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지혜-
dc.contributor.author박수연-
dc.creator박수연-
dc.date.accessioned2021-01-28T16:31:26Z-
dc.date.available2021-01-28T16:31:26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734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7341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650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문학의 수용과 생산을 통해 문학 교육에서의 창의성 신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의식에서 출발하여, 창의적 사고 기법을 활용한 문학의 창의적 수용과 생산의 구체적인 교육 방안 제시를 목표로 한다. Ⅱ장에서는 창의적 사고 기법을 활용한 문학의 창의적 수용과 생산 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확인하였다. 창의성과 창의적 사고 기법의 개념 및 종류를 검토한 후, 현대소설 교육에서 창의성과 창의적 사고 기법의 의의를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2015개정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현대소설의 창의적 수용과 생산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5개정 문학 교과서 “문학의 수용과 생산” 단원의 구성과 제재를 분석하고, 이어서 현대소설의 창의적 수용과 생산을 위한 학습 활동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학의 창의적 수용과 생산을 위한 현대소설 제재는 학습자의 삶과 연결시킬 수 있는 작품을 선택해야 함과, 소단원 구성은 ‘창의적 수용과 생산을 독립적으로 다루는 방식’, ‘창의적 수용과 생산의 연계성을 고려한 방식’이 모두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 활동은 ‘창의적 수용에 대한 이해’, ‘문학의 생산에 대한 이해’, ‘문학의 창의적 수용과 생산의 연계성에 대한 이해’로 구분할 수 있었다. 하지만 현행 문학 교육은 문학의 창의적 수용과 생산 모두를 위한 교육 방안이 부족한 상황이며, 특히 문학의 창의적 수용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가 함께 이루어질 때 창의성 신장이 더욱 효과적으로 나타나는데, 현행 문학의 창의적 수용과 생산 교육은 이를 고려하지 못했다. Ⅳ장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문학의 창의적 수용과 생산을 위한 현대소설 제재 선정의 기준을 마련했으며,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가 모두 가능한 창의적 사고 기법을 활용하여 문학의 창의적 수용과 생산의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본고는 ‘창의성’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는 현대 사회의 요구에 발 맞춰 창의성 신장을 위한 문학 교육의 구체적 방안을 제시했으며, 특히 창의적 수용의 개념을 재정리하고 그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창의성 신장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끌어내기 위해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가 모두 가능한 창의적 사고 기법을 활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본고는 창의적 사고 기법을 활용하여 현대소설의 창의적 수용과 생산의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했으나, 이를 하나의 학습 활동으로 연결시키지 못했다. 또한 제시한 교육 방안의 효과성을 실제 학교 현장에서 검증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갖는다. 그러므로 본고에서 제시한 교육 방안을 실제 학교 현장에서 적용하여 그 실제성을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후속 연구를 통해 문학 교육에서의 창의성 교육 방안이 점차 보완됨에 따라 더욱 발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a specific teaching plan for the creative reception and production of literature using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starting from the awareness that creativity in literature education can be enhanced through the reception and production of literature. Chapter Ⅱ investigated the aspects of creative reception and production of modern novels shown in the 2015 revised literature textbook. For this purpose, the composition and materials applied in "reception and production of literature" unit in the aforementioned textbook were analysed, along with the learning activities for the creative reception and production of modern novel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aterials of modern novels require the selection of literary works which can be linked to the learners' life in order for them to receive and produce creatively. Moreover, the findings confirmed that 'dealing with creative reception and production independently' as well as 'consider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creative reception and production' in terms of sub-unit composition were both possible. Learning activities could be classified into 'understanding the creative reception', 'understanding the production of literature', and 'understand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creative reception of literature and its production'. However, current literature education lacks teaching methods which embrace both the creative reception and production of literature,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limitation that no specific plan for the creative reception of literature has been presented. Furthermore, despite the fact that a growth in creativity is more stimulated when divergent thinking and convergent thinking are combined together, the current literature education does not take this into account. In Chapter Ⅳ,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limitations, the material selection criteria for modern novels were provided to reinforce the learners' creative reception and production of literature. In addition, this research attempted to present a specific teaching plan using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that would enable both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king to take place. Contemporary society has been graduall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In line with its demands, this research proposed a specific teaching plan for literature education to develop learners' creativity. In particular, this research redefined the concept of creative reception and suggested its teaching plan.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facilitate the growth in creativity, it is significant in that the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capable of both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king, have been applied in its construction. However, although specific teaching plans for the creative reception and production of modern novels were presented using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this research didn't manage to connect them into a single learning activity. Moreo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plan could not be verified at the actual school classrooms. Therefore, a further study will need to be conducted to verify its practicality by applying the teaching plan suggested in this research at the actual school classrooms. This kind of follow-up study is expected to improve the current creativity teaching plan for literature education and thus, contribute to its further develop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선행 연구 5 C. 연구 대상 및 방법 20 Ⅱ. 창의적 사고 기법을 활용한 현대소설의 창의적 수용과 생산 교육의 이론적 배경 22 A. 창의성의 개념 및 창의적 사고 기법의 종류 22 1. 창의성의 개념과 구성 요소 22 2. 창의적 사고 기법의 종류 및 개념 25 B. 현대소설 교육에서 창의성과 창의적 사고 기법의 교육적 의의 30 1.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창의성 개념 고찰 30 2. 현대소설 교육에서 창의성 교육의 의의 33 3. 현대소설 교육에서 창의적 사고 기법의 의의 34 Ⅲ. 현대소설 교육에서 “창의적 수용 및 생산”의 양상 37 A. 문학 교과서 “창의적 수용 및 생산” 단원의 현대소설 분석 37 1. 대단원 “문학의 수용과 생산”의 소단원 분석 37 2. 소단원 “창의적 수용 및 생산”의 제재 양상 56 B. 문학 교과서 “창의적 수용 및 생산” 단원의 학습활동 분석 63 1. 문학의 창의적 수용에 대한 이해 63 2. 문학의 생산에 대한 이해 70 3. 문학의 창의적 수용과 생산의 연계성에 대한 이해 82 C. 문학 교과서 “창의적 수용 및 생산” 단원의 의의와 한계 91 Ⅳ. 창의적 사고 기법을 활용한 문학의 창의적 수용과 생산 교육 방안 94 A. 창의적 사고 기법을 활용한 교육 방안의 목표 94 1. 문학 작품에 대한 창의적 수용의 구체화 및 활성화 94 2. 문학 교육을 통한 창의성 신장 95 B. 문학의 창의적 수용 및 생산을 위한 제재 선정 기준 96 C. 창의적 사고 기법을 활용한 방안의 실제화 99 1. 문학의 창의적 수용을 위한 교육방안 100 2. 문학의 생산을 위한 교육방안 105 Ⅴ. 결론 115 참고문헌 122 ABSTRACT 1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53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현대소설의 창의적 수용과 생산을 위한 교육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창의적 사고 기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ducational methods for the creative reception and production of the modern novel : Focusing on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dc.creator.othernamePark, Sooyoun-
dc.format.pagev, 12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2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