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1 Download: 0

대학생이 지각한 코로나19 스트레스가 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Title
대학생이 지각한 코로나19 스트레스가 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perceived COVID-19 stress on flourish among college students : mediating effects of mental health and moderating effects of stress
Authors
JIN, HAIYING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세계적으로 전파되고 있는 코로나19 상황은 대학생들에게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가져다주고 있다. 또한 이렇게 증가한 스트레스는 대학생들의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정신건강이 취약해지면 이는 이들의 행복감 저하로 나타나 최근 긍정심리학에서 주목하고 있는 플로리시가 감소할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환경 속에서 대학생들은 더욱 많은 스트레스를 지각하게 될 것이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대학생들은 온라인 수업으로 학교에 가지 못하고 생활의 자유를 잃은 상황에서 지각된 코로나 스트레스는 정신건강과 플로리시에 영향을 가져다주게 될 것이다. 이를 볼 때 대학생의 플로리시를 높이기 위한 관련 변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 상황에서 대학생의 지각된 코로나 스트레스가 정신건강과 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각된 코로나 스트레스, 정신건강,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선정하고, 이들의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대학생의 플로리시를 높이기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은 정신건강에 의해 매개하는지 확인하였다. 둘째,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의해 조절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셋째,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은 정신건강에 의해 매개되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의해 조절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설정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부과정을 다니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 중 결측값이 있는 자료를 제외한 총 250개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erceived stress scale; PSS), 플로리시척도(PERMA-Profiler), 정신건강 척도(KGHQ-12), 스트레스 대처방식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결과를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PROCESS Macro의 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지각된 코로나 스트레스, 정신건강, 플로리시,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각된 코로나 스트레스는 정신건강과 유의한 정적 상관, 지각된 코로나 스트레스는 플로리시와 유의한 부적 상관, 지각된 코로나 스트레스는 소극대처방식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스트레스 적극대처방식은 정신건강과 유의한 부적 상관, 스트레스 적극대처방식과 플로리시는 유의한 정적 상관, 스트레스 소극대처방식은 정신건강과 유의한 정적 상관, 스트레스 소극대처방식은 플로리시와 유의한 정적 상관 및 정신건강은 플로리시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정신건강이 지각된 코로나 스트레스와 플로리시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한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각된 코로나 스트레스가 플로리시에 직접적인 효과는 미치진 않지만 지각된 코로나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을 통해 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친다는 간접효과를 확인하여 완전 매개함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지각된 코로나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어 궁극적으로 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코로나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을 통해 대학생의 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한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각된 코로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적극대처방식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지만 스트레스 적극대처방식의 주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트레스 적극대처방식이 지각된 코로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지는 않지만 정신건강에는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지각된 코로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소극대처방식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주효과 역시 확인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지각된 코로나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스트레스 대처방식(적극적 대처방식과 소극적 대처방식)에 의해 조절되지는 않지만 스트레스 적극대처방식의 주효과는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지각된 코로나 스트레스는 플로리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정신건강을 매개하여 플로리시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지각된 코로나 스트레스와 플로리시의 직접 경로에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플로리시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t present, while the new coronavirus is plaguing all over the world, it also causes mental stress to college students. This kind of mental stress is a serious threat to the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Problems with mental health can lead to a decline in well-being, which in turn affects the level of “flourish” often discussed in positive psychology. In the post-epidemic era, college students have to face even greater stress. Due to “social distance” in Korea, they have to attend class online, causing them to be mentally affected by the inability to attend class offline and the loss of free lives. Considering this, it is necessary to study factors related to the well-being of them for improve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mental stress multiplied by the epidemic on students’ mental health and flourish level, and to test the effects of their stress coping methods. The study takes the COVID-19 stress, mental health, and stress coping styles as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 flourish level, and aim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thus providing basic research information for improving college students’ flourish level. To achieve such a research purpose, three questions are set in the study. First, when the new virus affects the students’ flourish, whether their mental health mediates. Second, whether the stress-coping style of college students has a moderating effect when the epidemic influences the students mentally. Third, when the virus causes bad effects on college students’ flourish, whether their mental health mediates and their coping style has a moderating effect. To validate the research questions that have been set, a questionnaire survey is conducted with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undergraduate programs at four-year universities. After collecting and organizing the questionnaires and excluding invalid data, 250 valid questionnaires are obtained. The survey is completed online, including Perceived Stress Scale(PSS), PERMA-Profiler, KGHQ-12, and the Stress Coping Style Scale, etc. After the survey is done, the data collected is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for technically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Bootstrapping method of SPSS PROCESS Macro is adopt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are presented below. First,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mental health, and stress coping styles, a correlation analysis is conducted. The results show that college students’ perceived virus stress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ntal health, negatively correlated with flourish, and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a negative coping style. In addition, a positive stress coping style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ental health while positively correlated with flourish. In contrast, negative stress coping styles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ntal health and flourish which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Second, to figure out whether mental health play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pidemic and flourish, a media analysis is completed using a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model.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although the perceived epidemic stress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college students’ flourish, it is sure that it will indirectly affect their flourish through affecting their mental health, which also confirms that mental health has a mediating effect. Therefore, the perceived virus stress first affects students’ mental health and causes their flourish to be influenced. Thir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yle when virus stress influences students’ flourish through their mental health, a moderating analysis is conducted using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odel.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although the moderating effect of a positive coping style is not effectiv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w virus and mental health, this kind of positive coping method still plays a certain role. In other words, the positive stress coping approach does not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pidemic stress and mental health, but it is still useful in creating a good psychological state. In contrast, the moderating effect of a negative coping metho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ID-19 epidemic and mental health is not clear and this kind of approach does not seem to work. Therefore, it is to be sure that though the coping styles of stress (positive ones and negative ones) do not have a moderating impact on mental health in face of the epidemic, positive coping styles still work in some aspects. The study results are sorted out as follows. When college students perceive the new virus stress, it will indirectly influence their flourish by affecting mental health. Although stress coping styles do not play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rus stress and flourish, a positive coping method will indeed help reduce flourish to some extent.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paper discusses the import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gives corresponding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