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0 Download: 0

위계화를 고려한 설화 교육 방향 연구

Title
위계화를 고려한 설화 교육 방향 연구
Other Titles
Study of the Staging-based Direction of Folktale Education
Authors
나아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소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세기 후반 농촌 사회의 몰락 이후부터 그 위치를 꾸준히 위협받아 온 설화 교육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 후, 설화가 처한 상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앞으로 설화 교육이 걸어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언하는 것에 있다. 설화 교육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기에 앞서 현재 설화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교육과정인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과서를 바탕으로 현행 설화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이루어지고 있다면 그 위치는 어디인지를 살펴보았다. 이때 검토 대상은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의 모든 학교 급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위계화를 고려하여 현행 교육과정의 설화 교육을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Ⅲ장에서 현행 설화 교육을 검토할 때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이론을 점검하여 현행 설화 교육 검토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때 Ⅱ장에선 크게 설화 교육과 관련된 논의와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관련된 논의, 위계화와 관련된 논의를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위계화를 고려하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설화 교육을 검토하였다. 이때 모든 초등학교와 중학교, 고등학교의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과서의 학습제재와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삼아 위계화를 고려하여 설화 교육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비판적 검토를 진행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한 설화 교육의 현황을 바탕으로 설화 교육의 방향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이는 구술성과 맥락이라는 관점으로 구성하여 설화 교육이 앞으로 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설화 교육의 현황을 위계화를 고려해 검토한 다음 현재 설화 교육이 처한 위험 지점을 짚어냈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나, 이를 극복할 방안에 대해서는 교육적 방향을 제언하는 수준에서 연구를 마친다는 것에 그 한계가 있다.본 연구의 뒤를 이어 설화 교육을 바로잡을 수 있는 실현 가능한 논의가 이루어지길 바라며 본 연구를 마치겠다. ;The status of folktale education has been constantly threatened since the fall of agricultural communities in the late 20th century. In this study, we aim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folktale education, critically review the situation about folktale, and suggest a future direction for folktale education. Before making any suggestions on the direction of folktale education, we aimed to explore how current folktale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based on the textbooks revised in 2015 and the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2015, and the status of folktale education, if folktale is being taught at all. To study staging, we examined the current folktale education at all school levels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In Chapter II, I establish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evaluating the current folktale education by reviewing the theories that must be addressed when evaluating the current folktale education in Chapter III. In Chapter Ⅱ, we also reviewed the discussions about folktale educati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staging. In Chapter III, we examined the current folktale education by taking staging into account. In this chapter, using the learning materials and academic performance standards of the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2015 and the textbooks revised in 2015 of all school levels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as criteria, we studied the current status of folktale education at various stages. Based on this, we conducted a critical review. In Chapter Ⅳ, we presented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 of folktale education from three perspectives based on the critical review of current folktale education in Chapter Ⅲ. Specifically, the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 of folktale education were made from the perspectives of oral tradition and context of folktale respective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the vulnerable points of current folktale education by taking staging into consideration while examining its current status.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the research only suggested educational directions and failed to provide measures to overcome the situation can’t offer feasible solutions to rectify the folktale education. Finally, I conclude this study with the hope that a reasonable discussion will be made for the correct folktale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