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7 Download: 0

NGO 활동가의 교육개발협력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Title
NGO 활동가의 교육개발협력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Other Titles
A Narrative Inquiry on the Experience of an NGO Activist in Educational Development
Authors
이하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경혜
Abstract
본 연구는 NGO 활동가의 교육개발협력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교육이 빈곤 퇴치, 지속가능한 발전, 민주주의 발전 등과 같은 사회 발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교육개발협력은 개발협력에서 주요한 분야로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연구자 또한 위와 같은 기대로 교육개발협력 현장에 있었다. 하지만, 그 안에서 연구자가 경험한 것은 자국의 교육 문제에 있어 객체화되어있는 현지인들이었다. 협력이라는 이름으로 교육 프로젝트들이 진행되었지만, 그 안에는 현지인들의 자리가 없었다. 이 같은 문제는 교육개발협력이 자유주의적 자본주의 패러다임과 현실주의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시작하였던 것에 기인하였다. 개발협력의 초창기인 1960년대, 교육개발협력은 개발도상국의 경제개발과 공여국의 이익을 목적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패러다임은 개인이 산업화의 도구로 전락되고 교육개발협력을 통해 개발도상국이 종속화 되는 부작용을 낳았다. 이에 국제사회에서는 교육의 기본권 보장을 위한 교육개발협력과 협력국의 파트너십 확대가 논의되었고 이를 개발의 아젠더로 반영하였다. 위의 노력과 함께 한국도 OECD DAC 회원국으로서 교육개발협력에 지속적으로 참여해왔으며 직업교육, 고등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국제 교육문제에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 교육개발협력에는 협력국에 대한 이해의 부족, 현지 전문가의 참여 부족과 같은 협력국과의 파트너십의 문제, 그리고 공여국 이익 중심의 문제가 여전히 제기되고 있다. 포스트개발이론은 후기식민주의 패러다임의 이론 중 하나로 이러한 개발 현장의 문제를 비판한다. 즉, 기존 개발협력에 녹아있는 서구 중심적 개발에 비판하고 협력국의 내생적인 성장을 강조한다. 이에 최근 한국의 개발협력 분야에서도 포스트개발이론의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현 개발협력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교육개발협력 안에서 위와 같은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교육이란 그 국가 고유의 문화적 배경과 역사적 맥락을 담고 있는 분야이기에 포스트개발이론의 비판의식을 담은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개발이론의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NGO 활동가의 교육개발협력 경험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개인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내러티브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내러티브 연구 방법론은 교육개발협력의 현장에서 실제 현지 파트너와 관계를 맺고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내부자의 경험을 깊게 이해할 수 있는 연구 방법론이며 경험의 전경에 있는 다양한 문화와 사회적 배경을 이해하는 데 적합한 연구 방법론이다. 또한 연구참여자 기준으로 첫째, 교육개발협력의 현장 근무 경험이 5년 이상이며, 현재에도 교육개발협력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자, 둘째, 개발을 내부로부터 성장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육개발협력을 실천하고 있는 자로 설정하고, 위 기준에 부합한 이기석 씨(가명)를 연구참여자로 최종 선정하였다. 내러티브 탐구 결과 NGO 활동가인 이기석 씨의 경험은 개발에 대한 그의 패러다임이 전환되기 전과 후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자유주의적 자본주의 패러다임에 동의한 상태에서 교육개발협력의 활동가로 활동했던 이기석 씨는 현지와 분절되어 있는 교육개발협력을 경험하였다. 그가 경험한 교육개발협력의 한계점의 특징은 먼저, 이해의 부족으로 타자화된 관계성에 있었다. 활동가들의 선입견은 협력국의 보편적인 삶과 현지의 특수하고 다변적인 문화를 이해하는 것을 방해하였다. 또한 교육개발협력의 주 파트너를 정부로 설정할 경우 현지 주민들의 요구를 듣기 어려웠으며, 현지 주민들 또한 NGO 활동가들에 대해 이해하지 못한 채 서로에 대한 오해와 편견들이 쌓여갔다. 둘째, 이기석 씨는 현지의 요구를 반영하기 어려운 구조적 문제를 경험하였다. 성과평가는 교육개발협력 영역에 있어 설정된 목적이 잘 수행되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중요한 단계이다. 하지만, 현지인들과 관계를 맺기 전 수립된 중장기 계획을 실행하여 그 성과를 보고해야 하는 성과주의 안에서 현지인들의 참여 공간은 제한되었으며, 현지의 유동성을 반영할 수 없는 완고한 구조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교육개발협력이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 쉬운 단순 수혜사업으로 이어지게 하며, 단순 수혜 사업은 현지의 궁극적인 교육 문제를 담을 수 없었다. 이기석 씨는 이러한 현장의 한계를 경험한 후 한국에 돌아와 개발에 대한 패러다임을 다시 정립하였다. 그리고 협력국의 내생적인 성장을 위해 새로운 NGO를 시작하였다. 먼저 그는 인식을 맞추는 과정을 통하여 관계성을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그는 현지 파트너와 인식을 맞추어 가는 과정에서 접점을 찾아가며 그것들을 공유하는 과정을 통하여 협력을 시작하였다. 두 번째 특징은 촉진자로 역할의 전환이다. 이전에 그는 자신이 생각하는 근대적 산물을 투입하는 독재적 이식자였다. 하지만, 그는 협력이라는 관계성 안에서 현지 파트너에게 결정권을 이양하고 질문을 통하여 새로운 자극을 던져주는 촉진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시도에도 불구하고 그에게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있었다. 현지인들과 함께 시행착오를 거쳐나가고 있는 촉진의 협력은 이식의 형태보다 성과가 나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지만, 성과를 증명해야 하는 현 교육개발협력의 구조는 그 시간을 기다려주지 않았다. 또한 이러한 구조 속에서 그의 시도가 실제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 패러다임의 전환을 촉구하는 연대가 필요하였다. 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교육개발협력에서 불균형한 협력에 대한 반성적 성찰이 여전히 필요하다. 현지 문화와 역동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선입견에서 벗어나 현지의 문화를 보는 시도가 필요한 것이다. 둘째, 반성적 성찰과 함께 실제 변화를 위해서 결정권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협력국의 내생적인 성장을 위한 교육개발협렵을 위해 단순히 참여의 공간을 확보해주는 논의를 넘어 결정권 이양에 대한 논의로 이어져야 한다. 셋째, 현 교육개발협력의 구조 여전히 영향력을 행사하며 새로운 시도에 장애가 되고 있었다. 포스트개발이론은 상대적으로 구조의 영향력에 대해 간과하고 있으나, 그의 경험은 구조에 대한 논의가 실제적인 변화를 위해 필요함을 간과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교육개발협력 패러다임의 발전을 위해 기존 연구자들과 현장의 교육개발협력 전문가들의 연대와 의식 변화 수반되어야 한다. 