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3 Download: 0

학교도서관의 맞춤형 포털시스템을 통한 학생 주도적 독서활동 활성화 방안

Title
학교도서관의 맞춤형 포털시스템을 통한 학생 주도적 독서활동 활성화 방안
Other Titles
A Study on a Plan to Promote Student-led Reading Activities using a Customized Portal Systems of School Libraries : focusing on the perceptions and demands in the educational field
Authors
김규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의 맞춤형 포털시스템을 활용하여 학생의 주도적 독서활동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4차 산업혁명 이후 디지털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인간의 능력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한 인공지능의 개발이 실현되었고, 인간에게 필요한 역량에도 변화가 생겨났다. 창의성, 인성, 사회성, 자기주도성과 같은 능력의 함양이 강조되는 시대적 상황에서 독서는 인간의 정의적 사고와 인지적 사고 능력을 키울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청소년기 독자부터 성인기 독자까지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독서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현상이 심화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독서교육의 본래 지향점인 평생 독자 양성을 위한 교육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청소년 독자에 대한 많은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자발적 독서활동을 위해서는 인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정의적 영역에 대한 교육적 접근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청소년 독자의 독서 부족 현상의 원인을 읽기 흥미도 하락에 따른 독서 동기의 부재로 보았고, 그 요인 중 하나를 스마트폰을 위시한 모바일 기기 사용의 확대라 생각하였다. 학생들이 즐기는 영상, 음악, 게임 등과 같은 디지털 콘텐츠 산업에서는 사용자의 빅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소비자의 취향에 부합하는 맞춤형 정보를 전달한다. 이처럼 일상적으로 모바일 기기에서 맞춤형 디지털 콘텐츠를 향유하는 학생들에게 학교의 도서관과 가정의 책장을 대표로 하는 독서환경은 더 이상 흥미로운 대상이 아니다. 학생의 읽기 동기 신장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주도적 독서활동이 가능한 독서환경을 모색하여 독서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독서 동기를 촉진할 독서환경으로 학교도서관의 맞춤형 포털시스템을 구상하였고, 현장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그 사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학교도서관과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에 대한 기본적 통계 수치는 국가 조사를 통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고, 그를 바탕으로 개선 작업이 이루어졌지만, 학생의 이용률은 증가하지 않고 같은 불만 사항이 반복되었다. 이에 따라 현장의 경험을 분석한 뒤, 그 내용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개선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고 보았기에 교사와 학생의 면담을 통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어교사와 사서, 사서교사로 이루어진 교사집단 5명과 중·고등학생으로 이루어진 학생집단 4명을 연구 참여자로 구성한 후, 개별 면담을 통해 독서교육 현황에 대한 의견수렴과 학교도서관 맞춤형 포털시스템의 인식 및 요구조사를 진행하였다. 교사집단의 경우, 독서교육에 관심이 많은 교사를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독서교육에서 다양한 교육적 시도를 한 능숙한 교사를 포함하고자 하였다. 이는 바람직한 독서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탐구와 함께 현재 학교의 자원에 더해 맞춤형 도서관 포털시스템이라는 추가적 지원이 필요할지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각 면담 내용을 전사한 후 의미단위를 분석한 뒤 집단별 일반적 구조를 도출하였고, 이후 연구 결과의 세부 분석을 위해 공통 구조를 바탕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학생집단은, 4명의 학생 모두 독서 동기가 낮은 상태였고, 현재 학교에서 맞춤형 독서교육을 받지 못하며, 도서 선택이 쉽지 않기에 독서에 대한 흥미를 일으키지 못한다고 답변하였다. 그렇기에 학생들은 도서 선택 단계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친구들과의 소통이 가능한 편리한 온라인 환경이라는 점에서 맞춤형 포털시스템이 도움이 될 것이라 보았다. 교사집단에서는 공통적으로 맞춤형 독서교육 제공의 필요성을 느끼며, 학생들이 자신에게 맞는 책을 선택하는 능력이 부족하다고 답하였다. 또한 일부 학교에서 맞춤형 독서교육을 진행하고는 있지만, 현재 일반적인 학교 환경에서 맞춤형 독서교육이 이루어지기는 쉽지 않다고 보았다. 맞춤형 도서관 포털시스템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교사가 도움이 될 것이라 답하였고, 일부 교사의 경우에는 고등학교 환경에서 실질적 활용이 어려울 수 있으며, 교사의 업무량 과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부정적으로 보았다. 연구 결과, 학생의 독서 동기 촉진이 가능한 맞춤형 독서교육이 필요하며, 현재 일반적 학교 상황에서는 해당 교육 실현이 쉽지 않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렇기에 맞춤형 도서관 포털시스템이 맞춤형 독서교육의 보조적 기능을 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맞춤형 도서관 포털시스템이 학생들의 독서 동기를 촉진하여 주도적 독서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자기결정성 이론의 미니이론 중 기본심리욕구이론을 활용 방안 구성의 기준으로 삼았다. 따라서 교사와 학생의 맞춤형 도서관 포털시스템 활용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을 토대로 자율성·유능성·관계성의 충족 방안을 제시하였다. 독서활동에 있어 학생의 관심사, 읽기 수준, 흥미도는 모두 다르다. 하지만 현재 학교 독서교육에서는 이를 포괄할 수 있는 맞춤형 독서교육의 실천이 어려운 상황이기에 대부분 획일적인 독서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학생들이 현재 경험하고 바라보는 독서환경은 디지털 시대의 발전 속도를 따르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맞춤형 도서관 포털시스템이 학생의 생활과 밀접한 독서환경으로서 독서활동에 대한 흥미를 높이며, 교사가 지도할 수 없는 상황에서의 맞춤형 도서 지원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더 나아가 교사와 연구자들은 시스템을 통해 학생들의 독서활동 분석 자료를 확인하며 독서교육에 대한 논의를 진행할 수 있기에, 연구 대상으로도 가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앞으로 다양한 논의를 통해 맞춤형 도서관 포털시스템을 포함한 독서환경의 기술적 개선이 실현되어 독서환경이 학생들의 생활에 밀접하게 자리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to promote student-led reading activities using a customized portal system of school librarie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materializes human abilities into computer programs also has changed the competences necessary for humans. In a time when the competences such as creativity, character, sociality, and self-direction are emphasized, reading is again in the spotlight as an effective way to develop affective and cognitive thinking skills of humans. However, nowadays, individuals in most age groups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do not read enough, and reading culture has gradually declined over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an educational plan to foster lifelong readers, which is the original goal of reading education. Many previous studies on adolescent readers have found that, to promote students' self-directed reading activities, the educational approach needs to consider not only their cognitive domain but also affective domain. This study assumed that the reason adolescent readers do not read enough is that they have gradually