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6 Download: 0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Title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urriculum liter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revised Nuri curriculum of 2019
Authors
고은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혜욱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에 대한 전반적 경향 및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을 방해하는 요인과 지원방안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의 전반적 양상은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은 변인(경력, 교육정도, 기관유형, 기관규모, 담당학급 유아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유아교사가 인식한 교육과정 문해력의 방해요인과 지원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ㆍ경기 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3-5세 담임교사 2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실행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송명현(2020)의 연구에서 사용된 초중등 교사 대상 교육과정 문해력 실태조사 설문지를 연구자가 유아교사에 적합하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교육과정 문해력 지원방안과 방해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항을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였다.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여 어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과정 분석능력이 가장 높았고, 이해능력과 개발능력이 두 번째로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적용능력, 구성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인별 차이에서는 경력, 교육정도, 기관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력에서는 3년 미만의 교사보다 6년 이상의 교사집단에서 교육과정 문해력 전체와 교육과정 개발능력, 분석능력, 적용능력, 구성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정도에서는 대학원 재학 이상의 교사가 나머지 교사집단보다 교육과정 문해력 전체와 교육과정 개발능력, 분석능력, 적용능력, 이해능력이 높게 나타났고, 구성능력에서는 대학원 재학 이상 교사집단이 전문대 졸업 이하 교사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기관 유형에서는 어린이집 교사가 사립유치원 교사보다 교육과정 개발능력이 높았으며, 국공립 유치원 교사가 사립유치원 교사보다 교육과정 이해능력이 높았다. 기관 규모와 담당학급 유아 연령에 따라서는 교육과정 문해력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교육과정 문해력 방해요인과 지원방안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는 교사 본연의 업무에 집중하기 어려운 과도한 행정업무가 교육과정 문해력을 발휘하는데 가장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였으며, 다음으로는 학부모의 평가나 요구, 기관 내 위계적 구조 및 새로운 것을 시도할 수 없는 기관 분위기를 교육과정 문해력의 방해요인으로 인식하였다. 다음으로 교사들은 교육과정 문해력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 대한 교사의 자율권 확대가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그 외, 교육과정에 대한 고민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교사간의 소통, 교육과정 개발 단계에 현장 교사의 참여,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지원하는 교사 연수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의 적용능력과 구성능력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배경 변인에 따라 각 교사에게 적합한 교육과정 문해력 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주체로서 교사의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overall aspects of curriculum liter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terfere with the curriculum liter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upporting measures. In this regar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are overall aspects regarding curriculum liter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curriculum liter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variables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 background, type and size of institution and age of children in charge)? 3. What are the barriers and support measures of curriculum literacy recognize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tudy was conducted on 244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measure the state of curriculum literacy in early childhood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survey questionnaire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hich was used in the research done by Song(2020), was modified and used. To investigate barriers and support measures of the curriculum literacy being recogniz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questionnaires based on previous research were reorganized and used. For data analysis,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After conducting one-way ANOVA, Scheffé posterior test was performed when there existed significant differences to identify which group had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liter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generally high. The analysis ability of curriculum was the highest, the understanding and the development ability were the second highest, and followed by application ability and constitutive ability. Second, among the teacher background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 background, and type of institution. In teaching experience, the overall curriculum literacy, development ability, analysis ability, application ability, and constitutive ability were higher in the group of teachers who worked more than six years than those who worked less than three years. In the education background, teachers who attended graduate schools or had advanced degree showed higher in overall curriculum literacy, development ability, analysis ability, application ability and understanding ability than the rest of the teachers’ group, and when it comes to constitutive ability, those who attended graduate schools or had advanced degree were higher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s or below. In the type of institution, daycare center teachers had higher development ability than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nd national and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had higher understanding ability than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urriculum literac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institution and the age of the children in charg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barriers and support measures for curriculum literacy recogniz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excessive administrative work,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them to concentrate on their original work, was believed to be the most disruptive factor to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The evaluation, demand of parents, and atmosphere of hierarchical institutions that keep them from attempting new things are regarded as barriers to the curriculum literacy. The need to expand teacher’s autonomy in organizing and operating curriculum was recognized as a top priority for support measures to enhance curriculum literacy. Besides, communication among teachers who want to share their concerns and information about the curriculum, participation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teacher training to support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were all recognized necessary.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measures to support the application and constitutive ability of curriculum and to support the curriculum literacy for each teacher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should be prepared. It is also suggested that autonomy should granted to teachers as they are the main agent of the curriculu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