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7 Download: 0

중학교 국어 교사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천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Title
중학교 국어 교사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천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Teaching Experience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a Korean School
Authors
김신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경혜
Abstract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역량기반 교육과정임을 표방하면서 ‘역량’의 도입이 교과 교육과정에 변화를 가져왔고, 이러한 변화로 학교 현장은 교육과정을 실행하면서 여러 쟁점들이 나타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실제 학교 현장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보는 것은 기존의 교육과정의 실천상의 어려움을 파악하여 향후 국가 교육과정을 보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어과 교사의 역량기반 수업 실천 경험을 살펴보면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도입이 어떠한 시사점을 갖는지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국어 교사들이 실천한 역량기반 수업의 계획과 실제, 평가 과정은 무엇인가? 둘째, 중학교 국어 교사들이 역량기반 수업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역량’을 도입하면서 나타난 학교 현장의 교사들이 겪는 변화와 이에 따른 어려움은 실제 교육 현장의 맥락과 과정을 보지 않고는 이해하기 어려운 현상이다. 이에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교사의 역량기반 수업 실천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어과 역량기반 수업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실천한 교사의 경험을 연구하고자 한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교육 현장의 맥락에서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이해하기 위해 연구자와 같은 학교에 근무하며 역량기반 수업을 함께 연구한 경험이 있는 서울의 Y 중학교의 박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수집방법으로는 박 교사와의 심층면담과 수업 자료, 학생 결과물, Y 중학교의 교육과정 문서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국어과 역량기반 수업 실천 사례와 그 실천 경험을 살펴보았고, 이러한 경험을 통해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근본적인 문제와 향후 국가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박 교사와 연구자는 ‘시를 중심으로 하는 국어과 역량기반 수업’을 실천하면서 여러 현실적인 문제를 경험하였다. 수업 실천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육 주체인 교사 수준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천상의 어려움을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핵심 개념’과 ‘역량’에 따른 역량 수업 실천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국어 교과는 의사소통 능력과 지식을 활용하는 능력인 ‘기능’과 ‘태도’가 강조되는 교과로서 ‘핵심 개념’과 같은 지식적인 측면과는 성격이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핵심 개념’을 추출하였고 이를 국어 수업에 구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기능과는 별개로 역량을 도입하면서 역량-기능-활동의 관계 구도 하에 교수·학습이 일어나도록 설계하였으나, 실제로 역량과 기능을 구별하기는 쉽지 않았다. 기능-활동과의 연계 속에서 이루어지던 기존의 수업에 ‘역량’이라는 상위 목표가 생긴 것은 역량과 기능, 활동을 연계한 교수·학습을 위함이었으나, 실질적으로 기존의 기능 중심의 수업과 역량 수업을 다르게 구현하기가 어려웠던 것이다. 둘째, 역량과 성취기준의 관계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역량기반 수업이 실행되고 있었다. 보이지 않는 학년군별 성취기준의 위계는 여전한데, 총체적인 개념이 역량을 도입함으로써 교사들은 역량기반 수업 실천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교사들은 역량과 성취기준이 상하의 관계가 아닌 상호 영향을 주고 받고 있으나 유기적인 연결의 논리성이 찾기 힘들다고 하였다. 성취기준은 국어 하위 영역에서부터 비롯된 것이고, 역량은 이 모든 것을 연결시켜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이 둘을 논리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은 어렵다. 이처럼 성취기준 중심의 교육과정에 역량이 새롭게 도입되어 ‘역량도 있고 성취기준도 살아있는 과도기’가 이어지고 있었다. 셋째,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평가 과정은 매우 중요하지만 교육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부족하였다. 평가의 공정성을 위해 눈에 보이는 평가로 수행평가를 위주로 하고 있었는데, 문화향유 역량과 같은 포괄적인 의미의 기능과 역량은 가시적인 평가가 여전히 어려웠다. 또한 역량에 대한 평가는 절대 평가로서 일정 성취수준에 도달하면 만점을 부여할 수 있었음에도 상대평가를 의식하는 평가 분위기가 여전했다. 이는 ‘평가’라고 하는 상대주의적 틀 속에서 절대주의에 기반한 평가를 해야 하는 문제를 드러낸 것이다. 또한 평가 결과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기대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학생들은 자신이 참여한 활동에서 스스로 만족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교사들은 학생들의 활동을 점수로 수치화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점수를 부여해야 하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박 교사와 연구자의 이후 국어 수업의 개선 사항과 향후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박 교사와 연구자의 이후 국어 수업에서 개선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역량을 핵심 개념과 기능을 연계하여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해야 한다. 둘째, 역량과 성취기준을 연계한 수업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통합형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역량기반 교육의 평가에서 평가 도구를 다양화하고 성취평가제와 같은 절대평가의 취지를 살리는 평가를 하도록 한다.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여러 능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번에는 박 교사와 연구자의 역량기반 수업 실천 경험이 향후 국가 교육과정 개정의 개선에는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첫째,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여러 층위 간의 긴밀한 협의와 원활한 소통이 일어나야 한다. 둘째, 교과의 고유성을 이해하여 유연한 교과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한다. 셋째, 국가 교육과정 개발의 취지와 의도를 교과서 개발에 충분히 담아내고 이를 학교 현장에 전달해야 한다. 넷째, 역량의 의미와 역할을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이를 성취기준과 유기적으로 연계해야 한다. 