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0 Download: 0

음악 전공자들의 경력전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itle
음악 전공자들의 경력전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Other Titles
A Phenomenological Study of Career Transitions of Music Majors : Focusing on Instrumental Majors Working in Non-music Fields
Authors
송민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남희
Abstract
본 연구는 타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음악 전공자들의 경력전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통해 이들의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고 그 경험이 갖는 성인학습적 의미를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전공자들이 타 분야로 경력전환을 하게 된 이유와 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음악 전공자들의 경력전환 경험이 갖는 성인학습적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 셋째, 음악 전공자들의 경력전환 경험이 음대 재학생들의 직업진로교육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현대 사회에서 일은 개인에게 생계 수단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개인의 생활에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사회 전체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또한 한 개인이 일생에 걸쳐 일과 관련해 얻는 경험의 총체인 경력은 그 개인의 삶과 개인을 둘러싼 환경, 사회 전반에 영향을 주고받으며 시대를 반영한 형태를 띠게 된다. 이직이나 전직을 의미하는 경력전환은 전통적으로 개인의 선택적 행위로 간주되고 연구되어 왔으나, 직업 환경과 노동시장의 급속한 변화로 인해 새로운 직업을 통해 개인의 주체성을 보여주고 일과 삶의 의미를 찾는 과정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경력의 개념이 변화하고 경력을 구성하는 범위가 다양해지면서 이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음악 전공자들은 다른 계열에 비해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악기를 시작하여 전공을 선택하고 대학 입시를 위한 준비를 한다. 하지만 음악 전공자들은 대학에 입학한 후에도 이어지는 끊임없는 경쟁, 전공 실기 위주의 획일화된 교육 과정 등에서 비롯된 진로와 관련한 정보 부족, 협소한 선택지 등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에 따라 경영학이나 공학과 같이 취업이 비교적 보장되는 학과와는 달리, 음대 재학생들의 경우 졸업 후 일반적인 직장에서 필요한 직무 역량을 갖추지 못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졸업생들의 취업 비율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경력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음악 대학 및 국내 음악 산업계의 대처로 인해 음악 전공자들의 진로와 관련된 이슈는 현재 오롯이 개인의 몫이 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타 분야로 경력전환을 한 음악 전공자들이 다양한 경험을 거쳐 다른 분야의 직업인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탐구하고 성인학습적 관점에서 그 경험이 갖는 의미와 본질을 분석하였으며, 그것이 음대 재학생들의 직업진로교육에 시사하는 바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들만이 갖는 경험의 본질을 탐색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론 중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선택하였다. 현상학적 연구방법은 개인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여러 개인들의 경험을 통하여 그 심층에 자리한 현상의 본질적 요소나 구조가 무엇인지를 알아내기 위해 연구자가 그들의 경험을 해석하려는 연구방법이다. 의도적 표집과 눈덩이 표집방법으로 연구참여자들을 모집하여 총 11명에 대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심층 면담연구 분석은 Colaizzi의 분석절차 방법을 사용했는데, 연구참여자들과의 심층면담을 하며 녹음했던 녹취록을 필사하고, 그 연구자료 내 유의미한 진술을 추출하여, 주제들의 무리로 묶은 뒤, 이 주제 모음에 대해 기술하고, 이를 연구참여자에게 확인 작업을 하기까지 총 5단계를 거쳐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자의 혹은 타의에 의해 악기를 시작하고 음대 진학을 목표로 하여 연습과 레슨이 삶의 중심이었던 청소년기를 보냈다. 전공의 선택과 동시에 시작되는 경쟁은 음대 입학 후에도 그대로 이어졌고 그러한 현실을 겪으며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이 음악을 평생 직업을 삼을 수 있는 사람인가에 대한 성찰과 고민을 시작하였다. 학교 안팎으로 본인들의 고민을 털어놓을 마땅한 창구가 없어 스스로 고민하고 결정하였으며, 졸업 즈음부터 생계를 위해 음악을 수단으로 일을 했다. 하지만 그 경험을 통해 자신이 경제적으로 더 윤택하고 삶이 안정적이기를 원한다는 것을 깨달았고, 필요한 학습과 마주치는 기회를 잡아가며 새로운 분야로 진출하고자 했다. 연구참여자들의 이러한 성찰과 전환의 경험은 그들로 하여금 그간 발휘하지 못했던 자신의 음악 전공자로서의 다른 강점을 드러나게 했다. 악기라는 하나의 분야에 집중하기 위해 억눌러왔던 호기심으로 새로운 일에 도전할 수 있었고 힘든 과정 중에도 포기하지 않는 끈기와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없는 긍정적인 자세를 갖게 됐음을 깨달았던 것이다. 하지만 연구참여자들은 경력을 전환하고 음악이 아닌 다른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와중에도 음악 전공자로서의 정체성을 놓치지 않고 있었는데, 이는 음악 전공자에 대한 사회의 편견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또 다방면에서 음악과의 관계를 이어나가는 모습에서 보여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이 진로 선택 및 경력전환의 과정과 경력전환 이유, 경력전환 경험의 성인학습적 의미와 본질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음대 재학생들을 위한 직업진로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음악 전공자들은 자신의 흥미와 관심사 혹은 부모의 의지로 진로를 선택하고 음대에 입학하기까지 반복적인 연습과 실기 경쟁을 거치게 된다. 음대에 입학할 때 재학생들의 반복적인 연습과 전공 학업의 목적은 대부분 연주자, 음악대학 교수 등을 직업으로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학년이 올라가면서 다른 길에 대한 현실적인 고민을 하게 되고, 재학 중 실기 이외의 다른 학문 또는 분야의 진로 정보를 얻는 것이 어려운 음악 전공자들은 협소한 정보와 선택지를 놓고 진로를 스스로 고민하게 된다. 