lost interest and motivation for reading, in particular, with the use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Digital content platforms such as videos, music, and games that the students enjoy collect and analyze users' big data to deliver customized recommendations that meet the tastes of individual users. For the students who regularly consume the customized digital contents on mobile devices, the reading environment consisting of school libraries and bookshelves at home is no longer interesting. In order to improve the student's reading motivation, this study aimed for a reading promotion plan by fostering a reading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student-led reading activ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existing literature to plan a customized portal system of school libraries as a reading environment that would promote the students' reading motivation, and explored its applicability for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field. Although several governmental surveys have regularly provided basic statistics on the school libraries and the integrated readi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further improvement, their actual utilization rates of students has not increased with repeated complaints. Therefore, given the necessity of practical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analysis of actual experiences in the field,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students a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This study selected one teacher group consisting of five Korean language teachers, librarians, and librarian teachers and one student group consisting of fou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n,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opinions on the current status of reading education, and perceptions and demands for the customized portal system of school libraries. The teacher group included teachers who were enthusiastic in reading education who had made a variety of educational attempts for reading education. This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sirable reading education and to determine whether a customized portal system of school libraries needs to be added to schools’ current resources. Each transcribed interviews were analyzed at a semantic unit to derive general structures by group. For further analysis, this study developed a discussion based on a common structure. In the case of the student group, all four students had low reading motivation. They have never received customized reading education at the current school, saying that the difficulty in book selection lowered their interest in reading. Therefore, students thought that the customized portal system of school libraries, a convenient online environment that helps students in book selection and enables communications with their peers, would be useful for them. In the case of the teacher group, they felt the necessity of providing customized reading education unanimously, saying that the students lacked the ability to select the right book for themselves. They also said that, although some school provided the customized reading education, it was not easy for the majority of the schools. Most of the teachers said that a customized portal system of school libraries would be helpful, whereas some teachers perceived the portal system negatively in that it could be challenging to use it in the actual high school environment and could lead to teachers' excessive workload.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customized reading education to promote student's reading motivation was required, and that it was not easy to apply the relevant education to the general school situation. Therefore, this study assumed that the customized portal system of school libraries could serve as an auxiliary measure for reading educ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used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theory among the mini-theorie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s a standard for constructing the application plan so that the portal system contributed to the students’ read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reading activities. The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on the use of the system, and suggested ways to meet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In terms of reading activities, every student has different topic of interest, reading level and interest level. However, schools that do not have the customized reading education have only provided uniform reading education overlooking such individual differences. Also, the current reading environment of students has not kept up with the pace of digital development. In this context, a customized portal system of school libraries using big data analysis would be a reading environment close to the students' daily lives, increasing their interest in reading activities and enabling customized support in situations where teachers cannot guide them. Moreover, since the system would allow teachers and researchers to review students' reading activity data and deepen discussions on reading education, the system can be a valuable topic for future research. It is hoped that various relevant discussions can contribute to the technical improvement of the reading environment including the customized portal system of school libraries and the betterment of the reading environment in students' liv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