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8 Download: 0

MIT 기법을 적용한 구어작업기억 중재가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Title
MIT 기법을 적용한 구어작업기억 중재가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Verbal Working Memory Treatment According to MIT(Melodic Intonation Therapy) on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Authors
김지성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지은
Abstract
현재 전 세계적으로 노인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치매 환자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치매의 위험인자와 보호인자들에 대한 연구는 꾸준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현재 치매의 직접적인 치료제는 아직 나오고 있지 않다. 최근 알츠하이머 병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 인지 훈련, 인지 자극, 인지 재활과 잠재적인 비약물적 전략이 필요하다(이범석 & 김기웅, 2009; Gehres et al., 2016). Gagnon 과 Belleville (2011)에서 노년층의 인지 활동을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장애군을 대상으로 작업기억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상 노년집단에 비해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의 점수가 낮았으며, MCI 에 비하여 알츠하이머형 치매(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DAT)의 점수가 낮았다. 이러한 문제에 초점을 두어 Choi et al(2016)에서 문장을 활용한 작업기억 중재를 개발하여 MCI 를 대상으로 언어치료를 하였다. 그 결과, 중재 과제뿐 아니라 비중재 과제의 향상으로 일반화 효과를 가져온 바가 있다. 하지만 중등도의 치매노인에 대하여 이러한 연구는 미미하다.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다른 치료접근으로 인지와 정서적인 측면에의 접근이 중요하다고 보고된다(한승아, 2016). 음악 자체가 가지는 정서적 느낌과 가사의 의미로 기억 회상의 강력한 단서를 만들어 치매환자들의 저하된 기억력을 높여주는 것이다(Bruscia, 1998). 또한 이는 과거 경험에 대한 기억이 저하되긴 하나 음악을 단서로 회상을 하게 해준다(Janata, Tomic, & Rakowski, 2007). 이와 유사하게 언어치료에서도 뇌 손상 후 언어 회복을 위해 음악적 멜로디를 이용하여 전통적으로 언어 처리에 관여하는 영역과 양쪽 반구의 다른 인지 기능에 관여하는 모든 영역을 수반하는 치료를 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Cahana-Amitay & Albert, 2015). 이는 MIT(Melodic Intonation Therapy)로 자발적인 구어가 없는 심한 실어증 환자들에게 비우성반구의 음악적 높낮이나 리듬의 기능으로 발화를 유도하고자 하는 치료법이다(HelmEstabrooks et al, 1982). 하지만 MIT 기법이 실어증 언어장애의 효과적인 치료 효과가 있음을 입증함에도 불구하고 영어 이외의 언어권에서는 각기 다른 운율 및 리듬의 특성 때문에 그 적용효과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에 맞는 MIT 를 적용하기 위해 음악과 언어의 관계성에 따라 한국어에 특징에 맞는 멜로디를 ‘공유 구문 통합 자원 가설(shared syntactic integration resource hypothesis; SSIRH)’ 에 기반해 작곡하여 자극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2 명의 중등도 치매노인들을 2 집단으로 나누어 멜로디를 적용한 작업기억 중재(WM+MIT)와 멜로디 없이 작업기억만 중재(WM ONLY)하였을 때를 비교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WM+MIT 중재 집단과 WM ONLY 중재를 시행한 집단 간 차이가 중재에 사용된 과제(문장따라말하기, 중재단어 폭)와 중재에 사용되지 않은 과제(문장이해, 단어 폭, 숫자 폭, 범주유창성, 동사유창성, 그림설명하기 과제) 모두 중재 전 평가에서 모두 유의하지 않아 집단간 사전 수행력의 차이가 없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중재 후에도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중재에 사용된 과제(문장따라말하기, 중재단어 폭) 점수에서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WM+MIT 집단의 수행력이 WM ONLY 집단에 비해 월등히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온 것은 본 중재에 참여한 대상자의 수가 각 집단별로 5 명 밖에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를 이끌어 냈을 수 있다. 둘째, WM+MIT 중재 집단과 WM ONLY 중재를 시행한 집단 내 중재 사전ㆍ사후 평가에서 차이에서 중재에 사용된 과제(문장따라말하기, 중재단어 폭) 점수에서 사전ㆍ사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단어 폭의 경우에는 WM+MIT 집단에서만 유의하였으며 WM ONLY 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Monica(2010)에서 짧은 구를 이용하여 MIT 치료를 시행하였을 경우 더 긴 구어적 반응을 이끌어 낸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멜로디가 적용된 작업기억 중재를 한 중등도의 치매환자들도 자신의 뇌 용량을 최대화하여 수행력을 높인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중재에 사용하지 않은 과제(문장이해, 단어 폭, 숫자 폭, 범주유창성, 동사유창성, 그림설명하기 과제)에서는 사전 사후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사후평가에서 수행력이 향상된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본 중재의 효과성을 드러내고 있다. ;As the population of elderlies is increasing worldwide, the number of patients diagnosed with dementia is increasing accordingly. Although research on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f dementia has been widely conducted, direct treatment for dementia has not yet been developed. In more recent years, non-drug strategies like cognitive interventions including cognitive training, stimulation and rehabilitation have been regarded as necessary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Alzheimer’s disease (Lee & Kim 2009, Gehres et al. 2016). Gagnon and Bellville (2011) tested the working memory of elderlies with different levels of disabilities in order to assess elderlies ’ cognitive activities. They found out that