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5 Download: 0

유아의 놀 권리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분석

Title
유아의 놀 권리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bout children’s right to play
Authors
황윤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indergarten teachers’ general understanding on children’s right to play and to identify the status of the guarantee of young children’s right to play and the perception of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is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kindergarten teachers about young children's right to play? 2. What is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guarantee of young children's right to play and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0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in the Seoul area. It performed in-depth interview,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identify the teachers’ overall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about children's right to play. The teachers’ in-depth interviews took place for 7 weeks from September 16, 2020 to November 5, 2020 and lasted 50-70 minutes per teacher.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nd the collected data was inductively categorized through iterative comparative analysis. The study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recognized young children as the holders of the right to play and regarded the duties and roles of duty holders as important.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teachers, parents, and the state were the duty holders of young children's right to play, and that all their roles, not one, were needed. Teachers perceived that various requirements must be met to guarantee young children's right to play, which includes play time, physical environment, atmosphere, and human environment. Second, the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to grasp the role fulfilment status of teachers, parents, and the state, who are duty holders, to guarantee young children's right to play. Teachers sought to secure both indoor and outdoor play times without dividing them as much as possible, create a physical environment by providing sufficient play space and toys for children, and to intervene in children's play to drive play toward a positive direction. In contrast, teachers said that they had difficulties trying to guarantee young children’s right to play, due to concerns about safety accidents, a high teacher-to-child ratio per class, and parental demands or institutional policies. As for parents, teachers perceived that parents’ levels of understanding play varies according to families and parents so the extent of guaranteeing the right to play also varied greatly, and that parents wanted to have enough time to play with their children at home. Meanwhile, teachers recognized that parents at home faced difficulties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play and anxiety about their children's learning amid the social atmosphere that emphasized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state, the teachers felt that the national government was trying to change the social perception by revising the curriculum and distributing educational materials or promoting the value of play to realize young children’s right to play. However, the teachers viewed that the state had difficulties due to the society’s education fever emphasizing learning and insufficient physical environment, during the process of guaranteeing the right to play, the state suffered from difficulties due to the overheated social fever over emphasizing learning and insufficient physical environment. Based on this, to improv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while trying to guarantee the right to play, the teachers said that teachers, parents, and the state should all improve their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play first. They also felt that a physical environment for young children to play freely should be improved and supported, and that legal systems and policies should be arranged to guarantee the young children’s right to pla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tudy raised the necessity to prepare a plan to support education for both teachers and parents on young children's right to play. In addition, the study derived the implication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and social awareness on the right to play as children’s fundamental rights. ;본 연구는 유아의 놀 권리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전반적인 이해를 알아보고, 놀 권리 보장의 현황 및 개선 방향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놀 권리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전반적인 이해는 어떠한가? 2. 유아의 놀 권리 보장 현황 및 개선 방향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지역에 근무하는 유치원 교사 10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놀 권리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전반적인 이해 및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인 심층 면담을 사용하였다. 교사의 심층 면담은 2020년 9월 16일부터 2020년 11월 5일까지 약 7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한 교사 당 50-70분 가량 실시되었다. 면담 내용은 녹음하여 전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귀납적으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유아를 놀 권리의 권리주체자로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의무보유자의 의무와 역할 이행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의 놀 권리의 의무보유자는 교사, 부모, 국가 모두이며, 한 주체의 역할만이 아니라 세 주체 모두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교사들은 유아의 놀 권리 보장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건이 충족될 필요가 있는데, 여기에는 놀이시간, 물리적 환경, 분위기, 인적 환경이 포함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유아의 놀 권리 보장을 위해 의무보유자인 교사, 부모, 국가의 역할 이행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의 경우, 실제에서 실내놀이시간과 실외놀이시간을 최대한 분절되지 않게 확보하고자 하며, 유아들의 충분한 놀이공간과 놀잇감을 제공하여 물리적 환경을 구성하고자 하고, 유아의 놀이에 개입하여 놀이를 긍정적 방향으로 이끌고자 하고 있었다. 한편, 교사들은 놀 권리 보장 과정에서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 학급당 높은 교사 대 유아의 비율, 학부모의 요구나 기관의 방침으로 어려움을 겪는다고 하였다. 부모의 경우,교사들은 가정과 부모에 따라 놀이에 대한 이해정도가 다양하며 이에 따라 놀 권리 보장의 정도에도 편차가 크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부모가 가정에서 자녀와 함께 놀이하는 시간을 충분히 갖고자 한다고 보았다. 한편, 교사들은 가정에서 부모들이 놀이에 대한 이해 부족, 학업성취를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로 인한 자녀의 학습에 대한 불안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국가의 경우, 유아의 놀 권리 실현을 위해 국가 차원에서 교육과정을 개정하고 놀이의 가치에 대한 홍보나 교육자료를 배포하여 사회적 인식을 변화시키고자 하고 있다고 보았다. 한편, 교사들은 놀 권리 보장 과정에서 국가가 학습을 강조하는 과열된 사회적 분위기와 물리적 환경 측면에서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다고 인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놀 권리 보장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 먼저, 교사, 부모, 국가 세 주체 모두 놀이에 대한 이해 및 인식을 개선하는 것이 우선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유아가 충분히 놀이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이 개선 및 지원되어야 하며, 놀 권리 보장을 위한 법적 제도와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의 놀 권리에 대한 교사교육과 부모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유아의 기본권으로써의 놀 권리에 대한 사회의 전반적인 인식 개선과 국가적 차원의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