다섯째, 역량 함양의 평가에서 절대주의 평가인 성취평가제에 근거하여 평가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평가 기준과 그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역량기반 수업을 실천한 교사의 경험을 토대로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천상의 어려움을 살펴보고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박 교사와 연구자는 함께 실천했던 수업을 되돌아보며 앞으로의 국어 수업에 많은 개선점을 생각하게 되었으며, 향후 국가 교육과정에 필요한 조언을 제시할 수 있었다. ;A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that the introduction of ‘competency’ could lead to various issues while implementing the curriculum in the school field. Examining how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applied in the school field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vising the national curriculum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critically examine how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applied and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it while exploring the experience of competency-based instruction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o explore in-depth the implications of the introduc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process of competency-based instruction implemented by Korean middle school teachers? Second, what are the difficulties that middle school Korean teachers faced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competency-based instruction? In order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is study examines the case of Korean language competency-based classes and studies the experiences of teachers who practiced them. In order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depth in the context of the educational fiel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Park teacher of Y Middle School in Seoul, who worked at the same school as the researcher and had experience in researching competency-based classes together.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 Park and the curriculum documents of Y Middle School were collected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practicing Korean language competency-based classes. Through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fundamental problems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national curriculum. Teacher Park and the researcher experienced a number of practical problems while practicing “Korean language competency-based class focusing on poetry”. Based on the experience in class practice, th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at the level of the teacher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an internal contradiction was revealed by the introduction of ‘key concepts’ and ‘competency’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Second, competency-based instruction was being conducted without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y and achievement standards. Third, there is a lack of evaluation method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at can be applied to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improvement matters of later Korean language classes by teachers and researchers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national curriculum. The matters to be improved in later Korean language classes by teacher Park and researcher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utilize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Second,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conducted to link competency and achievement standards. Third, in evaluat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diversify evaluation tools and conduct absolute evaluation. Students should be able to develop various abilities by using various evaluation methods. This time, we investigated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the future from the experience of the competency-based class practice of teacher Park and the researcher. First, in the course of curriculum development, close consultation and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various levels should be carried out. Second, it is necessary to compose a flexible curriculum by understanding the uniqueness of the subject. Third, the intention of developing the national curriculum must be fully incorporated in the textbook development. Fourth, the meaning and role of competencies should be set in detail and linked organically with achievement standards. Fifth, in order to evaluate competency building, it is necessary to provide accurate evaluation criteria and methods. In this study,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eachers who practiced competency-based classes, th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were examined and discussed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this process, teacher Park and the researcher looked back on the lessons they had practiced together and thought of many improvements in the future Korean language lessons, and were able to provide advice necessary for the future national curriculu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