MCI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AT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scored lower than the normal elderly adults, and DAT scored lower than MCI. Focusing on this aspect, Choi et al. (2016) applied speech therapy to patients with MCI by developing a working memory intervention using sentences. The results revealed that such treatment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ability of the patients to repeat sentences and the general comprehension of sentences. However, research targeted at patients with moderate dementia in this context is limited. It is reported that cognitive and emotional approaches are important in treating patients with Alzheimer’s dementia (Han 2016). The emotions evoked when listening to a particular song are found to be useful in recalling memories as the emotions that music induces combined with the meaning of the lyrics serve as a powerful tool to recall memories (Brusica 1998). Consequently, interventions using music recall techniques are widely used in treating dementia patients since music can work as an effective tool to recall memories even if the memory of the past experience is impaired (Janata, Tomic & Rakowski 2007). Similarly, treatments using musical melodies that involves using of both hemispheres—one that is traditionally involved in linguistic matters and other that intervenes all other cognitive activities are used in the context of speech therapy (Cahana-Amitay & Albert 2015). Such treatment is referred as a Melodic Intonation Therapy (MIT), which is a treatment method that attempts to induce speech of patients with severe aphasia without spontaneous speech by using the function of musical elevation or rhythm of non-dominant hemisphere (Helm-Estabrooksetal 1982). Despite the proven effectiveness of MIT in treating aphasia speech disorders, its application in non-English languages has been regarded questionable due to the different prosodies and rhythmic characteristics of each language. As such, this study developed a stimulus melody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based on ‘shared syntactic integration resource hypothesis (SSIRH)’. The research aimed at finding the effectiveness of the working memory interventions using melodies by comparing the two groups of elderlies with DAT: group WM+MIT treated with working memory interventions using melodies and group WM ONLY treated with working memory interventions without applying melodies. The result revealed that,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performance level of the two groups for both the tasks that were used for interventions (repeating sentences, word spans) and those that were not used (sentence comprehension, working memory span for words and numbers, categorical word fluency, verb fluency and picture description task). Postintervention assessment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lthough the differences in scores from the tasks used for intervention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erformance of WM+MIT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at of WM ONLY. The statistical insignificance of the results can be attributed to the limited number of the participants examined in this research. Secondly,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tasks (sentence replication and word span with treated works) wa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in the WM+MIT and WM ONLY group. However, for word span with treated works, the difference was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WM+MIT group but not for the WM ONLY group.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atients with DAT were able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in repeating speech by maximizing their brain capacities when melodies were applied, as in the case of previous research that found the effectiveness of MIT treatments in inducing longer verbal response (Monica 2010). Although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 assessments of tasks that were not used for interventions (sentence comprehension, working memory span for words and numbers, categorical word fluency, verb fluency and picture description task)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erformance was improved in post-assessment in general, proving the efficacy of the interven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