둘째, 경력전환에 앞서 음악 전공자들은 음대 입학 후 현실 자각과 성찰을 바탕으로 연주자의 삶을 포기하는 과정을 거친다. 연구참여자들은 스스로 평생 연주자의 삶을 살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하며 자신을 성찰하였는데, 이러한 과정은 경험(experience), 비판적 성찰(critical reflection), 이성적 담론(rational discourse), 행동(action)으로 이어지는 Mezirow의 전환학습 네 가지 단계 중 경험과 비판적 성찰 개념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셋째, 음악 전공자들은 경제적으로나 일상적으로 더 안정적이고 자신의 흥미를 충족시키는 삶을 살기 위해, 스스로 다른 길을 모색하여 경력전환의 기회를 잡으며 새로운 의미구조를 갖는 전환학습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참여자들은 음악을 전공하며 억눌러 왔던 자신의 호기심을 발견하고 적극적으로 새로운 직업을 찾았다. 이들은 자신의 강점으로 꼽은 끈기와 용기를 바탕으로 새로운 일에서 경력을 개발했다. 이는 Mezirow가 제시한 전환학습의 세번째와 네번째 단계와 대응될 수 있다. 다섯째, 음악 전공자들은 타 분야로의 경력전환 경험을 통해 자신의 호기심과 강점을 바탕으로 음악 전공자로서의 편견을 극복하며, 음악 전공자로서의 또다른 정체성을 확립해가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경력전환의 경험을 통해 연구참여자들은 음악을 전공했다는 ‘경력’을 바탕으로 타 분야에서 다시 경력을 쌓아가고 있는 음악 전공자로서의 정체성을 갖고 음악과 자신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해 나가고 있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음악대학의 교육과정과 직업진로교육 제도의 변화, 개선 및 다양화를 통한 음악 전공자들의 진로 관련 활동에 적극적이고 실용적인 도움이 필요하며 이들의 취업 기회 확대를 위한 대학과 음악 산업 현장의 상호 협조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밝혔다. 또한 음악 전공자들의 경력개발에 관한 다각적인 연구와 음악 산업 내 다양한 직업에 관한 학술적인 연구를 후속 연구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s of music majors’ career transitions and to find the implications from an adult learning perspectiv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ason and process for music majors to change their careers to non-music fields? Second, what is the meaning and essence of music majors' career transitions from an adult learning perspective? Third,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e career transitions of music majors to vocational education of music college students? Career is more than a means of livelihood for people. It occupies a high proportion in an individual's life and makes great contributions to society. In addition, a career, which is the sum total of work-related experiences that an individual acquires throughout his or her life, takes a form that both reflects and affects an individual's life,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individual, and society as a whole. Career transition has traditionally been considered and studied as an individual's selective behavior, but due to recent rapid changes in the work environment and labor market, it is considered as a process of showing individual identity. Music majors start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t a relatively early age and decide and prepare for college acceptance. However, they face difficulties due to the lack of information in choosing their career path, caused by constant competition after the admission and a standardized curriculum centered on the practical skills of music. Accordingly, unlike majors such as business administration or engineering, where employment is relatively guaranteed, music school graduates tend to have a lower employment rate as they are perceived to not have the proper competencies for a general job after graduation. Due to the responses of music colleges and the domestic music industry that remain outdated when career paradigms are changing, issues related to the career development becomes solely the responsibility of studen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that music majors go through for their career transition and have various experiences, not as performers, to become professionals in other fields. Then,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ose experiences were pursued from an adult learning perspective. In this study,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selected amo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explore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s that research participants have.