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3 Download: 0

유아의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도와 과보호 및 자율성지지 양육행동

Title
유아의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도와 과보호 및 자율성지지 양육행동
Other Titles
The Degree of Mother’s Permission for Young Children’s Risky Play and Overprotective, Autonomy-Supportive Parenting Behaviors
Authors
이지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위험감수놀이 현황,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도와 과보호 양육행동 및 자율성지지 양육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 유아의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도와 과보호 및 자율성지지 양육행동 간의 관계를 파악해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었다. 이에 따라 만 3, 4, 5세 유아와 그 어머니 273명을 대상으로 하여, 어머니의 보고를 통해 알아보았다. 가정에서의 위험감수놀이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위험감수놀이와 관련된 문헌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문항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도를 알아보기 위해 Hill과 Bundy(2014)가 개발한 ‘위험감수놀이 수용 척도(The Tolerance to Risk in Play Scale: TRiPS)’를 번안하여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의 과보호 및 자율성지지 양육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Doh와 Falbo(1999)의 ‘어머니의 과보호 척도(Maternal Overprotectiveness Scale)’와 Mageau, Ranger, Joussemet, Koestner, Moreau와 Forest(2015)의 ‘부모의 자율성지지 척도(Perceived Parental Auntonomy Support Scale: P-PASS)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최대값과 최소값,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위험감수놀이의 전반적인 현황을 살펴보면, 가정에서 유아들의 위험감수놀이 빈도는 높지 않았으며, 실외 장소에서만 위험감수놀이를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나 실·내외와 상관없이 모든 장소에서 위험감수놀이를 하는 경우도 많았다. 유아들이 위험감수놀이를 주로 하는 대상은 ‘형제·자매 및 또래’였으며, 대체로 혼자 놀이를 할 때 보다는 타인과 함께 놀이할 때 위험감수놀이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이 가장 많이 하는 위험감수놀이 유형은 ‘다른 유아와 쫓고 도망가는 놀이하기’, ‘경사로에서 빠른 속도로 내려가기’, ‘미끄럼틀에서 머리부터 내려가기’ 순이었다. 유아의 위험감수놀이에 대해 어머니는 주로 하지 못하도록 주의를 주거나 위험하지 않은 다른 놀이로 전환시키는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도의 전반적 경향과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도는 전반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또한 유아의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도는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셋째, 어머니의 과보호 및 자율성지지 양육행동의 전반적 경향과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행동은 전반적으로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만 3세 유아를 양육 중인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행동 수준이 만 4세와 5세 유아를 양육 중인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행동 수준보다 높았으나, 유아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어머니의 자율성지지 양육행동은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만 4세와 5세 유아를 양육 중인 어머니의 자율성지지 양육행동 수준이 만 3세 유아를 양육 중인 어머니의 자율성지지 양육행동 수준보다 높았고, 여아보다는 남아의 어머니의 자율성지지 양육행동 수준이 높았다. 넷째, 유아의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도와 과보호 양육행동 및 자율성지지 양육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행동은 유아의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도와 부적 상관이 있었다. 반면, 어머니의 자율성지지 양육행동과 유아의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유아의 위험감수놀이 증진을 위해 어머니들은 유아의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상호작용 및 다양한 실외놀이 장소 제공을 통해 질 높은 실외놀이 기회를 제공하고, 부족한 실외놀이 기회를 보완하기 위한 적절한 실내 장소를 활용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유아의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어머니들의 수용도를 높이기 위해 어머니들이 안전에 대한 지나친 우려를 덜어내고, 과보호를 지양하는 방향으로 인식을 개선시킬 수 있는 부모교육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us of young children’s risky play,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mother’s permission for young children’s risky play, overprotective and autonomy-supportive parenting behaviors according to young children’s age and gender, and to figure out the relations between the degree of mother’s permission for young children’s risky play and overprotective/ autonomy-supportive parenting behaviors. Accordingly, targeting 273 young children aged 3 to 5 and their mothers, this study researched through mother’s report. In order to examine the status of young children’s risky play, a questionnaire was manufactured based on the literature in relation with risk play. In order to measure the dgeree of mother’s permission for young children’s risky play, ‘The Tolerance to Risk in Play Scale(TRiPS)’ developed by Hill and Bundy(2014) was translated and used. In order to measure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and autonomy-supportive parenting behavior, ‘Maternal Overprotectiveness Scale’ developed by Doh and Falbo(1999) and ‘Perceived Parental Autonomy Support Scale(P-PASS) developed by Mageau, Ranger, Joussemet, Koestner, Moreau and Forest(2015) were translated and used. For data analysis,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maximum and minimum value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t 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If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one-way ANOVA, Scheffé's post verification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reviewing the overall status of young children’s risky play, the frequency of risky play for young children was not high. Mothers reported that young children participate in risky play most often in outdoor places, but they often participate in it all places regardless of indoor or outdoor places. It is also reported that young children participate in risky play most often when they are playing with brothers, sisters, and peers, and generally they participate in it more often when playing with others than when playing alone. The most common types of young children's risky play were ‘Playing chasing with other children’, ‘Sliding at a high speed on the slope’, and ‘Going down head first on the slide’. Mother’s predominant responses to young children’s risky play were not allowing risky play and switching over to other kind of play which is not risk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overall aspects regarding the degree of mother’s permission for young children’s risky play and the difference in it according to young children’s age and gender, the degree of mother’s permission for young children’s risky play was generally low. There was no difference in it according to young children’s age and gender.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overall aspects of maternal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and autonomy-supportive parenting behavior, and the differences in them according to young children’s age and gender, the maternal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was generally slightly high. The level of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who rear 3-year-old children was higher than those who rear 4-year-old and 5-year-old children, but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young children’s gender. Maternal autonomy-supportive parenting behavior was generally high. The level of autonomy-supportive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who rear children aged 4 and 5 was higher than those who rear 3-year-old children, and the level of autonomy-supportive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who rear boys was higher than those who rear girls. La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mother’s permission for young children’s risky play and two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the degree of mother’s permission for young children’s risky pla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mother’s permission for young children’s risky play and autonomy-supportive parenting behavior. The above results raised the necessity to provide good quality outdoor play opportunities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risky play through showing various and supportive responses to young children’s risky play and bringing young children to various outdoor places, and utilize appropriate indoor places to compensate for insufficient outdoor play opportunities.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degree of mother’s permission for young children's risky play, it is suggested that parent education program in the direction of changing mothers’ attitudes into relieving their excessive concerns about safety and avoiding overprotective parenting is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