새로운 시도가 실제적인 변화로 이어지기 위해 패러다임 전환에 대한 목소리들이 연대해야 하며, 이를 위해 현 교육개발협력 활동가들의 인식 전환을 위한 재교육 과정, 그리고 차기 전문가들을 위한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또한 필요할 것이다.;This study focuses on the narratives of an activist who worked at a non-profit organization in educational development. Educational development has been considered as a major sector in the field of development and cooperation due to its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n social development in terms of antipoverty,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I entered the field of educational development expecting that I could contribute to promoting the positive functions. However, I have recognized that the educational development practice left out the local people from dealing with the problems in education system of their own country. In other words, the education projects are carried under the name of cooperation, but in reality, the voices of the locals were left unheard. This issue was raised by the previous educational development paradigm. The educational development has been practiced for the purpose of the economic development with the partner countries, based on the Liberal Capitalistic paradigm and for the interest of the donor country based on the Realism paradigm. However, these paradigms have the side effects that the individual becomes a mere tool for industrialization and the developing countries become inferior through education. Accordingly,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began to focus on educational development as an expansion of human rights and partnership between donor country and partner county. Along with these efforts of International Society, South Korea has participated in educational development as a member of OECD DAC and contributed to the fights of educational problem in the global focusing on vocational education and higher education. However, issues of partnership, for instance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partner country and interest-oriented development, are still being raised in South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e Post-Development theory, which is one of the theories of Post-Colonial Paradigm, criticized the issue in development field. It criticizes the Eurocentrism idea that underpinned in development cooperation, and emphasizes the endogenous growth of partner countries. Along with the same line in South Korea Cooperation Development area, critical reflection on current development cooperation is more likely heard in response to the Post-Development theory. However, in educ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ere is still in much need for the research about the awareness of post-development theory. In the meantime, the need for critical and profound discussion upon Post-development theory is being highly suggested because education embodies the intrinsic cultural background and historical context of one country. Henc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an activist working at a non-profit organization, drawing upon the Post-development theory. The methodology of narrative inquiry is employed for the research to explore the personal experiences in depth. The narrative inquiry was considered suitable in terms of comprehending the practices and experiences of educational development: it facilitates understanding of the anecdotes of the practitioners who are running projects on site with local partners and helps construe diverse cultures and social backgrounds on which their experiences have been built. Then, a set of criteria was established to select qualified participants in this study. First, one is required to have practical understanding of, and currently stay the field of education development with at least 5 years of working experience on-site. Second, one should perceive development as endogenous growth and one’s work covers applying the new idea into practice. Following the criteria, Giseok Lee, an activist in the educational development field, was selected. The result of the narrative inquiry indicates that his experiences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before and after the change in his paradigm of development. He conformed to the paradigm of liberalistic capitalism when he entered the field to work as an activist. However, his experience on-site made him realize that the system of educational development does not assimilate with the local circumstances. The limitation he felt was, above all,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consequential