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미연-
dc.contributor.author채예은-
dc.creator채예은-
dc.date.accessioned2021-01-28T16:31:44Z-
dc.date.available2021-01-28T16:31:44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727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7278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658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로 인해 원격 수업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과 우려가 지속되는 시점에 수업의 주체로서 원격 수업을 직접 운영하고 경험한 중등 과학 교사들이 원격 수업에서 겪은 어려움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원격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중등 과학 교사 8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개별 면담은 작성된 면담 질문지를 바탕으로 진행되었고, 면담 녹취록과 추가 면담 녹취록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원격 수업에서 과학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 수업을 위한 기기와 학교 환경에 대한 지원이 부족하고, 수업 운영에 대한 가이드라인마저 체계적으로 세워지지 않았으며, 또한 계속되는 원격 수업과 대면 수업의 일정 변경으로 인해 수업 계획을 끊임없이 수정해야 하는 어려움을 겪으며 개별 교사들은 원격 수업을 스스로 개척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원격 수업이 기록되고 일반 대중에게도 공개될 수 있어 저작권 문제에 부담을 느끼고 수업 자료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교실의 경계가 모호해진 원격 수업에서 수업 활동 중에 실수한 것이 기록되고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될 수 있다는 생각에 위축된 교사들은 자신의 수업에 적극적으로 임하지 못하고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기존의 대면 수업에서 활용하던 수업 방식이 원격 수업에 적용되지 않아 자신의 과학 수업에서 중요한 부분이 소실되고 있다고 느꼈으며 상호작용, 실험 및 탐구, 평가의 세 가지 측면에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원격 수업에서 과학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미래 교육을 준비하는 교사들에게 어려움을 대비하고 나아가야 하는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cience teachers’difficulties in distance learning. This study was conducted by interviewing 8 secondary science teachers running distance classes in response to the coronavirus (COVID-19) pandemic. The teacher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based on the interview questionnaire, and then their interview answer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In some cases,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further investigation. The collected qualitative data was repeatedly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nprepared teachers were thrown into distance learning due to the sudden start of distance learning. Due to the lack of support for devices and school environments and lack of guidelines, individual teachers were pioneering distance learning themselves. In addition, due to the continuing schedule change teachers were struggling to revise their lesson plans. Second, since distance classes can be recorded and open to the public, teachers had difficulty using the class materials. Teachers, who were constrained by the idea that mistakes made during class activities could be recorded and disclosed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were unable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ir classes and had difficulties. Third, in the transition from face-to-face science lessons to distance learning, teachers faced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ed in face-to-face classes in distance classes.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three aspects: interaction, scientific experiment and inquiry, and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pecifically show the difficulties that science teachers face in distance learning, and are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post-corona era and future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원격 교육의 이해 5 B. COVID-19로 인한 원격 수업의 실행 7 Ⅲ. 연구 방법 10 A. 연구 대상 10 B. 연구 절차 11 C. 자료 수집 12 D. 자료 분석 14 Ⅳ. 연구 결과 15 A. 원격 수업 상황에 내던져진 교사들 15 1. 갑자기 시작된 원격 수업 15 2. 원격 수업 개척하기 17 3. 계속되는 일정 변경 19 B. 기록되고 공개되는 나의 수업 21 1. 수업 자료 사용의 어려움: 저작권 문제 21 2. 위축되는 교사들: 실수하면 어쩌지? 23 C. 기존의 수업 방식이 적용되지 않는 원격 과학 수업 25 1. 상호작용의 어려움 25 가. 참여도, 이해도 파악의 어려움: 학생들의 반응을 알 수 없어 25 나. 피드백의 어려움: 교사의 이야기가 잘 전달되지 않아 30 다. 모둠 활동의 어려움: 개별화되어 있는 학생들 32 2. 실험 및 탐구의 어려움 35 가. 시범 실험: 학습의 내면화 어려워 36 나. 정답만 보여주는 시범 실험 37 다. 과제형 실험의 한계: 단순한 해보기 39 3. 평가의 어려움 41 가. 평가를 통한 동기 유발의 어려움 42 나. 과정 중심 평가의 어려움: 결과 위주의 평가 43 Ⅴ. 결론 및 제언 46 참고문헌 50 부록1. 온라인 설문지 53 ABSTRACT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67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원격 수업에서 과학 교사가 겪는 어려움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cience Teachers’Difficulties in Distance Learning-
dc.creator.othernameChae, Yeeun-
dc.format.pagev, 5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과학교육학과-
dc.date.awarded202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