행되어 수업의 질 저하, 학습결손 등 다양한 문제들을 유발하고 있으며, 특히 온라인 콘텐츠 제작, 학생 관리 등 가중된 업무로 인한 교사의 심리적 소진 문제는 학교현장에서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 다(최수정 외, 2021; Sokal et al., 2020). 교사는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존재라는 점에서 교사의 사기와 태도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한 교육환경의 변화는 교사의 사기나 신념에 부정적인 영향 을 미치고 있었으며(오동주, 황홍섭, 2020), 이에 대한 개선방안의 마련이 요구된다. 교사효능감(Teacher efficacy)은 교사 자신이 학생의 성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고 믿는 정도(Ashton, 1984)를 의미하며, 이는 교사의 신념, 헌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그 중요성이 꾸준히 강조되고 있다(홍창남, 2006). 그러나 코로나-19 상황에서 교사효능감을 주제로 수행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온라인 수업역량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강수영, 2021; 정동영, 2021; 양엄인, 2021), 교사 변인, 학교 변인 등 다양한 수준의 변인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19시대에 다양한 변인들의 교사효능감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효능감은 독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사효능감에 어떠한 변인이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력은 어떠한가? 이다. 분석자료는 경기도 소재 중학교 교사 217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 19일부터 4월 30일까지 온라인으로 설문한 결과를 활용했으며, 분석방법은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차이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교사, 학교, 테크놀로지 내용·교수 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인 학습지도 효능감, 생활지도 효능감의 집단 간 차이를 차이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교사효능감과 학습지도 효능감, 생활지도 효능감에 미치는 교사, 학교,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역량 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효능감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사 변인인 성별, 연령, 전문성 계발 활동, 학교 변인인 설립유형과 학교 규모를 제외한 모든 변인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 학습지도 효능감의 경우, 교사변인인 성별, 연령, 교직경력, 최종학력, 전문성 계발 활동과 학교 변인인 설립유형과 학교 규모를 제외하고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생활지도 효능감의 경우 교사 변인인 성별, 연령, 전문성 계발 활동과 학교 변인인 설립유형, 학교 규모,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역량 변인인 테크놀로지 지식(TK)를 제외한 모든 변인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변인의 영향력에 대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교사 변인은 교직준비정도, 교사-학생 간 관계, 학교 변인은 학교 수업분위기,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역량 변인은 테크놀로지 교수지식 (TPK)였다. 넷째,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변인의 영향력에 대한 중다휘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지도 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교사 변인은 교직준비정도, 교사-학생 간 관계, 학교 변인은 학교수업분위기, 테크놀로지 내용· 교수역량 변인은 테크놀로지 교수지식(TPK)였다. 생활지도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변인은 교직준비정도, 교사-학생 간 관계,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역량 변인은 테크놀로지 지식(TK), 테크놀로지 교수지식(TPK)였다. 학교 변인은 생활지도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학생과 긍정적이고 친밀한 관계를 구축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학교에서는 교사와 학생이 수업시간 외에 질 높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상 담 프로그램, 동아리 활동, 체험활동 등을 지원해야 하며, 정부에서는 교사의 생활지도 및 상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연수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더불어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교사-학생의 관계의 질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예비교원들이 교직에 필요한 전문성을 충분히 갖출 수 있도록 교원양성기관의 질 관리 및 교원양성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교사의 필수자질에 대한 국가 수준의 정교한 기준이 마련되어 체계적인 교원양성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현재의 교육실습시간을 해외 주요국 수준으로 확대하고 운영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수습교사제를 도입하여 예비교사의 교사로서 역량을 확인하는 기간을 갖는 방안도 고려해볼 수 있다. 셋째,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지식(TPK)을 신장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지원되어야 한다. 정부 및 시도교육청 차원에서 민간과 협력을 통해 교사가 재구성할 수 있는 자료제작 및 공유 플랫폼을 제공해야 하며, 학교에서는 온라인 수업과 관련된 교사들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동을 적극적으로 권장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교 수업 분위기를 개선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학교에서는 교사가 자신의 수업 태도를 성찰해볼 수 있는 다양한 장학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하며, 정부에서는 교사들에게 학습자 중심 교수 방법에 대한 전문 성 개발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온라인 수업 분위기 개선을 위해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예절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긍정적인 학교풍토 형성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학교에서는 교사가 교수활동 뿐만 아니라 학교업무 전반에 걸쳐 의사결정 권한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환경을 개선하고, 정부는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 간 협력을 통해 학교와 지역사회 간 연계사업을 확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서 근무하는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데이터를 활용하였기 때문에 한국의 전체 교사에 대한 대표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횡단면 분석을 실시하였기 때문에 시간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변화와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지 서술하지 못한다. 또한, 교사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만을 살펴보았기 때문에 매개변인을 포함한 다양한 변인들과의 관계를 밝히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추후 본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연구들이 진행된다면 코로나-19시대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관해 더욱 유의미한 결론이 도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e traditional form of education is based on in-person education, in which teachers and students conduct classes face-to-face. However, due to COVID-19, unprecedented online classes have been held around the world since 2020. Large-scale online classes which have been triggered involuntarily are implemen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without sufficient preparation, causing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deterioration of class quality and a lack of learning as well as making teachers' psychologically burn out, in particular, due to aggravated tasks such as online content production and student management, an important issue at schools (Su-Jeong Choi et al., 2021; Sokal et al., 2020). Since teachers are the key entity influencing the cognitive-affective growth of students, the morale and attitude of teachers are very important. However,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are negatively affecting teachers' morale or beliefs (Dong-Ju Oh and Hong-Seop Hwang, 2020), which calls for an improvement plan for this problem. Teacher efficacy refers to the extent to which teachers themselves believe they have the ability to influence student achievement (Ashton, 1984), which is consistently emphasized as a factor influencing teachers' beliefs, commitments, and attitudes (Chang-Nam Hong, 2006). However, researching the previous studies conducted on the topic of teacher efficacy in the COVID-19 situation showed that most of them were studies on the effect of online class competency on teacher efficacy (Soo-Young Kang, 2021; Dong-Young