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experiences through exploring what the essential elements or structures of phenomena that lie in the depths are. One-to-on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participants and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verbatim. Colaizzi's 5-step analytical procedure method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earcher extracted meaningful statements from the research data, grouped them into groups of subjects, and described this set of subjects, then finally asked the 2 of the participants to review the result of the analysis for member-check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started playing an instrument voluntarily or on the advice of others, aiming to enter a music college, and spent their adolescence practicing and attending lessons. The competition, which started around the time to choose a major, continued even after entering the college of music, and the participants continued to realistically weigh the possibility to play music for their life. There were not many people who they consult with regarding their future careers, so participants had to decide on their own, and from the time they graduated, they immediately started working in music field to make a living. However, participants soon realized that they wanted stability and economic prosperity. They advanced into new fields by seizing new professional and academic opportunities. This self-reflec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participants revealed other strengths as music majors that they had not shown before. They realized that they were able to take on new tasks out of curiosity which had to be suppressed to focus on music, and that they appeared to keep a positive attitude without fear of failure and persistence in the midst of a difficult process. Nevertheless, the participants did not lose their identity as music majors even while changing their careers. This was shown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people’s biases toward music majors and continuing the relationship with music in various ways.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vocational career education for music students can be discussed as follows. First, music majors choose a career path based on their own interests or their parent’s will and go through repeated practices and competitions until they enter a music college. Once they enter college, the purpose of practices and studies becomes to advance as a performer or a professor. However, as time passes, they want to expand their options, but music majors find it difficult to get information regarding fields or studies other than music. Second, prior to the career transition, music majors go through the process of giving up the life of a performer based on realization and self-reflection. This process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concept of experience and critical reflection of Mezirow's transformational learning phase, which leads to experience, critical reflection, rational discourse, and action. Third, music majors go through a process of transformational learning that has a new significance in finding other opportunities on their own in order to live a more stable and satisfying economic and professional life. Fourth, participants discovered their curiosity that had been suppressed while majoring in music and actively sought new jobs. They developed their careers in new jobs based on the persistence and courage they identified as their strengths. These correspond to the third and fourth stages of Mezirow's transformational learning theory. Fifth, participants became developing another identity as music majors, overcoming prejudices against music majors based on their curiosity and strength through career transition experiences in non-music fields. Through the experience of career transition, participants reestablished their relationship with music through their identity and they also established their careers in new fields based on their ‘career’ of majoring in music.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claims that active and practical help is needed for career development of music majors through improvement and diversification of the curriculum for vocational education within the music colleges and cooperation between music schools and the music industry is necessary. In addition, studies a multifaceted approach on career development of music majors and academic approach for various vocations in the music industry are suggested as future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