otherized relationship. The preconception that the partner countries are poor without modernity obstructed equally applying to them the ideas of the universality of humankind and cultural particularity. In addition, if the government is set as the main partner of the educational development, it was hard for the activists to hear the demands from the local people while the locals barely had a chance to understand the activities of the NGO, which eventually generated mis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sides. Second, the structure of educational development has limited the participation of the partner country to be rather passive. Evaluating project results is an important part of the education development in assessing whether it succeeded to meet the initial objectives. However, the structure of establishing mid or long-term plans before establishing relationship with the counterpart and having only limited time allowed to make outcomes for the report has put the local people in an involuntary stance. The performance based evaluation worked as an obstinate structure that hardly reflected the flexibility of the local environment. It ended up becoming a mere aid project that only short-term effects are expected and failed to deal with the underlying problem of education in the partner country. Lee learned the limitation through the experience in the partner country and came back to Korea. Reflecting on his experiences, he realized that he was dedicated to a wrong paradigm of educational development so took the initiative to overcome the limitation through a new organization. First, he aimed to re-establish the partner relationship by learning about each other; understanding people, sharing the values of each other. He initiated cooperation with the partners based on the equal relationship he found in the process. He has sought to grow together while the prevailing development structure has sought to see partners adapt themselves to the suggested paradigm. Second, his attempt focused on transforming the hitherto role of an instructor to be a facilitator. He referred to himself that he was a dictatorial instructor indoctrinating the debris of the modern era to the counterparts. Now, he has yielded the discretion to the hands of the partners in the relation of cooperation and has taken the role of a facilitator, throwing questions to keep them inspired. He has strived to transform the paradigm of educational development, but he was faced with remaining challenges. The cooperation in the form of facilitation took longer time to see visible outcomes than it would do in the form of instruction and the performance-based structure did not allow sufficient time to prove the output. In addition, solidarity calling for the reformation in the paradigm must be achieved in order to bring substantial changes in the current structure. The finding of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ntrospection concerning the unequal relationship in education development is still needed. The helping relationship and the nonspontaneous participation still exist even though the criticism on development and cooperation has been raised. Second, the issue of discretion should be addressed along with introspection to initiate transformation of educational development. The cooperation in educational development so far is perceived to be unilateral cooperation. However, the educational development that prioritizes the endogenous growth of the partner should do more than just ensuring rooms for the participation of the locals: the issue of the discretion transfer to the partners will need to be discussed. Third, the current structure of education development still poses immense influence on education practice and it stands as a barrier in developing a new paradigm. The Post-development theory tends to underestimate the impact that the structure has but his experiences imply that changes in the structure should be discussed to make progress. Last, the advance of the education development can be achieved along with solidarity within existing researchers and educational development professionals as well as the changes in their awareness. The solidarity of the voices calling for reshaping the paradigm is essential for the new initiative not to remain as a one-off attempt and but to lead up to actual transformation. In order to do so, proper education curriculums should be instituted and further researches on educating future professionals will need to be conduc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