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미연-
dc.contributor.author최지연-
dc.creator최지연-
dc.date.accessioned2021-01-28T16:31:43Z-
dc.date.available2021-01-28T16:31:43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729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7293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657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등학교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과학과 핵심역량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과학과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수업을 교실에서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지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중학교 과학교사 5명, 고등학교 과학교사 5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개별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들과의 면담을 분석하기 위해 면담 내용을 전사하여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현행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을 도입한 배경에 대해 사회의 변화와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을 언급하며 핵심역량 도입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둘째, 과학적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는 수업으로 학생들이 말이나 글을 통해 자신의 사고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는 수업을 실천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과학적 탐구 능력이 드러나는 수업에서 다양한 과학 과정 기능을 학생들이 직접 경험하도록 하였다. 넷째, 교사들은 과학적 문제 해결력을 고려한 수업에서 학생들이 살아가며 직면할 수 있는 문제들을 과학적으로 해결하도록 하였다. 다섯째, 교사들은 학생들이 친구들과 생각을 공유하며 자신의 생각과 타인의 생각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이 사용되도록 하였다. 여섯째, 교사들은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수업에서 사회·과학적인 이슈를 소재로 하여 학생들에게 관심과 동기가 생길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핵심역량 중심 수업의 어려움으로 평가, 교과서 등의 외부적인 요인과 교수방법의 이해 등의 내부적인 요인을 응답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교사들은 과학과 핵심역량에 대하여 충분한 이해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학생이 수업의 주인공이 되어 친구들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과학과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수업을 실천하고 있었다. 후속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교육 현장의 실태를 파악하여 핵심역량 중심의 수업을 위한 적절한 지원을 제공한다면 과학과 핵심역량이 보다 효과적으로 우리나라 교육에 정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recognize the science core competencies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how to practice lessons that can cultivate science core competencies in the classroom. For this study, 5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and 5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dividually.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introduction of core competencies in the current curriculum, by mentioning changes in society and the reality of education in Korea. Second, teachers were practicing classes that allowed students to specifically explain their thinking processes through words or writings as classes that could foster scientific thinking ability. Third, teachers allowed students to directly experience various functions of scientific inquiry practices in classes where scientific inquiry ability was revealed. Fourth, in classes where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was revealed, teachers were asked to scientifically solve problems that students may face in their lives. Fifth, teachers allowed students to use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in the process of sharing their thoughts with friends and comparing their own thoughts with others' thoughts. Sixth, teachers used socioscientific issues as subjects in classes that could foster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ability so that students could be interested and motivated. Finally, teachers responded that external factors such as evaluation and textbooks and internal factors such as understanding of teaching methods were the difficulties of core competency-centered instruction. According to the study, teachers have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science core competencies. Despite various difficulties, they are practicing classes so that students can develop science core competencies in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friends as the main characters of the class. If we grasp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in Korea and provide appropriate support for core competency-centered instruction, it is expected that science core competencies will be able to more effectively settle in Korea's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C.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A. 핵심역량 4 B. 2015 개정 과학과 핵심역량 6 C. 과학과 핵심역량 관련 문헌 분석 8 1. 이론 고찰 및 내용 분석 8 2.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9 3. 인식 및 실태 조사 9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13 A. 연구 방법 13 B. 연구 대상 14 C. 자료 수집 19 D. 자료 분석 21 Ⅳ. 연구 결과 23 A. 핵심역량 도입 배경에 대한 이해 23 B. 과학과 핵심역량에 대한 이해 26 1. 과학적 사고력 26 가. 과학적 사고력에 대한 인식 26 나. 과학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수업 실천 27 2. 과학적 탐구 능력 30 가. 과학적 탐구 능력에 대한 인식 30 나. 과학적 탐구 능력 함양을 위한 수업 실천 31 3. 과학적 문제 해결력 34 가. 과학적 문제 해결력에 대한 인식 34 나. 과학적 문제 해결력 함양을 위한 수업 실천 36 4.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38 가.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인식 38 나.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위한 수업 실천 40 5.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43 가.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에 대한 인식 43 나.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함양을 위한 수업 실천 46 C. 과학과 핵심역량 중심 교육의 어려움 50 1. 어려움의 외부적 요인 50 2. 어려움의 내재적 요인 54 Ⅴ. 결론 및 제언 58 A. 결론 58 B. 제언 60 참고문헌 62 부록 1. 연구 대상자의 기초 정보 및 배경 수집을 위한 온라인 설문지 65 ABSTRACT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571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핵심역량에 대한 중등학교 과학교사의 인식 및 실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erception and practice of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on the science core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dc.creator.othernameChoi, Ji Yeon-
dc.format.pageiv,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과학교육학과-
dc.date.awarded202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