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5 Download: 0

돌발성 공공 위생사건에서의 정보수용

Title
돌발성 공공 위생사건에서의 정보수용
Other Titles
Information adoption in unexpected public health cases : Focusing on public trust based on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transparency
Authors
ZHANG, XINYU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호영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발생한 코로나19 사태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시각화 정보의 전달에 대해 실증적으로 탐구하였다. 코로나19에 의한 두려움 수준에 따라 정보에 대한 불신과 정보수용의 부족이 생길 수 있다. 본 연구는 정보의 시각화의 유형, 또는 투명성의 정도에 따라 공중의 신뢰와 정보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은 사람들이 인식한 시각화와 투명성의 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사람들은 코로나19에 인해 감지된 두려움이 클 수록 정보의 시각화와 투명성을 인식할 능력이 더 높았다. 둘째, 시각화 정도가 높은 경우는 낮은 경우보다 사람들의 공중신뢰가 높았으며 정보수용이 높았다. 또한 비시각화 경우는 시각화가 있는 경우보다 공중신뢰와 정보수용이 낮다는 결과도 나타났다. 셋째, 투명성이 높을 때 사람들의 공중신뢰가 높았으며 높은 투명성의 경우 낮은 투명성보다 정보수용 수준이 높을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보 시각화와 투명성에 따른 공중신뢰가 정보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 역시 나타났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공중신뢰를 투명성, 정보 시각화와 정보수용간의 매개로 매개효과를 측정하였는데 측정 결과는 공중신뢰가 부분매개 되어 시각화, 투명성과 정보수용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정보 시각화, 투명성, 공중신뢰와 정보수용간의 보다 명확한 관계를 확인했다는 것에서 의미를 갖는다.;This study empirically explored the delivery of visualization information that can be seen most in the recent Corona 19 crisis. As fears caused by COVID-19 have arisen, people may develop distrust of information and lack of adoption of it. Based on information visualization,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al study to check the effect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transparency on public trust and information adop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visualization or the degree of transparen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fear of COVID-19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visualization and transparency perceived by people. In other words, the greater the fears perceived by people due to COVID-19, the higher their ability to perceive the visualization and transparency of information. Second, people's public trust will be higher in the case of a high degree of visualization than in the case of low visualization, and information adoption will be higher.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public trust and information adoption were lower in the case of non-visualization than in the case of visualization. Third, when transparency is high, public trust is high, and in the case of high transparency, information adoption is higher than low transparency. Fourth, it was found that public trust according to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transpar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information adoption. Furthermore, this study measured the mediating effect of public trust as a medium between transparency,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information adoption.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s, public trust was verified as a partial medium between visualization and information adoption, as well as transparency and information adop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a clearer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visualization, transparency, public trust and information adoption, and it is hoped that an attempt will be made to theoretically establish more effective information delivery and visualization technology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