Jeong, 2021; Eom-In Yang, 2021), whereas there were limited studies on the effects of various levels of variables on teacher efficacy, such as the teacher and school variabl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various variables on teacher efficacy in the era of COVID-19 and seeks ways to improve teacher efficacy based on this. The study issues for conducting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s the teacher efficacy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dependent variables? Second, what variables affect teacher efficacy, and what are their influences? The analysis data was based on the results of an online survey of 217 middle school teachers in Gyeonggi-do, South Korea from April 19th to April 30th, 2021, utilizing an analysis method which includes a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differe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differences between groups of teacher efficacy due to variables such as teachers, schools, and technology content/teaching competency, study guidance efficacy, which are sub-factors of teacher efficacy, and life guidance efficacy were examined through difference analyses. Nex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ables such as teachers, schools, and technology content/teaching competency on teacher efficacy, study guidance efficacy, and life guidance efficac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on teacher efficacy shows that the intergroup differences under all variables are significant except for gender, age, and expertise development activities, which are teacher variables, as well as establishment type and school size, which are school variables. Second,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on the sub-factors of teacher efficacy shows that the intergroup differences under all variables are significant except for gender, age, teaching experience, last educational background, and expertise development activities, which are teacher variables, as well as establishment type and school size, which are school variables, in the case of study guidance efficacy. For life guidance efficacy, it has been shown that the intergroup differences under all variabl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gender, age, and expertise development activities, which are teacher variables, as well as establishment type and school size, which are school variables, and technology knowledge, which is a technology content/teaching competency variable. Third, as a result of perform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variables on teacher efficacy, those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teacher efficacy are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teaching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s teacher variables, class atmosphere as a school variable, and technology knowledge as a technology content/teaching competency variable. Fourth, as a result of perform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variables on the sub-factors of teacher efficacy, those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study guidance efficacy are degree of preparation for teaching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s teacher variables, class atmosphere as a school variable, and technology knowledge as a technology content/teaching competency variable. Those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life guidance efficacy are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teaching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s teacher variables, as well as technology knowledge and technology teaching knowledge as technology content/teaching competency variables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draw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pport is needed to help teachers build positive and close relationships with students. Schools should support various counseling programs, club activities, hands-on activities, etc. so that teachers and students can have quality interactions outside of class, and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training programs to strengthen teachers' life guidance and counseling competency.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prepare programs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in the untact educational environ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quality of institutions that foster teachers and to improve the system to foster teachers so that pre-service teachers can acquire enough expertise for the teaching profession. State-level sophisticated standards for teachers' essential qualities should be established and systematic education to foster teachers should be provide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urrent training and practice hours to the level of major overseas countries and improve the operation method. In addition, by introducing the apprenticeship teacher system, it is possible to consider a plan to have a period to check the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as teachers. Third, programs to increase teachers' technology teaching knowledge should be supported. The government and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hould work with the private sectors to provide a platform for data production and sharing for teachers to reconstruct, and schools need to actively encourage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related to online classes. Fourth, supp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school class atmosphere. Schools should operate various scholarship programs for teachers to reflect on their teaching attitudes, and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teachers with expertise development programs on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In addition,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for students to improve the online class atmosphere. This study used survey data of middle school teachers working in Gyeonggi-do, South Korea, so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representation of all teachers in Korea and it cannot describe the change in teacher efficacy over time and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se changes due to the cross-sectional analysis performed. Furthermore, it has the limitation of not able to reveal the relationship with a variety of variables, including mediator variables, because it has only covered variables that directly affect teacher efficacy. It is expected that more significant conclusions can be reached on the variables affecting teacher efficacy in the COVID-19 era if studies are carried out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