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힐링 게임의 이용동기와 심리적 안녕감(Psychological well-being)의 관계

Title
힐링 게임의 이용동기와 심리적 안녕감(Psychological well-being)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healing games : Mediated moderation of emotional regulation and game satisfaction
Authors
LEI, XINYU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소혜
Abstract
본 연구는 힐링게임의 이용동기 및 게임 만족도에 따라 이용자들의 심리적 안녕감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힐링게임 이용동기, 게임 만족도와 심 리적 안녕감 사이의 관계에서의 정서조절의 역할을 알아보았다. 특히 중국에 서 인기가 많은 몇 가지 힐링게임 이용자를 대상으로 힐링게임에 대한 이용동 기, 게임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 및 정서조절 능력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실시 했다. 연구 결과 이용자들이 힐링게임을 하는 동기(현실도피, 성취, 사회적 관계, 힐링요소 추구)가 강할수록 심리적 안녕감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중의 관계는 이용자들이 힐링게임을 하면서 형성되는 게임 만족도 를 매개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힐링게임을 하는 동기가 강하면 이 게임 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형성되고 만족도를 매개로 이용자들은 더 많은 심리적 안녕감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연구는 정서조절이라는 개념에 초점 을 맞춰, 안 좋은 일을 겪으면서 부정적인 정서가 생겼을 때 자신의 정서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정서조절이 힐링게임의 이용동기 및 게임 만족도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으로 이어지는 매개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 지 파악했다. 분석 결과 정서조절능력이 낮(적응적 정서조절이 낮을 때과 부 적응적 정서조절이 높을 때)은 사람들은 게임 만족도를 매개로 힐링게임 이용 동기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력의 정도가, 정서조절능력이 높(적응적 정서조절이 높을 때과 부적응적 정서조절이 낮을 때)은 사람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국에서 인기가 많은 힐링게임을 해 본 적이 있는 289명의 이 용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이뤄졌다.;This study identified the differences in users' psychological well-being depending on the motivation of healing games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games, and found the role of emotional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ing games, gam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d on motivation, gam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otional regulation skills for healing games among several healing game users who are popular in China. Studies show that the stronger the motivation (to escape reality, achievement, social relationship, and pursuit of healing elements) users can receive mor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dual relationship has been shown to be a medium of game satisfaction formed by users playing healing games. In other words, a strong motivation for playing a healing game is found to create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game, and users receive more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study focused on the concept of emotional regulation, identifying how emotional regulation, which means the ability to self-control one's emotions when negative emotions arise through bad events, controls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motivation and gam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people with low emotional regulation (when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is low and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is high) have a greater indirect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game satisfaction. The study was based on a survey of 289 users who have played popular healing games in Chin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