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8 Download: 0

대학생 휴학 경험과 휴학 계획 결정 요인 분석

Title
대학생 휴학 경험과 휴학 계획 결정 요인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factors about the experience of stop-out and the plan of stop-out
Authors
이유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안나
Abstract
한국은 고등교육의 급격한 양적 확대를 경험하면서, 대학 졸업이 이후의 삶과 취업 기회를 보장해주기 어려운 시대가 되었다. 이는 대학생들이 대학에 재학하는 동안 미래에 대한 학업적, 정서적 불안감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음을 의미한다. 이에 휴학, 학업중단과 같은 대학생 학업 지속의 문제에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 높아졌다. 대학에서는 고등교육 보편화에 따라 우수 학생 확보보다 학생 유지가 더 중요한 과제로 전환되었다. 한국교육개발원의 교육통계연보에 따르면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의 휴학생 비율은 평균 30% 정도로, 휴학은 학령인구의 감소와 함께 대학교육의 성과와 고등교육체제 전반의 효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나아가 높은 휴학률은 인적 자본의 노동시장으로의 이행이 원활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휴학은 단순히 학생 개인의 문제가 아닌 대학의 차원에서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휴학 경험과 휴학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Astin의 관여이론과 Tinto의 통합모형에 기초하여 학생 개인과 가정의 특성 관련 변인, 재학 중인 대학의 기관 특성 변인, 그리고 대학 교육과 생활 경험에 관한 변인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10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변수 간 상관분석, 교차분석, t 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휴학 경험에 대해 개인·가정 변인과 대학기관 변인을 투입한 모형1에서는 성별, 등록금 마련 불안, 통학 시간, 대학소재지를 확인하였다. 여학생일수록, 등록금 마련에 대한 불안감이 높을수록, 통학 시간이 30분 이상일수록, 수도권 대학 재학생일수록 휴학 경험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다음으로, 대학교육·생활 변인을 포함한 모형2에서는 등록금 마련 불안, 대학소재지의 영향력은 사라지고, 학문계열, 대학소속감, 교수 인적교류, 도움 청할 수 있는 사람 수, 휴학 의도 여부의 영향력이 추가로 확인하였다. 먼저, 등록금 마련 불안과 대학소재지의 영향력이 사라짐을 통해, 경제적 어려움이나 대학소재지에 따른 차이가 대학 내에서의 학생들의 통합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문계열 대학생이 자연, 공학, 교육, 의약계열 대학생이 휴학 경험이 유의미하게 많음을 확인하여, 학문계열에 따른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학문적 통합의 지표로 활용되는 변인들에서는 유의미한 영향력을 살펴볼 수 없으며, 사회적 통합을 위한 변인들에서 휴학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대학소속감이 낮을수록, 교수 인적교류가 적을수록, 도움 청할 수 있는 사람 수가 많을수록, 휴학 고민을 하는 학생일수록 휴학 경험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휴학 계획에서는 개인·가정 변인과 대학기관 변인을 투입한 모형1에서 성별, 최종 희망 학위, 등록금 마련 불안, 통학 시간, 대학소재지, 대학 유형을 확인하였다. 남학생일수록, 최종 희망 학위가 석사 미만일수록, 등록금 마련에 대한 불안감이 높을수록, 통학 시간이 30분 이상일수록, 수도권 대학 재학생일수록, 4년제 대학 재학생일수록 휴학 계획 확률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대학교육·생활 변인을 포함한 모형2에서는 성별, 대학소재지, 전공일치도, 휴학 고민 여부, 다른 학교 이동 의도, 학업중단 의도를 확인하였다. 휴학 경험 결정 요인과 마찬가지로 개인 변인과 대학기관 특성 변인만으로 분석한 모형1과 여기에 대학에서의 경험 차원의 변인을 추가한 모형2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차이가 발견되었다. 등록금 마련에 대한 불안이나 교육 포부 수준을 의미하는 최종 희망 학위는 대학 경험 변인이 추가되면서 영향력이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에서의 경험 요인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학문적 통합과 사회적 통합의 지표로 활용되는 변인들에서 전공일치도가 유일하게 유의미한 변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전공일치도가 낮을수록 휴학 계획 확률이 높아져 학생들의 전공에서의 적응과 흥미, 적성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업 지속과 관련한 변인에서는 휴학에 대하여 고민하고 있을수록, 다른 학교 이동에 대한 의도가 높을수록, 학업중단 의도가 낮을수록 휴학 계획 확률이 높아진다. 이에 휴학 결정이 순간적인 선택이 아닌 만큼, 휴학을 고민하는 학생들을 사전에 파악하여 불필요한 휴학 결정을 사전에 방지해야 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소재지, 대학 유형에 따라 대학생 휴학 결정 확률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어, 경쟁력 있는 대학기관에서 학생들의 대학 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기대하는 바를 충족시켜주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학에서는 그동안 대학 밖에서 이루어진 취업 준비, 진로 상담 수요를 학교 내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학생 개인별 질 높은 상담과 다양한 취업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학문계열에 따라 휴학 경험이 상이하게 나타나, 대학 초기에 전공에 대한 학문적 기초 지식뿐 아니라, 전공과 관련된 다양한 진로를 소개해주어 학생들이 자신의 전공에 대한 이해를 돕고 동기부여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셋째, 등록금 마련에 대한 불안감이 있는 학생일수록 휴학 경험과 휴학 계획이 높아져, 저소득층의 교육비 부담을 완화시켜 줄 수 있는 실질적인 재정 지원 정책이 요구된다. 넷째, 전공일치도와 대학에 대한 소속감, 교수와의 인적교류 같은 대학에서의 학문적, 사회적 통합요인이 휴학 경험과 휴학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학에서는 질 높은 수업과 더불어, 교수자와 같은 전문가를 통한 조언 및 상담, 학생 참여 수업, 역량 개발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휴학 결정에 있어서 휴학 고민, 다른 학교로의 이동 의도, 학업중단 의도 같은 변인들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향후 다양한 학업중단 유형 간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여 입학에서 졸업까지 학생들의 이행경로를 이해하기 위한 보다 심층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As Korea experienced rapid quantitative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it became difficult to guarantee future life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by graduating from college. This means that college students cannot be free from academic and emotional anxiety about their future while attending college. As a result, there is a high need to pay attention to problems such as dropout and stopout. Stopout is not just an individual problem for students, but a problem that should be actively responded with interest at the university level. This study, based on the Involvement Theory of Astin and the Student Integration model of Tinto, analyzed the impact of individual and family characteristics factor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factors, and university education and life experiences factors. The analysis data were used for the 10th year of the Korea Education End Research 2005 and correlation, cross-analysis,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between factor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experience of stopout, Model 1 identified gender, instability in tuition, commuting time, and university location. Next, in Model 2, which includes university education and life experiences factors, the influence of the instability in tuition and university location disappears. In addition, Model 2 further identified academic fields, sense of belonging to university, personnel exchange of professors, the number of people who could ask for help, and whether to take a stopout. Second, regarding the plan of stopout. in Model 1, gender, final degree desired, instability in tuition, commuting time, university location, and university type were identified. Next, Model 2, identified gender, university location, major agreement, whether to take a stopout, intention to transfer, and intention to dropout.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ies should provide high-quality counseling and various job support for each student so that they can address the demand for job preparation and career counseling within the school. Second, not only academic basic knowledge of majors in the early days of college, but also various career paths related to majors should be introduc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and motivate their majors. Third, practical financial support policies are required to ease the burden of education costs for low-income people. Fourth, universities need to prepare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or advice and counseling through experts, student participation classes, and competency development, as well as high-quality classes. Finally, a more in-depth analysis should be made to understand students' path from admission to graduation by analyzing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types of academic disrup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